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A
500

Q Qa업무 어떤일을하나요 게임회사입니다

조회수 65,262 2020-08-06 작성
Qa게임회사 직무는 주로 어떤프로그램을자주사용하고 경력무관 학과무관 생신입이 도전할수있나요 코딩업무도있나요 영어사용도 많은지궁금합니다 품질보증이면 보고서작성시 ppt작업이많나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자동화테스트가 적용된 기업이라면 경우에 따라 자동화스크립트를 짜는 코딩을 해야할 수 도 있습니다.

    2020-08-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380958 네트워크엔지니어 / 16년차 Lv 3

    QA라는 직무는 품질보증이라고 번역하는데요...
    주로 하는 일은 제품의 설계 및 생산과정 또는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시장의 잠재수요 분석 등에 행해지는 여러 절차 과정을 정의하고 수립하는 직무에요
    주로 신입은 고참 밑에서 잡다한 문서작업을 하게됩니다
    엑셀을 많이 사용합니다
    엑셀 함수랑 수식에 대해 잘 알면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QA를 단순히 테스터와 같은 뜻으로 쓰기도 합니다
    QA가 코당하는 일은 없습니다만, 경우에 따라서 하는 사람도 있긴합니다

    2020-08-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444786 QA / 5년차 Lv 2

    Qa가 품질 보증이기 때문에 코딩을 직접 하는건 아니고요. 게임 게발에 참여하는 개발자나 기획자 등등 유관부서에 문제점을 다 공유하는데요.
    이때 회사마다 다르지만 bts라고 버그 트레킹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JIRA, Redmine, Mantis 요 세개가 주로 쓰이는 bts 프로그램이에요.
    영어도 회사마다 달라요. 외국 지사가 있는 회사면 영어를 써야겠죠. 또는 해외런칭 준비라던지. 그것 말고도 영어는 알면 좋아요. 해외 qa자료라던지 애자일 사례 이런거 보면 좋거든요.
    보고서도 회사마다 다를테지만 저는 엑셀로만 작성해봤네요. 엑셀에서도 차트나 뭐 그림삽입이 다되서 저는 엑셀만 썼어요.
    게임qa는 경력이나 학과보다 게임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많이 필요해요. 게임을 분석하거나 레벨 또는 퀘스트 구간별 허들이나 허점 이런거 찾는 능력 또는 플레이에 있어 변수나 의도적인 버그플레이를 찾는거? 요런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요즘 추세가 간단하고 기본적인건 자동화를 구축하는 추세여서 자동화 관련 코딩과 api 테스트 요정도는 코딩할 수 있으면 베스트입니다.

    2020-08-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905613 QA / 7년차 Lv 1

    주로 업데이트 사항을 테스트를 하게됩니다. 상황에 따라 치트툴 버그등록툴을 사용하지만 이 역시 난이도는 낮은편이라 학과에 관계없이도 신입으로 들어오셔서 배우고 적응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코딩은 알면 좋겠지만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모르셔도 괜찮습니다. 영어는 상황에 따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곳이 있고 없는곳이 있습니다. 보고서의 경우 ppt 작업으로도 할때가 있지만 엑셀을 주로 활용하여 지표로 보여줄때가 더 많습니다.

    2020-08-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69054 QA / 14년차 Lv 1

    게임 qa는 아니구 software qa 경험자 인데요.

    보통 개발 중인 software를 가지고

    플레이스토어 같은 마켓에 배포되기 전에

    먼저 해보고 결함을 찾아내는 직종이에요.

    테스트 할 때 회사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툴이 있는 회사는 그걸 가지고 테스트를 하시면 되고 따로 없으면 그냥 개발중인 software로 하면 됩니다.

    학과무관 이나 생신입 입사는 회사가 결정해요.

    코딩 업무는 없지만 software 구조나 네트워크 구조 os 구조 등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원리를 알면 테스트 하는데 유리합니다.

    영어를 말하진 않지만 자주 읽어요. 간단간단한 문장 검색해서 해석할 수 있는 정도의 독해능력은 필요해요.

    문서작업 도구 사용 비율은 엑셀 60% 워드 20% 파워포인트 20%정도 됬습니다.

    2020-08-07 작성
  • QA업무는 게임 기획단계부터 개발된 게임에 대해 테스트 계획을 세우고 개발이 완료되면 출시 전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게임을 테스트해 버그가 없는지 밸런스가 적절한지 등을 평가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개발자나 기획자한테 보고하는 업무를 합니다 아마 코딩업무는 없을거고 학과 무관하게 뽑는 경우도 많지만 관련 학과 전공이면 유리합니다. 게임QA는 게임을 많이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면 좀 힘들수도 있습니다

    2020-08-0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