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타 서비스 메뉴

유료 채용광고 문의

잡코리아 고객센터

1588-9350

평일
09:00 ~ 19:00
토요일
09:00 ~ 15:00
유료서비스 문의

배너

오늘 당신은 무엇을 위해 일하셨나요 (ft. 업무의 본질)

HR매거진 2023.07.03 15:14 1033 0

 

 

안녕하세요. 실무초밀착 포스팅 HR포스팅입니다.

 

인사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무엇일까요? 직무, 성과, 역량 등 많은 단어가 떠오르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이 물음에 대해 ‘성과책임(accountability)’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성과책임, 조금은 낯선 느낌의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인사관리에서 성과책임이 왜 중요할까요?

 

 

성과책임의 중요성에 대해서 청소업무를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강의실을 머릿속에 떠올려보세요. 강의가 끝나게 되면 미화직원이 강의실을 청소합니다. 강의실을 청소하다보면 책상, 걸상이 놓여있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성실하게 꼼꼼히 청소하를 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그분과 대화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

‘한 가지 여쭤봐도 될까요?, 무슨 일을 하시나요?’

‘네 저는 청소하는 사람입니다’

‘네 그러시군요. 한 가지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그 청소는 왜 하시나요?’

(잠깐의 침묵의 시간이 흐름)

‘청소를 왜 하냐고요? 깨끗하게 하려고 하지요’

 

이 대화 속에는 인사관리의 정말 중요한 개념이 녹아있습니다. 바로 성과책임입니다.

강의실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이 강의실 청소의 성과책임인 것입니다.

 

성과책임이란 ‘해당 업무가 성과를 창출할 책임’을 말합니다.

성과책임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을 하세요?’라고 질문하기보다 ‘그 일을 왜 하세요?’라고 질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볼까요.

 

성과책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업무와 성과책임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의 예시에서 강의실 청소는 업무이고 강의실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성과책임입니다.

업무와 성과책임이 혼동될 경우에는 이런 문장을 한번 만들어 보면 도움이 됩니다.

‘나는 (               ) 위해 일한다’

한번 괄호안에 업무를 넣어 보겠습니다.

‘나는 (강의실 청소를) 위해 일한다’. 문장이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나는 (강의실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일한다’. 문장이 자연스러워 졌습니다.

성과책임은 업무 목적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나는 (       ) 위해 일한다’는 문장이 성립하면 성과책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 주변 조직의 리더는 크게 2가지 스타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업무를 강조하는 리더입니다.
‘홍길동씨 강의실 청소 다 했나요?’라고 묻습니다. 업무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업무를 수행했으나 강의실이 깨끗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두 번째 성과책임을 강조하는 리더입니다.
‘홍길동씨 강의실 깨끗한가요?’라고 묻습니다. 성과책임이 달성되었는가를 확인합니다. 만약 성과책임이 달성되지 못했다면 어떻게 성과책임을 달성하지에 대해서 함께 고민하고 방안을 찾습니다.

여러분 조직의 리더는 어떤 리더신가요? 업무를 묻는 리더인가요? 아니면 성과책임을 묻는 리더인가요?

 

오늘도 이레이버는 HR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본 기사는 이레이버(www.elabor.co.kr)의 내용입니다. 

이레이버의 더 많은 기사를 보고 싶다면 아래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www.elabor.co.kr

  

  

 

이전글
며칠 안남은 6월, 연차사용 촉진 지금부터 챙겨야!
다음글
쉬는 날의 경제학(휴일근무 vs 휴가일 근무)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

의견 나누기
댓글
0

0 / 3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