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사회에서 전문대라는 타이틀에 관하여

조회수 19,666 2018-06-28 작성
분명히 취업에 있어 선배님도 많은 고민을 하셨을거라 생각 됩니다. 적어도 수과대에서 공부한 전공과 연계된 직업을 가지고자 했을때 인서울 사년제 대학에비하여 비교가 되죠. 취업시장에서 전문대란 타이틀을 갖고 극복하신 방법이나 후배에게 조언해주실만한게 있다면 한말씀 바랍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56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36123 5년차 / 03학번 Lv 1

    경험과 주위사람들봤을때 간판보다 전공이 중요합니다 후배님. 물론 대기업들어가고자 하실때는 간판이 중요하겠죠. 허나 어렵게 들어간 대기업도 미래를 보신다면 얼마못버티게됩니다.한마디로 줄이 없으면 연고대 나와도 40대에 퇴직하게됩니다. 그런경우도 제 주위에서 봤습니다. 결론은 전공이 중요하고 전공에 따라 취업걱정 없는것도 있고 간판이 필요없는것도 있습니다.스펙 쌓기보다 현장경험이 백배는 시간절약이며 선택한전공의 시장을 함 알아보시면 좋을듯합니다. 찾아보면 할일은 많습니다. 뽀대직종만 찾고자 하니 안할려하는것뿐입니다. 참고하시면 될듯해요.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51704 12년차 / 05학번 Lv 1

    전문대란 타이틀이 취업에 있어서 영향이 있는건 분명합니다.
    다만 대기업 혹은 중견기업의 취업에 있어서는
    일반 사년제와는 크게 차이가 없다 생각됩니다.
    전문대 졸업생을 찾는 회사가 사년제 졸업생을 찾는 회사보다 분명히 적은것은 맞지만 전졸을 찾는 회사중 건실한 기업이 꼭 있습니다.
    그러한 회사에 취업을 한다면 지금 당장은 연봉등 대우가 부족할 수 있지만 얼마든지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이부분은 취업후에 대한 방향이고 취업시 전공 이외에 별도의 나만에 장기를 준비해두어야 합니다.
    전공은 기본이며, 영어 또는 중국어등 외국어에 대한 나만에 옵션을 준비해두어야합니다.
    이답변이 조금 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36942 10년차 / 04학번 Lv 1

    타이틀은 타이틀일뿐 남보다 더 열심히하고 돋보이면 전문대라고 문제될건 없습니다.
    중요한건 자기자신의 의지력이 얼만큼인지가 중요합니다. 포기하지 마세요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182892 7년차 / 02학번 Lv 1

    무조건 자격증이요. 인서울 사년제에 비해 취업의 문의좁지만 캐드나 기타 자격증 필수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큰 기업이라고 다 좋은것도 아닙니다. 주위에 보면 강소기업들 많습니다. 회사 전반적인 시스템을 습득하여 동종계통의 사업으로 기회를 살리수도 있기에 미래를 본다면 기술직으로 입사하여 차츰 거래처와 연계된 영업방식을 배우고 차후 개인사업으로의 길을 열어가시길 추천드립니다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728541 15년차 / 96학번 Lv 1

    학력이 아닌 실력이 승!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57371 5년차 / 08학번 Lv 2

    전문대,4년제 비교가 아직까지 눈에 보이진않지만 비교가된다고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들보다 이거 하나는 자신있는 자기만의 강점 그리고 개성이 있다면 문제가없을것 같습니다. 공부한 전공과 연계된 취업을 하지않고도 충분히 다른분야로 나아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취업준비라 같은 상황으로써 극복방법 및 조언은 어려울것 같습니다.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84862 4년차 / 11학번 Lv 1

    전공에 따라도 다르고 사회생활 하다보면 기회도 많이 찾아오니 처음부터 원하는 곳으로 취직되면 좋겠지만 하고있고 하고싶은일을 할 수 있는 직장을 다녀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화이팅 하세요!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854799 11년차 / 00학번 Lv 1

    00번 학번 정보통신과를 다닌 선배로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전문대라는 타이틀을가지고 취업을 할때 대기업은 많이 힘들더군요. 솔직히 어림도 없더군요.그래서 중소기업 내가 하고싶은게 몬지 정확히 정해야해요. 전 공장도 다니고 이리저리 아르바이트도하다가 네트워크가 하고싶어서 학원다니며 배워서 작은 중소기업으로 시작을 했어요 중소기업은 낮은 연봉이지만 기술을 배우긴 좋아요 이를 악물고 버텼죠 내가 선택한 길이니까 공장보단 노트북들고 다니는게 뽀대 나는거 같아서ㅎ 지금도 계속 이쪽일을하고있어요 보안장비를 다루고 있으니까요 지금은 그럭저럭 먹고살만하게 벌고 일도 편하게 하고있죠 처음부터 돈을 많이 벌겠다는 생각은 안했으면해요 돈은 대기업이나 큰 회사를 들어가면 많이 벌겠죠 하지만 아직까진 학벌이 큰거 같네요 전문대로 시작하려면 돈은 포기하고 대신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명확히 정해서 그쪽일을 배울수 있는곳으로 들어가세요 가서 실무 경험을 쌓아요 그 경험이 내 자산이자 돈이죠 또하나 일하면서 만나는 업체 사람들이 내 인맥이자 이직에 도움을 주는 사람들이에요 대부분 이부분을 모르더라구요 경험과 인맥 이게 중요해요 여기서 당연한건 좋은이미지죠 사람과의 관계에서 중요한건 내가 좋은사람이라고 보여야하는것이니까요 지금 주변친구들보면 벌이는 다 비슷하더군요 물론 시작은 제가 비참했죠 ㅠㅠ 제가 느낀건 학력이 안되면 시간이 더 걸이더라도 경력과 인맥으로 차이를 극복해야해요 이부분이 팩트인거 같네요 지금 힘들겠지만 취업하더라도 또 다른 힘든생활이 있을거에요 암튼 힘내시고 제말이 조금이나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화이팅 후배님!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237513 12년차 / 07학번 Lv 4

    인서울 4년제와 비교는 당연히 안되죠.
    그들이 노릴 수 있는 취업시장과 수과대 졸업생이 노릴 수 있는 취업시장은 겹치는 부분도 있겠지만 거의 다릅니다.
    2~3년제 출신은 기본적으로 전공관련 자격증은 있어야 취업에 유리합니다.
    대기업은 경력직이 아니면 신입은 정말 어렵습니다.(대부분 불가능)
    인지도 있거나 탄탄한 중소기업에서 최소 2~3년 이상 경력을 쌓고 자격증 등급을 올린 후 중견 기업 경력직을 노리는게 가장 현실적인 사다리일 겁니다.
    영어나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 공부는 하시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외국어 커트라인 때문에 지원불가도 많습니다.
    사실 수과대 출신 대부분이 학업과는 거리가 멀어요.
    학교 학습도 자연히 수준이 낮아졌죠.
    별도의 개인 준비 없이는 밀려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후배님의 전공이나 목표는 모르겠으나 확실히 말씀 드릴 부분은 본인의 현재 위치를 알고 조금만 욕심을 내시길 바랍니다.
    큰 욕심을 내다가 기회를 놓칠수 있습니다.
    졸업한 시점이후 매년 나보다 젊고 더 뛰어난 경쟁자가 늘어납니다.
    취업준비 하실 때 그 부분도 감안을 하셔야 합니다.
    여기까지가 제 생각입니다.
    앞으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랄께요.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622903 9년차 / 01학번 Lv 1

    내가 전문대라는 타이틀은 그저 입사할때의
    내 소개서라고할까요
    입사를 해서 일을 하다보면 그런 타이틀은 단지
    선입견이라 생각이 들도록 더욱 일에 몰두하고
    지속적으로 자기개발을 한다면 그 격차는 메워지고도
    남을꺼라 생각드네요

    2018-06-2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