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알림설정이 추가되었습니다.
속보는 잡코리아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제부터 아래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신규로 등록된 공채를
    실시간
    으로 알려드려요.
  • 신입에 맞춘 큐레이션
    콘텐츠
    를 알려드려요
  • 단 1건의 공채도 놓치지 마세요.
    마감 1일 전 다시 한번 알려드려요.
잡코리아 앱이 없으신가요? 잡코리아 앱 다운받기
Google Play
App Store

공채 세부메뉴

최근 본 메뉴
선배에게 질문하기 (재직자 추가)

Live공채소식 > 공지사항

황금 같은 겨울방학! 2013년 상반기 공채를 위한 공모전 전략공개

2012-11-22 10:21 조회수 23,069 댓글수6

안녕하세요~♡ 라이브공채소식 알림이 담당자 늠름입니다~!


상금과 영예 등의 혜택을 누리는 매력적인 공모전~! 취업가산점+특별채용까지 가능한데요~!!! >_<~!
여러 기업에서 다양한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도전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쉽게 엄두가 안 나시죠?
공모전에 참여하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할 다섯 가지 전략을 아래 기사를 통해 체크하고 나의 잠재능력을 발휘해 봅시다!






최근 인재를 선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공모전’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이 늘고 있는 추세다. 다른 기업의 공모전 입상자를 우대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자체적으로 공모전을 개최, 입사 시 가산점을 주거나 특별채용 기회를 부여하는 등 우수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창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모전 도전을 위해 구직자와 대학생들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다음은 잡코리아 신입공채 서비스 ‘신입사원(www.jobkorea.co.kr/starter)'이 밝히는 ‘공모전 도전 성공 전략’에 대해 소개한다.



공모전 개요와 과제를 확실히 숙지하자
공모전 정보를 접했다면 일단 해당 공모전의 웹사이트에 접속해 공모전의 개요 및 주어진 과제를 확실히 숙지해야 한다. 회사가 △원하는 방향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어느 부문(논리력, 참신성, 현실성 등)을 가장 중점적으로 심사할 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기 위함인 것.

과거 수상작을 꼼꼼히 살펴보자
본인의 참여 희망 공모전을 결정했다면, 과거 수상작들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과거 수상작들을 보면서 자신의 기획방향과 중복되는 것은 없는지 체크해보고, 작품이 수상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팀을 이뤄 공모전에 도전하는 게 유리하다
개인보다 팀을 이뤄서 공모전에 도전하는 게 유리하다. 팀워크, 다양한 아이디어, 자료수집 시 시간 절약 등등 개인으로 할 때 보다 장점이 더 많다. 특히 공동목표를 함께 공유하고 의지할 수 있는 팀원이 있다는 건 공모전 도전에서 큰 힘이 될 수 있다.

주제선정이 반이다
공모전 주제 선정 시에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하다. 적어도 트렌드와 관련된 책 5권 이상은 읽어볼 정도로 창의적인 주제를 고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최근 이슈화 된 주제를 선정하되 실제적으로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여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어떤 기업도 자신의 이익이나 매출증대를 등한시하지는 않기 때문. 또 기존에 있는 것들을 어떻게 퓨전 시키는지의 여부에 따라 참신성이 발현되기도 한다.

결과물의 포장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포장작업에 있어서 일례로 광고공모전의 분야는 얼마나 파워포인트를 깔끔하고 일목요연하게 만드느냐가 관건이고, 논문공모전의 경우는 얼마나 시의성 있는 자료들을 인용했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는 것. 특히 공모전을 준비하는 사람들 중 간혹 제목과 목차 만드는 작업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목과 목차는 그 작품의 얼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통 공모전을 심사할 경우 많으면 수백에서 수천 점의 작품을 심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심사위원들은 작품의 제목과 목차만을 보고 전체를 평가하기도 한다. 일단 제목과 목차가 심사위원들의 눈에 들어와야 끝까지 꼼꼼하게 읽혀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신입사원이 되려면 잡코리아 신입사원에서
좋은일연구소
  •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목록으로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 네이글 2012-11-22

    솔직히...공모전 준비해서...당당하게 기업에 입성하고 싶은 마음은 있다긔..그런데...그냥 입사하는 칭구들도 있는데...모임짜서 그룹 만들고..기획하고...준비하고..발표하고...운좋아서 면접 보고 채용되고...불확실한것에 왜 매달려야 하냐긔....내가 수동적인 건지 몰라도...너무 멀게 고생해서 돌아가는 길은 왠지 가고 싶지 않다긔....이러니 계속 백조라긔...울고 싶다긔....~ 답글달기

    • 신세계 2012-11-23

      공모전에만 매달리지 말고 다른 길도 충분히 많으니 또 다른 것에 도전해볼 생각은 어떻긔? 그럼 신세계가 열릴것이니라

    • 그러니까백조라긔 2012-11-22

      마음은 있는데 왜 매달려야 하냐긔 하신다면 어찌하오리까?

    • 소중한의견 2012-11-22

      그럼 아무것도 하지 마셈~

  • 내가공모전이다 2012-11-22

    공모전 준비하는 친구를 봤는데 대학생때 한번쯤은 해볼만한 듯ㅋ 물론 요즘에는 스펙 준비 단계에서 하는 친구들도 있긴 한데, 모르는 학교 사람들끼리 모여서 기획부터 준비하고 작업하고 .. 나중에 추억으로도 남을거고 .. 좋은 인연도 만들고 .. 자기 발전도 되는거 같아요. 답글달기

    • 초겨울 2012-11-23

      저도 대학다니면서 새로운 경험들을 많이 하고 싶어서 이런저런 저도 잘 모르는 공모전에 많이 참여했었는데 확실히 도움이 되긴 됐었어요~ 그래서 그 덕분에 좋은 곳에 입사도 했고요 ㅎㅎ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Tell me about yourself` 영어면접 질문 트렌드 잡아라!
이전글
★2012년 동방그룹 신입 및 경력사원 공개채용 서류결과 발표!

신입공채의 모든 자료는 취준생 여러분들의 공채 합격을 위해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엄선하고 집필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