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감리에 대해 잘 아시는 분있나요? 경력 2년이 있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조회수 753 2022-09-09 수정



제가 감리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1년됐고 현장에 나가려면 2년 경력이 있어야한다고해서

지금은 사무실에서 보조를 하고 있는데

2년 경력이 있어야 현장에 배치 될 수 있다고 하는게 맞나요? 기술인협회에는 등급은 초급입니다.

가끔 가다보면 어떤분들은 경력도 없는 상태에서 제의받았거나해서 현장 가신다고 하는 것 같아서요..!

물어볼데가 없어서 여쭤봅니다

확실히 아시는 분 있나요?

그리고 여자가 현장을 나간다고 한들 전망이 있나요?

20대 중후반입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7142512 9년차 Lv 1

    현장경력을 더 쌓으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2022-09-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520381 현장관리자 / 14년차 Lv 3

    현장감리는 잘 아시겠지만 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직종입니다.
    현장을 직접적으로 관리감독하는 현장소장, 공구장, 공부담당자 등의 분들이 직접적인 소통대상이죠.
    현장 작업이 설계와 같이, 법적으로 이상 없이, 타공종과 간섭 없이 일정에 맞게 잘 돌아가는지를 복합적으로 봐야 합니다.
    추가로 여러가지 사정으로 설계의 변경이 이뤄졌을때 시공사의 변경안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직종이죠.
    2년이요? 위에 말한 현장에서 소통해야 하시는 분들은 현장에서 감리보다 훨씬 직접적, 적극적으로 현장을 관리하신
    분들입니다. 소장정도면 최소 경력도 15년정도, 공구장 10년, 기사분들도 3~4년은 되겠죠.
    이런분들 관리감독? 2년은 회사 사내규정 같은데 아마도 너무 휘둘리지 말고 정신차릴 수 있게 준비하라는 기간이지 싶습니다. 참고로 어떤기업은 입사하자마자 3년은 현장발령인 회사도 있으니까요.
    현장은 각각 목표가 조금씩 다릅니다. 시공사 와 협력사등의 직접시공 하시는 분들은 좋은 품질로 안전하고 빠르게 공사를 마쳐서 공사이익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는게 목표일테고 안전관리자는 일정과는 무관하게 현장에 사고 안나게, 사고가 나도 큰 피해가 없도록 하는것이 목표일 것입니다. 보이지 않게 전쟁같은 일상이 벌어집니다. 그런곳을 관리감독 하는게 감리일것입니다. 어떤 자리에 있던 현장에서 무능, 무지로 인상이 남으면 공사기간 내내 힘듭니다. 말을 안들어 먹으니까요.
    준비 많이 하세요~ 처음부터 완벽하지는 않겠지만 하루라도 빨리 완벽에 가까워 지려면 준비가 꼭 필요합니다. 기술인협회 등급? 경력이 몇년이냐? 커리어가 어떻게 되는냐를 보지 초급, 중급? 그런거 보여달라고도 안합니다.
    20대 중후반 여자분이라도 감리직엔 크게 마이너스는 없습니다. 작업자분들과 직접적으로 부딛히는 직종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현장직은 하나 알아두셔야 합니다. 2~30년씩 하는 현장은 없습니다. 한곳에 오래 안 있고 현장따라 옴겨다닐 각오는 사혀야 할겁니다. 빠르면1~2년 길어봐야 3~4년....

    2022-09-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59733 현장관리자 / 30년차 Lv 1

    건축법시행령 제19조 제5항 및 6항에 따르면 설계, 시공, 감리 등의 공사업무에 2년이상 종사한 경력이 필요한 사항 같습니다

    2022-09-1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4757 현장관리자 / 6년차 Lv 3

    초급이면 감리보 이기에 경력2년+기사자격증+4년제 해당학과졸업 이 해당되어야 중급이 뜹니다.
    초급이면 건설기술인협회에서는 감리보로 취급하기에 회사에서도 발주처에 합리적인 금액을 청구할수없기때문입니다

    2022-09-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089229 현장관리자 / 33년차 Lv 3

    감리라는 말이
    건설사업관리로 바뀌었습니다.
    초급이면 보조감리원이고 감리사 수석감리사로
    등급이 나뉘어집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장이나 설계 시공 등의 경험을 두루 거친 후
    감리를 하는게 어떤가 싶습니다.

    2022-09-1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