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테크니션에서 엔지니어로

조회수 2,625 2023-03-02 수정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외국계 배터리 품질 공정 기술 직무에 최종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고민거리가 있습니다.


공고부터 면접 후 최종 합격까지 상황을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공고 당시 국내에서 몇 개월 동안 근무 후 미국 지사로 이동하는 정규직 계약이었습니다.

처음에 공고문에 4년제 학사 졸업생을 원하여 당연히 엔지니어 직무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최종 합격이후 고용 계약서를 보니 아니더군요... 하지만 페이가 일반 생산직이라 하기에는 너무 높고, 엔지니어로 성장 예정이라는 말에 일단 다니면서 내부 사정을 알아보자는 마인드로 입사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면접 주 내용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면접관께서 학사이지만 초반에는 단순 생산직이어서 힘들 수 있다. 괜찮은가?

2. 영어를 잘해야 한다

3. 미국 기업의 경우 학사, 석사 등 무엇을 졸업했던 생산직부터 시작해서 업무 경험을 쌓고 성장한다 알고 있는가?

4. 커리어 시작하기에 너무 좋을 것이다. 잘해봐라 등의 말을 들으면서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최종 합격과 함께 최종 합격문에 직무 안내서에 보면 ` 한국지사에서는 테크니션 직무를 수행하고, 미국 전환 이후 엔지니어로 성장 예정`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인사과에 ` 한국에서는 생산직(테크니션) 업무로 계약하고, 미국에서는 근무할 때는 엔지니어로 계약을 재갱신하는가?`에 대해서 여쭈어보았습니다. 하지만, 확답을 주진 않고 미국 정규직 전환 이후는 고용 계약을 재갱신하는 것이 맞다. 그리고 성과에 따라 직책과 직무는 변경될 수 있다`라는 추상적인 답변만 해주셔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이런 경우를 검색해봐도 찾기가 매우 어려웠고, 몇몇 답변을 보니 `테크니션`과 `엔지니어`의 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직무 변경이 되기 매우 어렵다는 글들을 몇몇 보게 되었습니다. 만약, 테크니션에서 엔지니어로 성장 시켜준다면 조건이 너무 좋아서 다니고 싶지만 명확하게 들어난게 없어서 고민이 됩니다.


#질문 요약

1. 최종 합격문에 직무 안내서 중 ` 한국지사에서는 테크니션 직무를 수행하고, 미국 전환 이후 엔지니어로 성장 예정` 이라는 말이 단순 말장난 일까요? (인사과에 질문해도 성과에 따라 다르다. 라는 추상적인 말만 듣게 되었습니다)


2.  미국 기업은 학사, 석사등 처음 입사이후는 테크니션 업무부터 시작하여 성장한다. 이말이 사실인가요?


3.  미국에서 테크니션으로 시작되어 엔지니어로 성장시키는 경우가 있나요?


4. 미국에서는 테크니션에서 엔지니어로 변경되는 것이 승진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5. 만약 다녀보다 생산직으로만 끝날거 같다면 퇴사를 하려 합니다. 미국에서 품질 테크니션 업무를 했었던 경력은 향후 품질 엔지니어 직무 지원시에 도움이 될까요?


5. 추가적으로 조언할 거리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안녕하세요 궁금한 게 있는데 혹시 연락 가능하실까요?

    2023-11-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91386 품질관리자 / 6년차 Lv 1

    1,2,3번은 다녀봐야 아는 것이고 기업마다 문화가 다르니 알수없습니다
    4번은 승진의 개념이아니라 요즘 추세입니다
    5번 당연히 도움될거 같습니다
    우선 조건이 좋다면 다녀서 나쁠건 없다고 봅니다 어짜피 직무안내서랑 다르면 퇴사하면되죠

    2023-03-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778864 시설관리자 / 10년차 Lv 4

    글쎄요. 생산직과 기술직은 자격사항과 시작점부터 다릅니다.
    영어가 필수라니 현장내 관리자로써 운영부서와의 소통문제이거나 추후 해외 공장에 생산직 관리자로 파견을 염두해두고 채용하려는 거 같은데요.
    면접관의 3번 얘기는 되도않는 소리고 본인이 기술직을 원하시는거라면 4번 역시 헛소리가 되겠네요.
    기능직과 기술직을 구분하는 거라면요.

    또 기능직을 기술직과 혼동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저는 관리운영책임자라 잘은 모릅니다만 그 분야 기술사 자격증을 갖춘 팀장님, 감리분들 얘기로는 엔지니어라고 하려면 최소한 전공학위 또는 기사자격증과 직무경력을 갖추고 기술사 응시는 할 수 있어야 엔지니어라고 할 수 있답니다.

    2023-03-0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85554 품질관리자 / 19년차 Lv 2

    테크니션과 엔지니어 차이가 현실보다 많으며 일에 대한 레밸도 차이가 있습니다

    2023-03-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768628 생산직종사자 / 25년차 Lv 3

    테크니션이란 약간의 기술적인 생산업무를 하는 직무임. 단순 생산직과는 좀 다름. 우선 급여가 단순생산 보다 높다. 다만 엔지니어 업무는 하지 않으므로 32세까지는 해도 무방함. 그후 준비해서 반드시 35세까지는 엔지니어로 이직해야 그후 관리자로서의 일을 할수있음. 질문중 3번은 미국이라 그렇다고? 이상함. 미국회사라고 석사가 대우 받지 않고 생산직부터 일하는 경우가 어디있나? 몇개월 OJT 라면 모를까...

    2023-03-0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9444186 IT·기술영업 / 43년차 Lv 4

    어느 업무든 중요한 것은 본인 자신이 결정 해야만
    합니다 ᆢ
    외국기업이므로 신빙성,믿음은 조금높으리라
    생각 합니다
    특히 멀티잡을 강요하는 외국기업들 ᆢ
    젊은 패기로 도전해 보세요
    자신을 믿고 충실히 한다면 3년후에는
    좋은 결과 기대합니다
    합격 축하드려요 ᆢ화이팅 입니다 ᆢ!

    2023-03-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92804 품질관리자 / 10년차 Lv 2

    별 의미 없지않나요??
    저도 인서울 4년제 공대 출신이고 지금 회사가 5번째 회사이고
    엔지니어 엔지니어 테크니션 엔지니어 테크니션 순서로 입사했는데 하는 업무는 거의 비슷합니다
    본문에 단순생산직이라고 하셨는데 포지션이 테크니션이어도 퀄리티 테크니션 아닌가요?
    프로덕션 테크니션으로 가시는게 아닌이상 왜 단순생산직이 되는지 모르겠네요

    2023-03-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99375 8년차 Lv 1

    어쨋든 첫째는 생산직 근무로 시작한단 말이고
    둘째 엔지니어로 직무변경은 하기나름이라는 말같고요
    그냥 짧고 굵게 말하자면 말장난으로 좋은인재 생산부로 써먹겠단 말입니다 직무변경 자체가 말이 안되는 포지션이잖아요 막연하게 직무변경 바라고 해보던가 나가던가 둘중 하나가 답일거 같습니다 본인의 선택…

    2023-03-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287180 품질관리자 / 23년차 Lv 2

    생산직입니다. 미국이라고 해서 무조건 생산직에서 사무직으로 바로 되지 않습니다. 미국도 생산직에서 사무직 되기 어렵습니다. 본인이 충분히 감당할 자신이 있으시면 지금의 회사 다녀도 되지만 굉장한 어려울 거라는 것을 알고 하세요.

    2023-03-0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