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신소재공학과에서 산업공학직무로?..

조회수 1,275 2022-04-07 수정

이번에 신소재공학으로 편입을 한 학생입니다.

평소에 산업공학을 가고싶었는데 편입특성상  몇개의 학교는 안전빵을 썼어야했는데 신소재를 안전빵으로 쓰다보니 신소재만 붙어버린 상태입니다.

그런데 과학을 전혀 배운적이 없다보니 신소재에 정이 안붙여집니다.... 제가 산업공학을 가고싶은 이유가 교과과목을 보면 정말 재밌어보이고 하는데 신소재는 물리화학, 전달현상 이런것이다보니 정말 과학을 좀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저에게는 너무 고통스러운 학과인것 같습니다.

요즘 듣는 말이 있는데 전공살려 사는 사람 몇안된다는 소리도 있고, 직무는 그냥 마음대로 정해서 가는게 맞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저는 그게 공대생에게는 사실 해당이 별로 안된다는 생각인데 이 부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산공이 가는 분야가 보통 물류, 품질, 생산관리 쪽인 것 같은데 제가 만약 힘들게 힘들게 신소재를 졸업을 한다쳐도 저 쪽 분야로 취업이 될수 있는건가요?? 전공과 사실 전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해서... 

취업쪽을 잘 모르는 입시만 했던 사람이다보니 전공이 좀 안 맞는 상황에서 이 전공으로 평생 먹고살 자신이 없어서 여쭤봅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41221 17학번 Lv 1

    반갑습니다 학우님
    저희 과는 사실 신소재라기보다는 고분자 공학과에 가까우나 근래에 들어 결정학, 고체물리 등이 생기면서 신소재 공학과로 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신소재 과로 보기는 어려우며 유기재료 쪽에 치우쳐져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학사 졸업 후 취업을 한다면 생산 혹은 품질, 연구 직무 등으로 가므로 원하시는 방향으로 취업은 가능할 것이나 애시당초 학과 공부가 힘들다면 좋은 학점과 역량을 보여주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전과 제도가 잘 되어 있으므로 1학년 때 최대한 성적을 챙겨 전과를 노려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이고, 제가 학번만 보고 편입하셨다는 걸 못 봤네요 편입생이시면 학년이 3학년이신가요? 또 편입생의 경우 전과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요. 만약 전과가 가능한데 1, 2학년이시면 앞에 적어놓은 대로 전과를 노리시는게 좋으실 것 같습니다. 만약 3학년 이상이시라면 5학년을 감수하고 전과를 하시거나 일반적인 학부생이 취준하듯 학점을 최대한 챙기면서 다른 역량을 기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학교에서 하는 6시그마 교육 같은 통계처리나 품질경영기사 같은 자격증, R, python등 통계 처리 프로그램 역량 등 길은 많으니까요

    2022-04-2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93402 품질관리자 / 10년차 Lv 2

    안녕하세요 저는 산업공학 전공자 입니다. 신소재는 잘 모르겠고 제 친구는 금속공학 전공자가 있습니다. 현재 잘 먹고는 사는데 이직이 제한적이기는 합니다. 한번 특정 소재관련 일을 하면 결국 그 경력으로 갈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에 몇개 없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산업공학을 추천 드립니다. 기본 소양으로 생산, 물류, 품질, 통계, IT 관련해서 다양한 부분을 배웁니다. 거기서 적성에 맞는 것을 조금 더 깊이 공부하면 됩니다. 저는 물류쪽으로 넘어온 경우고 다른 선배들은 IT, 품질, 생산 다양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한번 경력을 쌓기 시작하면 이직 시에 제한되는 부분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품질을 제외하고는 그래도 다른 업무 보다는 이직 할 수 있는 폭이 넓다고 생각됩니다.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2022-04-09 작성
  • 신소재공학부 나온 사람입니다
    신소재는 보통 반도체나 소재,신재생에너지 쪽으로 많이 가구요
    하고싶은 분야 생기시면 부전공이나 복수전공 하시면 됩니다
    본인이 인사담당이라고 했을때 전혀 무관한 지원자는 경쟁력이 떨어지겠죠?
    다른분야는 교육이수나 인턴으로 커버해도 되구요
    꼭 과가 모든걸 정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분야로 간다했을때 면접때 할 말은 있어야겠죠

    2022-04-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75722 교직원·조교 / 전직장 Lv 3

    우선 학교내전과가 가능한지 확인해보시기바랍니다
    학령인구의저하로 대부분의대학에서는 전과를허용하고있습니다. 물론 전과에따른 추가학점이수등의 불이익은 있을수있습니다 ㅡ동일계열전과 확인
    만약전과가 안된다면 지도교수와상의하여 학업지속에대한 고충을 얘기하여 도움을받으세요 지금질문자님의 상황으론 학업지속이 어렵다고 여겨지는바. 꼭 지도교수와상의하여 지도를받기바랍니다 아마도지도교수는. 정원에서 빠져나가는것을원치않아 설득하겠지만 본인의지가 확고하다면 전과등 길을알려줄것입니다

    2022-04-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53967 품질관리자 / 32년차 Lv 3

    앞으로 경제나 산업의 흐름을 보면 신소재가 산업공학보다도 더 유리하다고 봅니다만,본인의 관심이나 역량이 산업공학을 원한다면 신소재를 하면서 부전공으로 산업공학 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어떨지요....

    2022-04-08 작성
  • 전공살려 가는사람 몇안됩니다. 신소재 졸업해도 그쪽분야가는건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지금이라도 늦지않앗으니 원하는곳으로 가시는걸 추천드려요

    2022-04-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91253 구매관리자 / 9년차 Lv 1

    신소재 공학 나와도 다할수 있습니다.
    전 quality, supply chain, procurement, process 다했어요
    본인 하는거에 따라서 평생 잘먹고 살수 있어요

    2022-04-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411046 품질관리자 / 11년차 Lv 1

    지금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전공을 찾으시는 것이 아니신 것 같아요. 글 마지막에는 그렇게 말씀하시지만 실제로 중간쯤에는 신소재 관련 과목을 괴로워하시는 것 같으세요. 제 나이가 38인데 20살이시라면 편입이나 재수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지금 님 나이에는 몇 번은 더 돌아가는 길을 가도 늦지 않습니다. 원하는 것을 쟁취하세요.

    2022-04-0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