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기계과 진로

조회수 14,316 2022-09-19 작성

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공학과 4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취준을 준비해야하는 시기이다보니 기계설계쪽으로 알아보고 관련 직무경험도 쌓고있습니다.


하지만 워라벨이 심하게 지켜지지 않고 하는 업무량 대비 박봉이라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직무를 알아볼까 하는데 기계과 학사 나와서 기계설계보다 나은 직무가 있나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35446 설계엔지니어 / 14년차 Lv 3

    아는 범위에서 답합니다.
    기계공학엔지니어가 할 수 있는 일들은 많습니다. 진출 가능한 분야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정유, 석유화학, 화학, 철강, 바이오, 디스플레이 등입니다. 산업 분야나 개인 적성을 우선 정하고, 해당 분야에서 기계공학 기반의 직무를 찾기를 권고 드립니다. 얼마나 오래 일 할 수 있을지는 직무보다는 분야가 결정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길게 보면 우리나라가 세계 1등이 가능한 반도체, 바이오 분야가 좋습니다. 배터리와 디스플레이는 중국 때문에 쉽지 않은 분야입니다. 반도체는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른 곳이고, 철강/석유화학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자동차는 모든 것이 바뀌는 중입니다.

    제가 아는 범위 내의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제품 개발 및 설계:
    - 회사의 설계팀에 입사하여 제품의 개발, 제품의 도면화, 제품의 표준화 업무를 수행하는 것
    2) 생산기술:
    - 제품 생산에 필요한 공정별 장비를 유지 및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설비를 설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
    - 반도체 라인에 들어가 맞은 기계를 상태 유지 및 최적화 등등을 행하는 업무
    - 이미 완공된 대형 플랜트(정유, 화학등)의 유지/관리를 행하는 업무
    3) 연구
    - 제품의 개발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의 확보와 관련된 연구 행위, 지식 탐구 행위, 확보된 기술 및 지식을 설계 및
    판단에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개발을 행하는 업무
    4) 수주 프로젝트 진행 PM
    - 수주 산업의 경우, 수주한 프로젝트내에서 업무분장에 따라 부여된 제품군의 기술 및 고객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협력
    업체 및 구매품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행위들을 행하는 업무
    - 대형 플랜트 건설 EPC회사에 취업한 프로젝트 엔지니어들이 행하는 업무
    5) 기술 기반의 회사에서 채용하는 기술영업 엔지니어
    6) 기계 기반 회사의 품질 엔지니어
    7) 기계 공학 및 설계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IT 엔지니어 (예, PLM개발, PM등)
    8) 기타 등등

    2022-09-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37281 경영·비즈니스기획 / 37년차 Lv 1

    1.안녕 하세요ㆍ공대에서 기계공학과의 진로는 아주 많읍니다ㆍ
    2.기계 설계쪽도 아주 좋읍니다ㆍ
    3.진로를 변경코자 이유가 박봉과 격무로 나오는데요ㆍ우선 이것부터 말씀을 드리지요ㆍ
    (1) 박봉을 벗어나는 첫번째는 대기업에 첫직장을 잡는것을 추천 드립니다ㆍ첫직장을 여기에 잡아야, 연봉도 높고, 다음에 중견, 중소기업으로의 이직이 좋으나, 첫 직장이 대기업이 아니면, 대기업으로 이직 하는것은 아주 어렵읍니다ㆍ
    (2) 격무는, 주 52시간제가 정착화 되어서, 대기업, 중견기업은 잘 지키고 있읍니다ㆍ
    중소기업은 준수율이 50%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중소기업도 직장 확정전에, 면접시 확인을 하시고, 제대로 이행하는 조건으로 근무를 시작하면 됩니다ㆍ

    3.이제 질문에는 우선 대답을 드린것 같고,
    더 중요한것은 어느 업종에 첫 직직장을 잡고, 첫 회사의 첫 근무 부서를 정하는것이 더욱 중요 합니다ㆍ
    이것을 정하기전에, 나의 성격과 실력, 그리고 성실성을 먼저 냉철히 판단을 먼저 하시고요ㄴ

    추가로 더 알고 싶으시면, 제 핸펀으로 질의를 해 주세요ㆍ우선 문자를 먼저 주시면 제가 전화를 드리지요ㆍ제가 전화 드릴때 받을수 있는 편하신 시간대를 문자에 남겨 주시고요ㄴ
    010 2535 2034. 정문영 드림

    2022-09-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99522 설계엔지니어 / 19년차 Lv 2

    기계설계25년 했읍니다
    지금도. 현업에서 일하고 있읍니다만
    저야. 지금끗 해왔기때문에 하고 있지만
    3D설계 프로그램이 나왔어. 이젠 범용기술로 취급받아요
    이분야. 별로 비젼 없읍니다
    20년전에는 엄첨. 대우도 좋고 괜찬았읍니다만
    지금은. 아닙니다
    프로그램 이나. 전기 분야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2022-09-21 수정
  • 기계 부품 제조하는 저희 회사 기준으로 알려드립니다.
    기계과는 흔히 말하는 `제조업` 관련 회사로 취업 많이합니다.
    R&D 연구원도 석박사 요구하는 화학, 생명, 식품과 다르게 도면을 해석하고 그릴 줄 아는 학사 연구원을 뽑고요.
    저희 회사 부서 나열드리자면 기술연구소에 제품개발팀 소재개발팀 선행개발팀. 생산본부에 품질보증팀 생산팀 구매자재팀 양산개발팀 생산기획팀 생산기술팀이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부서들은 전부 기계과 출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장(생산동)에는 유튜브 헬테크이서 볼 수 있는 단순 반복 노동 업무가 있으나 기계과와 상관없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 외 사무복지팀도 마찬가지고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2-09-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163329 기계엔지니어 / 8년차 Lv 1

    늦지 않았음
    소프트웨어나 회로, 하드웨어 공부하세요

    2022-09-2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9508350 4년차 Lv 1

    완성품 업체면 기계설계여도 할만해요 납기는 늦출수도 있고 크게크게 확 바뀌는 설계는 하지않아서 괜찮아요
    근데 부품사 기계설계면 거의 힘들죠 고객사 갑에게 납기 맞추려고 밤샘 근무하는 경우도 많고 힘들죠

    2022-09-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