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취업뉴스
뉴스

컨설턴트가 알려주는 NCS-말 많고 탈 많은 NCS 전격분석!

잡코리아 2016-04-15 17:30 조회수2,554

지난 해보다 많은 공기업이 NCS 채용을 시행하고 있는 2016년 상반기, 그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지원자들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전투에서 승리한다는 말처럼 NCS 역시 어떤 시스템인지 확실히 알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잡코리아가 준비했습니다. 시험과 취업 준비를 병행하느라 바쁜 취준생분들을 위해 NCS에 관해 꼭 필요한 정보만을 골라 여러분들께 소개해드립니다. 우선은 NCS가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분류체계는 직무의 유형(Type)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으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 → 중분류(80) → 소분류(238) → 세분류(887개)’의 순으로 구성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직업분류, 산업분류 및 자격분류 전문가, 해당산업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수렴을 거친 후 직종구조분석을 통해 마련된 것입니다.

 

 

여기서 대분류는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로 한국고용직업분류 참조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대분류를 바탕으로 대분류 내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산업이 유사한 분야, 노동시장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경력개발경로가 유사한 분야, 그리고 중분류 수준에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재하는 분야를 중분류로 분류됩니다.

 

소분류는 중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와 소분류 수준에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재하는 분야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분류는 소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와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직업 중 대표 직무로 가장 하위 단위라고 보면 됩니다.

 

NCS의 분류는 지원자가 자신의 직무를 찾아보는 데 기본이 되며 전체 산업군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직무분석의 기본이 되는 NCS 분류 체계.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ㅣ김태진 컨설턴트 fabmods@

 

관련글 더 보기

> NCS에 대해 더 알아보기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이동 시간과 교통비를 줄이는 꿀팁! '대학가 알바'에 지원하자!
이전글
직장인 66% 기회 된다면 외국계기업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