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심층분석 4. TKG태광,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업데이트 2023.11.13. 조회수 2,948

 

고객, 자사, 경쟁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 현재 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현재 어떤 곳에 있고, 고객은 어떤 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경쟁사에 비해 어떤 비교 우위 전략을 가졌는지 살펴보자.


고객 분석(Customer)

Analysis 1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 ‘나이키’의 선호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투자은행 파이퍼 샌들러(Piper Sandler)가 2022년 미국 내 Z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 성향 조사에서 나이키 신발의 선호도는 60%를 기록했다. 2021년 대비 3% 증가했으며, 2위를 기록한 컨버스와 50% 차이가 났다. 국내 소비자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23년 8월 설문조사 플랫폼 메타베이가 실시한 스포츠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 50.9%의 비율로 1위를 차지한 것. 이 설문은 10~70대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2위를 기록한 아디다스의 선호도는 30.1%였다.



자사 분석(Company)

TKG태광의 시작은 1971년 설립한 정일산업이다. 초기 가내 수공업으로 출발한 사업은 신발 완제품 협력업체에서, 이후 신발 완성품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1980년 태광실업으로 사명을 변경한 후 신발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다 1987년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급격히 성장했다. 1989년 1억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한 데 이어, 1994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지 법인을 세웠다. 이듬해 베트남 현지 공장과 중국법인을 열었다. 해외 법인과 공장을 기반으로 사업을 키운 TKG태광은 2008년 베트남 2공장을 가동하고, 2009년 3공장을 착공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밀려드는 주문에 대응하고자 2012년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세웠고, 2013년 2억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하며 명실공히 대한민국 대표 신발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021년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그룹사명을 TKG로 변경, 지금의 TKG태광이 됐다. 현재 TKG태광은 나이키를 주고객으로 한 신발 OEM을 담당하고 있다.



경쟁사 분석(Competitor)
Analysis 1. 경쟁 사업자

TKG태광의 경쟁사로는 나이키 풋웨어를 제작하는 창신아이엔씨가 대표적이다.



Analysis 2. 경쟁 상황
# 창신아이엔씨

창신아이엔씨는 1981년 나이키의 물류를 담당하는 대신교역으로 시작했다. 1983년 나이키의 신발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1994년 베트남, 1995년 중국 내 해외 법인을 세웠다. 1998년 신발업계 최초로 Lean 방식을 적용했다. 이 방식은 일본 토요타자동차의 생산 방법으로, 각 생산 단계에서 불필요한 자원 지출을 제거하고 작업 방식을 최적화한 것이다. 당시 창신아이엔씨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토요타에 실습 직원을 보내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2000년 창신INC로 사명을 바꾸고, 2001년 신발 금형을 담당하는 계열사 창신정밀을 세웠다. 2007년 나이키 풋웨어 생산량으로 글로벌 톱3에 오르며, 나이키의 핵심 벤더 자리에 오르게 된다. 2010년 중국 공장과 베트남법인 신발개발센터, 인도네시아 해외 법인 등을 설립하며 글로벌 제조기업으로 부상한다. 2019년 베트남법인이 나이키 MI Score GOLD 등급을 달성하며 World Class Manufacturer에 다가가고 있다. 창신아이엔씨의 2022년 매출액은 2조 741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909억 원이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