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대기업 서무(?) 계약직 vs 비상장 건설 및 임대업 회계경리

조회수 3,641 2020-10-19 작성
우선 저는 전문대 상경계열 졸업 후 공무원 준비하다가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전산회계1급, 토익 740점, 워드1급, 컴활2급이요. 스펙도 그저그래요...ㅠ 어딜 가야 좋을까요? 회계쪽 업무를 하고 싶어요.

ㅡ대기업 서무(영업관리 느낌) 계약직ㅡ
1. 고용형태 : 1년 단위 자체계약직(최대 2년, 정규직 전환 불가)
2. 연봉 : 3200 ~3400
3. 근무시간 : 오전 8 ~ 오후 5시
4. 거리 : 대중교통 1시간 20분

ㅡ비상장 건설 및 임대업 경리 및 cs업무ㅡ
1. 고용형태 : 정규직
2. 연봉 : 2800 (식대, 성과급 별도 지급, 금액 미정)
3. 근무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4. 거리 : 대중교통 1시간 40분

둘 중에 어느 곳이 나을까요?
아니면 중소기업 회계라도 들어가는 게 나을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2
  • 프로필 이미지 mentor3583708 경영·비즈니스기획 / 37년차 Lv 1

    고용형태가 정규직이 더 좋으 듯합니다

    2020-10-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06738 7년차 Lv 1

    1번이요. 나이가 아직 20대시라면 대기업 경험 쌓고
    2번으로 가도 되요.. 대기업 경력으로 인정도 해주구요.
    그 대신 대기업은 부서별로 하는일 분할 되어 있어
    중소기업에 가면, 업무를 다시 배우시긴 해야 할 거에요.
    중소는 보니깐 이일 저일 다 하는것 같더라구요ㅠㅠ
    구직활동에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2020-10-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546178 영업지원 / 6년차 Lv 1

    저는 2번이요.
    제가 1번도 해보고 2번도 해봤는데, 중소정직원-대기업계약직-중소정직원 순으로 입사를 했어요.
    대기업은 인원이 많다보니 정말 딱 고정된 업무만 기계처럼 하는 느낌이었고 특별한 일이 있지 않은 이상 그 이상의 업무는 하지 않아요, 더군다나 아무리 장기라도 계약직에게 중요한 일은 시키지 않아요.
    나의 성장에 도움이 될 가치가 있을만한 그런일들은 없었어요. 대신 워라벨이 아주 훌륭해서(S전자), 그 다음 이직에 도움이 좀 많이 됐어요.
    2번은 진짜 개 힘들어요. 중소기업은 정말 이것저것 다 해야 되거든요. 내일 니일 니일 내일 모두의 일.
    중소는 멀티업무니까요. 대신 내가 수행해내는 일이 모두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됐어요.
    근데 제가 중소기업 먼저 첫회사로 선택하지 않고 대기업 계약직으로 먼저 들어갔다면,
    그 다음에 중소기업에 가서 불만을 많이 가졌거나, 혹은 업무를 수행해내지 못했을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2020-10-2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714817 회계담당자 / 6년차 Lv 1

    1이요... 2는 나중에 들어가도 됩니다....
    대기업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에 더 좋은회사로 들어가세요..

    2020-10-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36937 인사담당자 / 10년차 Lv 5

    무조건 후자가 좋습니다. 계약직은 생산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단순 업무 또는 영구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업무를 수행하기에 가치 있는 업무를 경험하기 어려워 장기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후자가 비록 처음에는 보상 수준이 낮아 보일 수 있으나 경력을 쌓기에 훨씬 유리합니다. 물론, 비상장이라는 점이 좀 걸리긴 하는데.. 이왕이면 연매출 천억이상의 중견 기업에 들어가시는게 더 좋다는 점도 말씀드려 봅니다.

    2020-10-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49427 회계담당자 / 11년차 Lv 2

    대기업 서무로 경력쌓으시고 이직하세요
    회계쪽 한다고해도 대기업 서무여도 결국 전표처리 하게 되어있어요
    그렇게 간단한 전표처리 편하게 1,2년 동안 배우시고 기회오면 능력 어필하시면 잡으시고요
    2년 채우셔서 그만두게 되면 대기업경력이라는 타이틀이 다른것보다 좋아요
    그리고 무엇보다 대중교통 거리 20분차이로 보이지만 은근히 무시 못합니다...

    2020-10-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44764 3년차 Lv 1

    안녕하세요
    대기업 계약직 하고 나서 (2년후) 나이가 20대 또는 30대초반이라면
    일단 대기업 서무를 먼저 하고, 운이 좋다면 비슷한 직장을 다시 구하면 되어요
    아니더라도 그때에도 충분히 비상장 건설업 직종에는 들어갈 수 있어요!

    큰 회사의 업무 시스템을 배우는게 좋을듯 해요!

    돈도 착실하게 잘 모으셨음 좋겠네요.

    행복하길 바랄게요 ! :)

    2020-10-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95900 회계담당자 / 7년차 Lv 2

    계약직보다는 정규직이 더 낫습니다. 근데 CS 업무가 있다면 엄청 힘듭니다. CS 업무 강도에 따라 고민을 한번 해보셔야 될 것 같아요. 계약직 2년에다 정규직 전환 불가라면 그냥 2년 날리는 겁니다.

    2020-10-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98847 회계담당자 / 20년차 Lv 1

    전 2번이요 건설업 경리는 그래도 인정해 줘요
    근데 거리가 너무 머네요
    출퇴근 시간이 치여, 내 생활이 없는게 나중에 후회되더군요

    2020-10-2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04978 회계담당자 / 5년차 Lv 1

    1번추천 합니다
    나이가 어리시면 사회생활 경험 쌓기 좋아요
    일의 폭이 좁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팀마다 달라서 업무강도는 추측 못합니당
    저같은 경우 계약직 대기업 2년+2년씩 4년 해봤는데
    경력 많이 쌓고 나왔습니다
    그리고 선댓글들 처럼 복지부터 달라요
    나이가 후반대시면 정규직 알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경험상 계약직은 30 가까이 되면 거의 안뽑음

    2020-10-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