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퍼블리셔 정보처리기사 도움이 될까요?(프리랜서)

조회수 4,923 2021-06-26 작성
안녕하세요 2년차 퍼블리셔입니다.
지금 당장은 아니고 4-5년차될때 프리랜서로 일할 계획입니다!
그래서 한가할때 정보처리기사를 따놓을까 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코사 등급폐지되서 필요없을까요!
또 디자이너 친구가 프리랜서는 수명깎는 일이라는데 맞나요 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31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91855 웹퍼블리셔 / 10년차 Lv 2

    우선 자격증보다 프리랜서를.. 안하시는게 낫지않을까요?
    왜 불안정한 프리를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대출도 안나옵니다.. 프리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가시면 해당 경력 1도 안쳐줍니다..
    학벌이 높으시다면 예외지만 낮다면 학벌위주라서요...
    확실히 대기업이 좋습니다. 자격증보다 학벌 업 추천드립니다.

    2021-07-05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13891 웹퍼블리셔 / 14년차 Lv 1

    다른 기술을 배우심이..
    기사 자격증이 퍼블리셔 업무 보시는데 도움이 1도 안될거같아요

    2021-07-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90242 웹퍼블리셔 / 14년차 Lv 3

    정보차리기사 자격증자체는 큰 의미는 없습니다. 단, 실력있는 퍼블리셔 나아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욕심을 내신다면 알고리즘,db등의 지식은 유용하니 가볍게라도 공부하는건 추천합니다.
    프리랜서 경력은 어떤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행했느냐가 중요하지 프리랜서 경력자체가 깍아먹진 않습니다.
    재택 프리보다 상주프리가 좋구요. 대기업 혹은 대형프로젝트 위주로 스킬이 확실하세 돋보이는 포지션의 프리로 일하시면 좋습니다. 연봉상승에 외려 도움됩니다.
    추가 팁을 드리자면 프론트엔드 개발은 시장성에 한정된 일부 스킬에만 집중하지마세요. 그리고 년수 경력보다 스킬 구사가 중요합니다. 퍼블리셔 중급 경력이라면서 웹표준도 잘모르고 반응형 구사력도 떨어지고 div p span으로만 퍼블리싱하고 css 자바스크립트 사용력이 떨어지면 아무리 중급 년수차라도 이직이나 프리 활동 힘들수있습니다.
    추가로 api쪽도 공부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021-07-0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03460 웹퍼블리셔 / 14년차 Lv 3

    정보처리기사를 따면 아무래도 도움이 된다고 보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정규직취직시 도움이 되구요. 프리랜서는 본인이 하기나름이긴한데 좋은 프젝에 들어가면 경력과 실력에 도움이 되서 힘들긴하지만 나름 해볼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페이도 정규직보단 좋구요.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2021-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37264 웹퍼블리셔 / 18년차 Lv 1

    IT분야 중 공공/금융 쪽 SI로 가실 경우,
    - 자격증이 있을 경우 대우가 더 좋아지거나 하는 경우는 없지만
    - 자격증이 없을 경우 계약금액 또는 사업참여범위 등에서 애매하게 대우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리 등급이 없어졌다고 한들, 아직 필드에서는 기사유무를 보고 있습니다.)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있으시다면 정보처리기사를 따 두시길 권해드립니다.

    정보처리기사가 아무리 많은 분들이 쉽게 생각하는 자격증이라고 해도
    개발 및 사업관리에 대한 최소한의 기초를 경험하기에 좋은 자격증입니다.

    퍼블리셔라면, data back단쪽 개발자와 협업이 필수인 사업이 많을텐데,
    아무것도 모른채로 협업하기보다는 어느정도 알고 업무에 임하는 편이 본인에게도 좋을 것입니다.

    2021-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81478 10년차 / 90학번 Lv 1

    시간 되시면 접보처리기사 자격증을 따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토한 월등한 자격과 실력을 갖춰
    놓는다면 프리랜서로서 더 희소성의 가지가 있지
    않을까요^^

    2021-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16105 전기·전자엔지니어 / 24년차 / 02학번 Lv 2

    프리랜서는 추천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가능하먼 오랜시간 꾸준히 일할수 잏는 직장을 선택하시길 추천합니다

    2021-06-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082436 시스템엔지니어 / 27년차 / 19학번 Lv 1

    1. 정보처리기사 : IT 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일하실 거면 기본적으로 취득하시는 게 좋습니다.
    2. 코사 : 등급제는 폐지되었지만, 공기업과 큰 기업체 프로젝트 참여시 기본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코사에서 일정 회비 지급시 년단위로 경력 관리를 해주기 때문에 프리랜서 등으로 각 회사 경력 관리가
    힘들때 이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프로젝트 끝날때 마다 바로 경력증명서 발급받아 코사에 등록)
    3. 프리랜서 : 수명 깍는 일은 아니며, 프리랜서와 업체 소속의 장단점은 있습니다.
    둘다 경력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프리랜서는 프로젝트 끝나고 연속성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수입에 대한 고려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건강보험에 대하여 100% 본인 부담입니다.
    (회사 소속시에는 회사와 본인이 50%씩 부담)



    2021-06-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77983 웹퍼블리셔 / 14년차 Lv 5

    도움이 됩니다. 개발 흐림을 이해하고 개발자와 소통하기에도 수월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프론트엔드 개발까지 염두하신다면 필수입니다~

    2021-06-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달려라거북 웹기획 / 27년차 Lv 5

    퍼블리셔 면접을 보는 사람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퍼블만 한다면 개발자와 소통은 좀도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그정도입니다
    실제 실력이 더 중요하고 퍼블읁 근본적으로 개발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만약 react,vue 등 프론트 앤드 개발로 넘어가고자 힐다면 무조건 있는것이 좋읍니다
    코사기준은 펴지됐지만 그기준은 현재도 적용해 등급 이야기들을 합니다
    하지만 졸업후, 자격증 취득후 몇년경력이냐늘 놓고 보기때뮈네 나중에딴것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즉 10년경력인데 대학을 2020년에 졸업하면 초급입니다.
    방향선택을 잘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하세요 ^^

    2021-06-27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