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반도체(펠리클) 전자공학에게 요구되는 역량?

조회수 1,076 2023-03-26 수정

전적대(학점 4.08)에서 편입했습니다(학점3.73)


TCAD NMOS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반도체 8대 공정

포토공정

공정 실습(8대공정)

빅데이터 분석 (python 이용 데이터 시각화 및 불량 추적)

등 외부 교육 수강하였습니다.

영어는 IM2를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반도체 관련 직무 되는 곳 지원하다가 이번에 반도체 펠리클분야 OQC 면접을 보게 됬습니다.

중견기업이며 직원규모는 700명 정도에 초봉은 3500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면접이 인성 직무 나누어서 보는게 아니라 한번에 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 직무 소개를 확인해보아도 품질관리에 필요한 역량이나 업무 방식들이 나와 있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전자전기 공학도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 있을까요?


또한 제가 더욱 가져야할 역량이 무엇이 있을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71840 반도체엔지니어 / 25년차 / 87학번 Lv 3

    열공하신 반도체 공정과 현재 면접준비하는 업체와는 OQC와는 상관성이 많이 떨어져 보이네요.Pelicle =Mask는 아시겠지만 단위 공정(Photo)중 한 step이지요.MOS 동작을 Simulation해 보았다니 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device,소자 관련 경험들이 학부에서 있으시니,중소,벤쳐기업이나 IDM업체에 소자 개발쪽 업무가 맞으실듯.삼성(PA),DB,SK,Magnachip등은(PI)라고 하죠.OQC관련해서는 바로 아래 답변주신 분의 의견이 백분맞구요.전 반도체 30년(소자,분석,품질,...) 87학번이도 합니다.후배님의 건승을.차분히 다른 곳도 알아보심이.
    아~한가지 소자는 SiC나 GaN쪽으로 지원해보세요.향후 Automotive등이 전망이 아주 밝아요.

    2023-06-14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002437 생산·공정관리자 / 11년차 Lv 2

    산업 입문하는 사회초년생에게 직무에 대한 역량을 크게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동종 업계 경력이 아닌 이상 어차피 회사에서는 다시 직무교육을 해야 하고, 실무 적응기간이 필요하므로
    이력서에 적힌 자격증 및 인증, 실습은 참고사항 정도 입니다.
    품질관리와 반도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그리고 인성을 봅니다.
    품질관리쪽은 FMEA 라든가, 통계분석 툴을 다룰 줄 안다면 어필하는데 있어 메리트가 있겠으며,
    출하검사는 인성도 많이 봅니다. 꼼꼼함과 인내죠. 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는 만큼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회사의 규모에 따라서 문서 업무도 상당합니다. 규모가 작을수록 난이도가 올라가죠, 규모가 크면 파트별 또는 팀별로 업무분장이 되어 있지만 작으면 검사파트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다하거든요
    ex) ISO인증,내부심사원,품질데이터 관리, 분석, 장비/계측기 관리, 문서관리, 불량현황 등등
    불량 검사유출에 대한 스트레스, 내부 공정들과의 업무상 마찰, 납기와 부적합 홀딩간의 괴리 등등
    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도 큰 파트이므로,
    면접관은 직무관련. `반도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EUV 공정에 대한 이해` 정도의 질문을 던질 수 있겠고
    인성 관련해서는 "본인이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방법" 또는 "성격의 장단점",
    "업무상 마찰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등으로 과연 직무적합도를 판단 합니다. `인내심`, `유연성`을 보려는 질문을 주로 합니다.

    2023-04-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83110 전기·전자엔지니어 / 5년차 Lv 5

    PMOS든 NMOS든 품질관리에 중점 포인트를 콕 집어서 설명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품질관리는 결국에 완제품 품질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죠.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잘 지킬수 있어야 합니다.
    1. 분석절차 준용
    2. 절차별 가이드하는 레퍼런스 준용
    3. 절차별 오류발생에 따른 트러블 분석 및 개선
    4. 관련기기 관리
    5. 분석 데이터 및 결과를 기반으로한 공정이슈 발굴
    6. 새로운 품질표준의 제공
    7.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수율관리 솔루션 시스템 개발

    이러한 것들이 QC직무 커리어라고 알고 있어요.

    머리속에서 막짜낸거고 유관부서 업무라 옆에서 보고 제가 느끼는바를 적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2023-03-2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90328 온라인마케터 / 32년차 / 81학번 Lv 1

    실력과 발표력 즉시 대응 능력이겠죠

    2023-03-2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