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설계원가 직무 질문입니다.

조회수 829 2022-09-22 작성

 이번 현두인 설계원가 직무 지원해보려고합니다. 설계원가로 찾아보니 정보가 없어 원가관리로 검색하여 간단하게 하는 일 조사해봤습니다.

1.설계 팀에서 수정사항 발생 시, 변경 된 과정에 대해 부품의 원가를 분석

2.만일 구매원가관리라면 거래처에서 제시하는 원가의 타당성 분석

정도로 이해했고, 타회사 원가관리 직무의 경우엔 상경계열 지원자를 찾더라고요.

현두인 설계원가에 대한 정보는 적고, 이해한 내용 또한 맞는지도 확실치 않습니다. 혹시 해당 직무에 관련해 아시는 내용 있으시면 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80844 기계엔지니어 / 31년차 Lv 3

    일반적으로 설계/개발원가와 구매원가는 차이가 있습니다
    1. 제품 개발전 목표가를 기본으로 제품 구성에서 적정한 가격을 맞추기 위하여 설계도면 작성 또는 개발시
    도면에 제품 재질 및 공정을 반영하는것을 설계원가로 일반적으로 보면 됩니다.

    설계변경 추가 원가는 그이후에 spec에 미달시, 원가를 반영.

    2, 구매원가는 양산시 이익창출을 얼만큼 하는냐?
    즉, 같은 재질 및 공정이라도 가격 차이가 발생되기때문에 나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몇개의 업체 견적을 통하여
    이익을 창출하는것으로 보면 됩니다.

    2022-09-2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5350 전기·전자엔지니어 / 15년차 Lv 5

    해당 직무 대해서는 현직자가 아닌 이상 정확히 아는거 어려워요
    근본적으로 저 직무에 대해서 공부해 보세요 대략적으로 어떤한 일을 하는건지?
    님 생각대로 정확히 저 직무에 대해 알고 면접에 임하면 좋겠지만
    이런 채용 사이트에서 현직자이지 않은 이상 몰라요

    그리고 설계쪽에서 부품 정할 때는 회사마다 고객사 마다 다 달라요
    보통을 고객사에서 주요 부품들 선정 해 줄 때도 있거나 아님 회사 스스로
    어떤 설계 하냐? 따라 부품 선정하는게 다릅니다

    보통 수급 또는 가장 범용적인 부품들로 선정 합니다
    그래야 생산이나 개발시 납기 안정적이고 검증 된 제품으로 설계해야 리스크가
    적으니까요

    2022-09-2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