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사회에서 전문대라는 타이틀에 관하여

조회수 19,670 2018-06-28 작성
분명히 취업에 있어 선배님도 많은 고민을 하셨을거라 생각 됩니다. 적어도 수과대에서 공부한 전공과 연계된 직업을 가지고자 했을때 인서울 사년제 대학에비하여 비교가 되죠. 취업시장에서 전문대란 타이틀을 갖고 극복하신 방법이나 후배에게 조언해주실만한게 있다면 한말씀 바랍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56
  • 프로필 이미지 mentor5694793 17년차 / 97학번 Lv 1

    기술만 있으면 됩니다. 전 기술직이라 급여나 대우가 사년제 대학보다 훨씬 좋은 대우를 받고있습니다.자신이 하고싶은거 아니면 잘할수있는거 즐겁게 일할수있는 일을 찾으세요. 후배님은 저보다 더나은 생활을 할수있을거같아요. 핫팅!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56739 11년차 / 02학번 Lv 2

    솔직히 말씀 드립니다 전문대나와 그과에서 솔직히 월등하게 그렇니까 어느정도 준수하게 했다라면 그분야로 추천드립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고 아난 그냥 다른곳으로 간다하면 아예 처음부터 다른곳을 추천 드립니다 저도 졸업해서 제가나온 과로 들어갈려했지만 그때당시에는 돈이나 머인식 이런걸 고려할때 제과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이런말이 있죠 열에열명이면 그과른 선택한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 합니다 만약 본인이 선택한 진로에서
    그게 맞다라 치시면 그과로 밀고나가세요 그렇지 안을시 전혀 새로운곳을 바라봐도 좋을것 같습니다 공부를해서 졸없하고 좀더 좋은곳으로 가고자 할땐 편입도 좋은방법이죠 근데허나 여러사유가 있겠다만 4년제 전문대 비교했을때 전 그래도 전문대가 좋았습니다 허된 시간을 허비는 하지않거든요 일단 제가 쓴말들이 약간 횡설수설 하기는 하여도 좀더 깊이있게 생각하시고 옳바른 방향으로 나가셨으면 합니다 졸업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 화이팅 하십시요~^^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76019 7년차 / 05학번 Lv 1

    우리나라에 있는한 지연 학연 혈연은 벗어날 수 없 습니다.
    첫 취업은 오로지 서류와 면접이기 때문에 능력을 보여 줄 수 없습니다.
    편입하거나 첫 취업은 취업하고 거기서 능력을 증명 할 수있는 포토폴리오를 만드는게 좋다고생각합니다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52125 5년차 / 08학번 Lv 1

    저는 수과대란 타이틀에서 성공할수있는최선의길은 영업직이라 생각했고 운좋게주류회사로 오게되어그쪽길을걷게되었습니다 사년제대학 타이틀을극복하는 방법은 단하나 본인의노력입니다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370211 6년차 / 07학번 Lv 1

    4년제 대학이 중요 하다고 생각해 본적이 있을때가 있지요
    취업 한정이라는게 대학 타이틀이 들어가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아무리 좋은 학교를 나와도 자격 미달되는 사람 맣습니다 이런것들을 극복 하려면 자격증과 실무경력 입니다 졸업했을경우 학과관련된 직장에서 실무경력을 쌓고 자격증을 취득 한다면 어딜가도 인정받을수 있기때문이지요 사년제대학 나와도 자격증 없는 사람이 수드륵 합니다
    졸업장만 믿는 세상이 아닙니다 그럼 힘내세요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060887 8년차 / 99학번 Lv 1

    대기업 아니면 크게 중요치 않아요~
    자격증 많이 따셔요~ 취업하고 편입해도 됩니다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22436 10학번 Lv 1

    안녕하세요 저는 수과대 10학번 입니다.
    우선 관련자격증을 땁니다.
    저 같은 경우는 수과대 산업경영과를 나와, 기계설계 분야를 하고 싶었는데 다른분야 이고 가진것도 없고 나이는 먹었고..
    다른분야로 시작이어려워서 국비지원학교(3개월~1년이하 커리큘럼)를 신청하여 설계분야 공부 후 자격증을 2개 따 놓았고 현재 취업전선에있습니다. 뻔한 소리지만 어학도 공부하는것이 좋은데 굳이 영어가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 심지어는 태국어를 유대하는 회사가 있으므로 자신있는것을 준비하면 될것같습니다.
    바쁜일정이있어 짧게 글을 남겨봅니다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52553 4년차 / 11학번 Lv 1

    누구나 하는 생각이라고 생각하네요
    대표적으로 gs가 있어요
    거기는 s1 s2 s3 s4
    아는 급제도로 대졸 초대졸 고졸 무기계약 이라는 타이틀입니다

    취업하기는 쉽습니다 단 내가 원하는 곳을 원하는 연봉을 받기힘들구요

    두가지입니다 전공을 살리고 그 전공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아는것과 전공외에 관련된 지식들을 쌓는것
    마지막으로 경력을 쌓는것입니다

    능력으로 보여주세요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84454 4년차 / 09학번 Lv 1

    여유가 된다면 편입을 도전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초봉과 입사할수 있는 회사가 많아집니다. 하지만, 큰 기업에 꿈이 없을 경우 바로 취직하여 경력을 쌓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취업을 하게되면 4년제보다 사회생활을 일찍 시작하는 점이 강점입니다. 첫 회사가 제일 중요해요. 열정만 보고 뽑아줍니다. 좋아보이는 회사는 꼭 다 지원하시고 2년정도는 버티셔야 다음 이직이 편합니다. 전문대를 극복할수 있는 방법은 탄탄한 포트폴리오입니다.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423764 16년차 / 94학번 Lv 2

    우리사회에서는 일반적인 사항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높은 학력을 가지고 있어도 센스가 없으면 사회에서 일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일은 누구나 합니다"
    그러나 얼마나 쉽고 빠르게 정확하게 하는 지는 본인이
    그 업무에 얼마나 정통한지 그 업무를 배울려고 노력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사수를 얼마나 좋은 사람을 만나느냐 이것도 중요하지요
    그러나 본인이 얼마나 노력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지금 회사에서는 전문인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예전처럼 가르치고 던을 투자해서 운영하는 것을 안하려고 합니다
    제가 이야기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말이지만 기본을 준수하기란 회사에서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기본지식과 센스를 견비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하시고 일하면서 이론으로 습득하신 지식이 맞는 지 확인하시고
    본인이 항상 자신있게 일을 하시면 학력에 대한 핸디캡은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전문지식, 일에 대한 센스, 대인관계, 협업부서의 대응
    이 부분은 필히 남보다 좋다고 타부서에서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2018-06-2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