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합격자소서

㈜KT 2016년 하반기 신입 시스템엔지니어합격자소서

합격자 정보

  • 수도권4년
  • 컴퓨터정보공학부
  • 학점 3.6/4.5
  • 자격증 1개
  • 인턴 1회
  • 수상 1회
  • 자원봉사 1회
  • 5,161읽음

합격자소서 질문 및 내용

답변
[KT-스마트그리드]

2015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코리아 스마트그리드 엑스포에서 KT가 선보인 미래의 에너지 기가토피아를 통해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LTE 통신을 통해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전기 회사로 전송하는 스마트미터 개발을 경험한 저에게 미래의 에너지자립도시를 목표로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 중인 KT와 가까워지고 싶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KT는 세계 최초로 에너지의 생산-소비-거래를 통합 관리하는 KT-MEG 센터를 운영함으로써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ICT 기술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에너지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창의적인 사고와 전문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인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문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역량]

개발 전문가 교육기관인 oo아카데미에서 모바일 서비스 개발 기술을 습득하고 어플리케이션 상용화를 경험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LTE 모뎀칩 생산과 솔루션 판매를 주로 하는 기업에서 인턴쉽을 통해 전반적인 실무와 조직문화를 체험함으로써 전문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역량을 키웠습니다.

[창의적인 사고]

저는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문 쇼핑몰 최초의 O2O 방식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를 창업하였습니다. 저의 창의적인 사고를 KT 스마트그리드 분야를 선도하는데 기여하겠습니다.

[KT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KT에 입사하게 되면 스마트그리드 분야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데 적극적으로 임하겠습니다. KT의 우수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가정의 에너지 현황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세계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선도하는 KT가 되는데 이바지하겠습니다.

글자수 8391,418Byte

답변
기존 쇼핑몰의 B2C 구조를 벗어나 쇼핑몰 최초의 퍼스널 스타일링 O2O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목표로 기획자, 디자이너, MD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창업한 경험이 있습니다. 저는 약 5개월에 걸쳐 모바일 쇼핑몰의 Front/Back-End 시스템 개발을 맡았습니다. 창업을 통해 배울 수 있었던 것은 급할수록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이라 더 중요했던 원칙]

하루라도 빨리 서비스를 상용화하자는 어수선한 초반 팀 분위기에도 개발에 있어 중요한 설계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문서화의 원칙은 간과하지 않았습니다. 설계 초기부터 기획자와 함께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을 설계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Restful API,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조를 문서화하였습니다. 이는 이후 시스템 구조의 확장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필수 원칙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디자이너와는 UX/UI를 함께 구상하여 UX Layout 개발의 효율성을 위해 디자인 Guide Line을 작성하도록 하였습니다.

초기 기능 설계를 문서화함으로써 불필요한 기능 구현을 미연에 방지하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또한 디자인 Guide Line 문서로 UX 구현 중 디자이너에게 일일이 문의하지 않고 해당 문서를 통해 개발함으로써 디자이너의 수고를 덜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초기 계획하였던 개발 기간 보다 약 1개월 앞당겨 서비스를 완성하고 상용화 할 수 있었습니다.

창업을 통해 설계-분석-문서화라는 원칙은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끄는 원동력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창업을 통해 배운 원칙 준수의 중요성을 KT에서도 실천하여 KT가 고효율 저비용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이바지하겠습니다.

글자수 8341,384Byte

답변
[무지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책임감]

대학교 4학년 때,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으로 이루어진 패션 쇼핑몰 창업 팀에서 모바일 앱의 Front/Back-End 시스템을 개발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 관련 전공자는 저 혼자였기 때문에 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서비스를 개발해야 된다는 책임감을 안게 되었습니다.

개발 전문가 교육기관인 oo 아카데미에서 안드로이드, 모바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전반적인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 대한 역량을 키웠던 덕분에 서비스 구현에 있어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해 나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결제 시스템 구현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일반적인 PG사의 결제 모듈은 PHP 기반인데 반해 제가 당시 개발한 Javascript 기반의 서버 플랫폼인 Node.js와 관련된 코드 샘플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PHP 프로그래밍은 경험해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중간에 새로운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 프로젝트에 큰 부담이었습니다. ‘서비스의 주인은 나’라는 책임감으로 곧바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하였습니다.

PG사 측으로 여러 번의 전화와 메일을 통해 구현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전화와 메일 만으로는 구현을 이해기 힘들다는 한계를 느끼고 PG사 실무자와 미팅 계획을 세우고 주기적인 접촉을 통해 직접 결제 시스템 개발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노력 끝에 결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었고 계획하였던 개발 일정에 맞추어 서비스를 상용화 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무지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고 직접 배움을 자청한다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글자수 8441,416Byte

답변
[스마트미터 구현에 직접 동참]

대학 졸업 이후, LTE 모뎀칩 생산과 솔루션 판매를 주로 하는 기업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LTE 통신을 다루는 실무적 지식을 배웠습니다. 인턴 기간 중 KT의 LTE 통신을 이용하는 스마트미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맡은 역할은 Client Application에서 측정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LTE 데몬으로 전달하는 Server를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수의 Client가 수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Multi Thread를 이용하여 Multi Client Socket Server를 구현하였습니다. 또한 Socket의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위해 패킷 전송방식은 TCP로 구현하였습니다.

하지만 Socket Bad File Descriptor Error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Socket Server가 다수의 Client가 전송한 패킷을 Client 단위 순서대로 수신하는 동기식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Multi Client에서는 비동기식 구조로 구현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팀 내의 시니어 개발자에게 요청하여 해당 문제에 대해 조언을 구하였습니다. Socket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Read라는 메소드는 동기식으로 처리되어져 있고 이를 비동기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Client와의 Connection에서 Blocking이 아닌 Nonblocking으로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제가 맡은 Multi Client Socket Server를 완벽하게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스마트그리드 시장에서 한 축인 스마트미터를 구현한 실무경험을 통해 KT가 꿈꾸는 에너지 기가토피아 세상을 만들어가는데 큰 힘이 되겠습니다.

글자수 9161,409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