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용접 미래 , 대기업 계약직 vs 중견 정규직

조회수 4,193 2022-05-10 작성

지금 24살 남자고 고등학교 공고나오고 대학 폴리텍 나왔습니다.


자격증은 용접 기능사.산업기사가 있는데 용접쪽으로 갈수있는 대기업이 있나요??


찾아보니까 별로 안나오는거 같아서요..


지금 용접관련된 중견은 다니고 있는데 미래에 대기업으로 이직하고 싶습니다.


용접 전망은 어떤지 용접쪽으로 갈수있는 대기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은 용접하나로는 힘들다해서 같이 공부하면서 따면 용접이랑 좋은 시너지를 받을수있는 자격증은 뭐뭐가 있을까요??


이직에 도움되는 것들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친구가 대기업 계약직 들어가서 같이하자는데 용접을 포기하고 갈만한지도 궁금합니다.


계약직에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30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02002 시스템엔지니어 / 44년차 Lv 1

    일을 하다가 기회가 생기면 생각하는것이 좋을것 같아요

    2022-06-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442868 9년차 / 95학번 Lv 1

    대기업에서는 용접을 대부분 외주 처리하고 있어서 ..용접쪽 품질이나 자재 개발 등 이쪽 아님 대기업에서 용접을 직접하는 현장은 거의 없다고 보시는게 맞는거 같네요 반도체현장이나 조선소 현장쪽 용덥을 하시는분들이 많이 다니시기는 ㅅ납니다

    2022-05-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33878 시설관리자 / 25년차 Lv 2

    조선소 거제나 목포 조선소에서는 최고

    2022-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04267 22년차 Lv 1

    공고나온거보면 기계기술적인 취미나 관심이 많은거같은데 요즘은 기술이 최고라생각합니다 용접또한 많은곳에서 일할수있는분야가 많지만 모든일이 힘들지만 특히 용접은 더 힘들고 어려울거라생각합니다 오래할수있는일도 아니고 차라리 기 계가공일을 배워보느게 어털지.. 밀링,머시닝센터, cnc선반등 활용도 도많고 기술으어느정도 익히면 연봉또한 괜찬고 오래동안 일할수있는곳도 많으니까요 용접보다는 훨씬 육체적 정신적 으로낳을거라생각합니다 물론 대기업도 좋지만 주변에보면 얼마못다니고 금방나오게 되더라고요 맞지않은환경이나 일을하다보면 대기업이란 환상은 현실에 무의미 하거든요 어쨌든 잘 판단하시길...

    2022-05-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26521 15년차 / 96학번 Lv 1

    저도 용접자격증은도 있지만 지금은 시설관리업무를 하고 있어요. 요즘 아파트나, 오피스텔 건물등등
    법개정되어 기계설비유지관리 법정선임이 의무화되어
    용접자격증 가지고 계신다고하니, 시설관리쪽으로
    추천합니다.
    전기.에너지.건축설비산업기사등등 취득 좋아요

    2022-05-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184973 생산직종사자 / 22년차 Lv 1

    계약직은 추천드리지 않지만 대기업 생산직 추천합니다.
    용접자격으로 패스해보세요.

    2022-05-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64180 생산직종사자 / 1년차 Lv 1

    그래도 대기업,,,

    2022-05-17 작성
  • 본인 하시기나름 아니겠어요?

    2022-05-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67933 스포츠강사 / 14년차 Lv 2

    계약직이라도 대기업이라면 할만합니다 일하다가 정규직전환도 가능하구요
    본인하기나름임

    2022-05-16 작성
  • 솔직히 말해서 용접 기술을 배우고 용접과 관련된 업무로 대기업으로 갈 수 있는 일은 희박하다고 생각되요. 자격증을 따고 실무경력을 늘리고 자격증의 최고봉이라 알려진 `기술사` 자격증을 딴다면 관련 학과 교수, 창업 같은 쪽으로도 생각해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2-05-1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