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수질 대기 폐기물기사자격증 따면 대기업 어느부서를 들어가는건가요?

조회수 761 2018-08-19 작성
셋중에 하나 딸 예정인데
첨에 지원할때 분야가 나눠져 있잖아요.
기업에 맞춰서 인적성도 해야하는데
저 기사자격증따서 들어간다고 치면
대기업 검색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대기업하나하나 계열사도 많은데
어떻게 찾아보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mentor1759512 19년차 / 86학번 Lv 1

    요즘은 각 업체에서 환경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 많이 필요 합니다. 영어가 되시면 업체 컴프라이언스 담당쪽으로 방향을 잡아 보세요. 특히 동남아쪽 공장 쪽도 적극 공략 바랍니다.

    2018-1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09612 21년차 / 91학번 Lv 3

    제조업체의 환경팀으로 지원이 가능해 보입니다. 하지만 선배로서 조언하자면 환경팀 경력으론 환경팀 밖의 기회를 노리긴 힘들겠죠. 예를 들자면 공장장. CTO 등을 환경팀에서 승진하기 어렵고 생산관리나 R&D가 유리할 수 있겠죠. 뭐 다 꼭 그렇단건 아닙니다. 사회로 첫발을 디딘다면 그 자격증은 하나위 스펙으로 적고 유사한 품질보증(품질관리 아님) 또는 외국계 회사의 HSE(일반적인 공무팀이 아닌 환경안전보건팀) 또는 생산관리부서로 입사를 추천합니다. 외국계가 입사후 여러가지로 편하니 외국어 성적표 있다면 외국계입사 강추합니다. 외국계 제조업으로 가서 원하는 거 하시면 좋겠고 이쪽에서 경력이 쌓이면 대기업등 원하는 분야로도 헤드헌터 통해 갈아탈 수 있을겁니다. 어학실력 많이 키우시고요. 면접 별거 있습니까? 자신감있고 외국어 잘하면 합격입니다. 홧팅요!!!

    2018-09-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943955 2년차 / 07학번 Lv 2

    글쎄요..저는 문과라서...근데 기업 하나하나 사이트 들어가서 보실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기업에 사업의 무엇인지 하나하나 보시고 그에 맞춰서 준비하실 수 밖에 없습니다.
    왠만하면 많이 따셔서 폭은 넓게 하시는 게 좋습니다. 자격증 자체가 어느 정도의 난이도 인지는 모르나 제 의견은 그렇습니다. 화이팅 하십시오!

    2018-09-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83088 1년차 / 11학번 Lv 2

    대부분 기업의 환경과로 지원하셔야합니다.
    하지만 아직 대기업에서도 환경과가 따로 없이 서무나 안전환경 등에 같이 있는 곳이 많습니다.
    따라서 관리직무로 퉁치거나 생산직무로 퉁쳐서 공채에 올라오기도 하죠.

    대기기사가 가장 많이 쓰이고 환경공학전공해서 환경쪽 입사하시는 분들은 대기, 수질기사는 거의 기본으로 가지고 계십니다.
    환경과 업무는 음..ㅎㅎㅎ

    2018-08-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35702 11년차 / 01학번 Lv 2

    공무쪽이죠. 폐수처리 시스템 만드는 회사가 아닌 이상은.. 그리고 대기업은 자격증 있으면 좋지만, 큰 메리트는 안됩니다.

    2018-08-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45147 7년차 / 03학번 Lv 3

    자격증과 관련된 직종이라고 하면 각 공장의 환경안전 쪽이 비슷하지 않나 싶네요.
    EHS라고도 하구요. 각 공장에서는 매연, 폐수, 폐기물들이 발생하고 이를 처리하는 시설물이 내부에 있으니까요. 그 관리자로 입사지원이 될 것 같습니다.

    2018-08-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528598 5년차 / 09학번 Lv 2

    수작업해야합니다. 열정가지고 리스트업해서 하나하나 다 알아보세요. 그것도 기업 스터디 중에 하나입니다.

    2018-08-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616075 3년차 / 10학번 Lv 1

    너무 광범위하네요..
    폐기물이라고하면 화학쪽이나 연구원쪽으로 유리하지않을까합니다. 대기업보면 케미칼쪽으로 확인하시면 될듯합니다.

    2018-08-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