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26살 회계팀 취준

조회수 18,047 2022-06-30 수정

안녕하세요 올해 2월 졸업 후 취업 준비 중인 26살 입니다.


학교/학점 : 4년제 졸업 (수도권X) / 4.15

자격증 : 재경관리사, 전산회계 1급, 한국사 1급, 컴활 2급

어학 : 토익 875

대외활동/수상경력 : 교내 단과대학 학생회 4년 (차장->부장->국장->회장) / 직무 비관련 수상 경력 有 



1. 중견기업 정도 재무팀&회계팀에 취업하신 선배님들의 스펙이 궁금합니다! 


2. 추가적으로 자격증을 취직한다면 어떠한 자격증이 좋을까요? (1~2개 정도)

(현재는 토스나 오픽 혹은 재무 관련 자격증 생각 중입니다 + 또한 현재 스펙에서 전산세무 2급을 취득하는게 좋을까요?)


3.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상에 회계 직무와 관련 없는 수상경력은 적는게 좋을까요, 적지 않는게 좋을까요?

(특허 3종류와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꾸준하게 진행해 온 발명대회 및 공모전 관련 수상실적입니다.)


4. 회계 직종의 경우 취업 지원시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은 보통 무엇인가요?

ex) 다루는 프로그램이나 업무분야의 범위, 급여 혹은 워라벨 등...


-> 다른 산업의 경우 실질적인 기업의 순위가 정해져있지만, 회계 직종의 경우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회사 내에 회계팀은 항상 있고, 무조건 대기업 회계팀에 들어간다고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들었기 때문에 질문드립니다!


글이 조금 길었습니다. 귀찮으시겠지만 선배님들의 현명한 답변 한번씩만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2
  • 프로필 이미지 mentor9671150 회계담당자 / 9년차 Lv 1

    1. 11학번 수도권 전문대(세무회계과) / 세무회계자격증없음 / 세무사사무실경력2년(이게제일큰것같아요.)
    자체결산 가능 / 인사업무가능 / 외감 다수받음 / 세무조사 3회이상 받음 /
    중소기업 6개월(회사이전) - 세무사 사무실2년 - 대기업3년 - 중견기업3년
    * 제친구도 대기업 취업했는데, 세무사사무실 5년다녔습니다.

    2. 자격증은 딱히 안본것 같아요. 있으면좋겠지만 서류전형에 영향을 미출정도로 비중을 두어서 보지 않아요.
    어학 자격이 좋을것 같네요.

    3. 2번과 답은 비슷한거같아요. 비중을 두어 보지 않아요.
    4. 중견기업을 취업하든 중소기업을 하든, 자체결산을 비중으로 두었어요. 전문성이 있어서 이직하기 수월합니다.
    인사업무로 갈경우에는 직원이 (100명)이상인지,
    그다음은 연차를 내가 원할때 사용할수 있는지, 야근의 빈도는 얼마나 있는지
    주5일이 맞는지(아닌곳도 상당하더라고요.) 가족회사인지(중견/중소) 해당사항많아요.
    회계에 가족이 있을경우 / 출납(입출금업무)를 가족이 할 경우는 무조건 피하는게 답 입니다.
    회사에서 회계팀의 위치?라든지(실제로 입사전에 알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대기업을 가면 내일만 하면되고, 업무를 배울수 있는 폭이 매우 좁아요.(친구중 아닐경우도 보긴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본사 지사 매출 세금계산서 마감업무 및 지사 부가세 신고, 경비 입출금 업무만 했습니다.
    제 윗분들이 퇴사하지 않는 이상 저는 절때 본사 업무를 할 수없어요.
    중견기업이하를 가면 여러업무를 다루고 할수 있고, 경험할수 있습니다. 일잘하면 다 내업무되고요.
    대기업은 가면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어요. 저는 일단 그랬어요.

    2022-07-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866441 회계담당자 / 1년차 Lv 3

    1. 저 신입 때 스펙으로 말씀드리면 인서울 4년제 경영학과 졸/ 각종 관련 자격증 다수 보유/ 토익 준비는 하지 않는 대신 자격증 취득에 초점을 맞췄어요(관련 자격증, 컴퓨터 활용 능력 관련 자격증 도합 10개)

    2. 기업마다 다르겠지만, 회계 쪽은 거의 다른 스펙은 거의 취급 안해주는 느낌이 있어요. 관련 스펙이나 자격증만 취급해주는 느낌? 그래서 저는 다른 건 준비 안했던 것 같아요. 전산세무는 당연히 있어야 하구요, 자격증보다는 실무 능력과 사람 됨됨이, 인성을 주로 봅니다. 면접에서의 첫인상과 임펙트가 중요한 듯 해요. 모르는 건 배울 수 있고, 자격증만 있다고 실무에 바로 투입될 수 없는 걸 기업들도 잘 알기 때문이예요. 실무 경험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신입들이 갓 자격증 따고 온 실무 경험 없는 사람들이기 떄문에 하나라도 더 많은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것과, 적더라도 실무 경험이 있다는 것이 다른 지원자들과 비교할 때 큰 강점이 될 거예요.

    3. 특별한 수상이력을 가지고 계신 듯 하네요. 이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이력서에 수상이력을 기입하고 자소서는 수상이력과 관련된 내용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4. 워라벨/ 급여/ 접근성/ 같이 근무하는 사람들/ 업무 강도 등으로 생각해요

    저는 대기업 회계팀도 가봤다가 너무 아니다 싶어서 몇개월만에 빤쓰런했던 경험이 있어서 ,, 그 이후로는 기업은 기피하는 현상이 생겼네요. 텍스펌은 어떠세요? 대형 텍스펌이면 급여조건이나 사내복지 등은 보장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저도 그 이후로 쭉 대형 텍스펌 근무하고 있구요.

    아무쪼록 질문자님과 잘 맞는 조건의 기업으로 취업 성공하시길 바래요 채택 부탁드려요 ㅎㅎ

    2022-07-14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77405 재무담당자 / 10년차 Lv 4

    1.저는 신입 아니고 경력입사라 신입스펙이 어떨진 모르겠네요.
    2. 일반 자격증 추가는 부질없고 아랫분처럼 세무사,회계사거나, 아니면 비지니스회화 가능한 수준의 어학능력이 더 나을듯 합니다.
    3.적으세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성격 어필 가능합니다.
    4.저는 개인적으로 1.급여 2.회사네임밸류 3.커리어(직무) 4.워라벨 정도인듯하네요 저는 무조건 돈많이주는곳, 커리어에 도움되는 업무&회사규모 가 중요합니다. 5-10년 일하고 말거 아니니까요.
    평생회사없고 이직할때 몸값을 유지or업 시킬수있는 무기가 있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2022-07-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독한X 회계담당자 / 8년차 Lv 5

    전 7년차 실무자인데요. 대리/과장급? 직급이 없는 회사라 모르겠네요.

    1. 저도 좀 연차가 있어서 트렌디한 신입사원 스펙은 모르겠어요.
    2. 현실적으로 얘기해서, 재무쪽 자격증은 회계사/세무사 없으면 거기서 거기구요.
    굳이 뭘 따겠다면 토스정도? 경험삼아 공부하는 것도 괜찮아요.
    그렇지만 제일 효과적인 것은 인턴이나 알바 레벨이라도 직무경험을 늘리는 것을 추천해요.
    "전표라도 쳐봤어요"랑 아닌 건 좀 다르니까요.
    3. 신입이면 다소 분야와 무관한 수상경력을 기재해도 좋지만, 그렇다고 중고등학생때 것은 좀 그렇죠.
    4. "워라밸"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정말 회사 밖에서 알 수가 없어요.
    요새는 재직자 평판 웹사이트가 잘 되어있지만, 팀바팀이라 현실과 다른 정보도 많습니다.
    급여는 많을 수록 좋지만, 꼭 그렇진 않아요. 연봉 1천만원 더주면서 맨날 야근하라면 누가 하겠어요. 다 상대적입니다.

    회계프로그램도 중요해요. 회계프로그램 뭐 쓰는지만 봐도 회사 사이즈는 대충 알 수 있고,
    나중에 이직할 때도 어떤 ERP를 다룰 수 있냐가 매우매우 크리티컬합니다.
    (SAP 쓰다가 더존은 써도, 더존 쓰다 SAP는 못써요.)

    끝으로 대기업/상장사/중소기업 다 다녀봤는데, 대기업 회계팀이 제일 별로였어요.
    군대보다 더한 기수문화에 기겁하고 1년만에 도망나왔답니다.
    (물론 삼*이나 엘*는 아니었습니다만, 10손가락 안에 드는 그룹공채였어요.)

    2022-07-0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96241 회계담당자 / 23년차 Lv 4

    상장사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팀장인데요
    회계관련 자격증은 충분합니다
    전공이 경영학과 회계학인지요
    아직 젊으니까 상장사 회계팀으로 취업하는 게 좋습니다
    IFRS 기준서와 실무를 경함삼아 회계사 또는 세무사 공부도 겸해서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재무제표 및 주석 작성, 지분법, 연결회계, 이연법인세, 세무조정 두루두루 접하면 좋지요
    그리고 학원에서 회계관련 교육 이수한 기록도 있으면 좋고요
    대기업 가면 특정파트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중소기업가면 모든 계정을 다 할 수 있어요
    재무팀장으로 회계,세무, 자금 모두 맡고 있지요 많은 경험이 가장 좋은 길입니다

    2022-07-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11280 17년차 Lv 1

    저는 경영지원부서에 23년간 3년전까지 근무한 꼰대입니다. 오랜 경험에서 잠시 아는 데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1. 위의 스펙이면 충분하십니다.
    2. 지금도 충분하지만, 기업 공개 (IR) 담당자가 부족한 현실입니다. 기관에서 운영하는 IR담당자 교육도 이수해 두면 좋습니다.
    3. 업무와 관련 없는 대회의 수상 실적은 오히려 인재의 전문성을 의심스럽게 만들고 잡스러운 성격이라 장기간 근무를 안 할 것이라는 선입견을 줄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적지 안으셨으면 합니다.
    4. 회계 직종은 어느 업종의 회사이던 거의 비슷합니다. 아주 작은 회사가 아니고서는 재무, 세무, 원가, 자금, 출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입사를 하시면 시작하는 파트에서 잘 이동을 못하게 됩니다. 업무의 특성상 1~2년 배우고 이동하면서 일하는 업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전문성과 비밀 유지의 업무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2022-07-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058640 재무담당자 / 3년차 Lv 1

    0. 중견기업 경영지원팀 신입사원으로 입사 → 현재 입사 3년차고 직급은 주임입니다.

    1. 스펙
    - 학교/학점 : 4년제 지방대 졸업 , 평균학점 4.3/4.5
    - 자격증(입사당시) : 재경관리사, 세무회계 2급, 전산회계 1급,
    - 어학(입사당시) : 토익 705점
    - 기타 : 세무사 수험생 2년 (1차합/2차 불합)

    2. 자격증
    - 제가 입사했을 때 기준으로는 자격증은 추가로 준비하지 않으셔도 충분해요~!
    차라리 영어공부(회화)를 하신다면 더 많은 기회(다양한 업종)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요~!

    3. 직무와 관련이 없더라도 공모전 등 경험하면서 느낀점을 본인의 장점이나 특기로 내세우면 좋다고 봐요!
    그리고 분명 면접때 물어보겠죠? 그때 "저는 다른 사람과는 다른 특기와 경험이 있습니다!" 를 말한다면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본인 예시로 저는 대학생활 중 학생회장을 했던 경험과 세무사시험 준비한 내용을 면접 중에 말했습니다.

    4. 신입의 기준에서 냉정하게 말씀드릴게요! 우선 상장사, 대기업, 제조업 위주로 준비하시고 가세요~! 회계직무는 넓은 범위로 배우고자 한다면 큰 기업으로 가는게 좋고! 원가회계까지 배울 '기회'가 주어집니다. 물론 신입에게 주어지는건 아니겠죠? 그리고 요즘 워라벨을 선호한다해도 몇몇 특정 직무들은 어쩔 수 없는 그런게 있습니다. 예시로 회계 직무의 경우 연말, 연초, 감사시즌, 각종 세금신고 및 납부기간의 경우에는 칼퇴근을 못하고 야근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회식 또한 무시못합니다... 회식자리 정말 싫죠... 하지만 그 자리에서 얻는 정보와 나에겐 필요없지만 상사들이 좋아하는 그런 친목의 장(?) 이란게 있으니깐요... 회계직무... 진급 어렵습니다. 위에서 당겨주지 않으면 답 없어요 본인이 정말 진급에 욕심있다면 그런거 감안하시고 가세요! 대기업의 경우는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은 어쩔 수 없는것 같아요!

    2022-07-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554000 회계담당자 / 4년차 Lv 2

    컴활1급 정도는 필수고, 회계사나 세무사 공부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요즘 재무 쪽 신입 잘 안뽑아요

    아니면 영어나 중국어를 매우 잘하거나 하면 매리트가 있습니다

    2022-07-0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Paultheapostle 건축기사 / 8년차 Lv 5

    Aicpa시험에 액셀시험, 그 다음 파이썬까지 들어온다네요...

    제 생각엔 CFA나 미국 공인회계사 시험 준비하셨으면 합니다.

    요즘은 전산이랑 회계가 계속 맞물려서요...

    2022-07-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20629 사무담당자 / 3년차 Lv 2

    자격증 : 워드1급, 컴활1급, 전산회계1급
    경력 : 3년 (회계사사무소 1년 8개월)
    학력 : 초대졸 / 3.8점 / 수상경력 없어요
    그냥 학교 다닐때 어떤 활동했고 이 경험을통해 어떤걸배웠고 이 배운것을 직무와 관련해서 어떻게 회사의 수익성에 기여할건지가 젤 중요해욤
    아무래도 일반 사무직 자체가 영업이나 연구,개발분야보다는 급여가 만족스럽진 못한경우가 많죠 보통의 사무직 사람들은 워라벨을 생각 많이하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요.
    돈 좀 벌고싶다 하면 회계사나 세무사 이런 전문자격증을 취득해 은행이나 빅4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들었어욤.

    2022-07-0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