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석사 후 취업준비에 관해서

조회수 3,250 2021-12-15 작성

안녕하세요. 카이스트에서 석사과정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박사과정까지 염두를 하고 석사를 진학했는데 집안에 변고가 생겨서 박사진학은 어렵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기도 취업준비를 하긴 했었지만 전부 고배를 마셨고요,

혹시 몰라 박사 진학을 지원을 해서 붙어놓기는 한 상태입니다.

그렇지만 박사 진학을 한 이후 당장 1~2년 안으로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어서

박사로 진학을 하게되면 박사 연구를 하기위해서가 아니라 취직 준비를 하기 위해 진학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 상황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박사를 진학을 한 상태에서 취직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졸업을 한 상태로 취직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선배님들의 고견이 정말 절실합니다.

제게 도움을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95392 1년차 Lv 1

    빅데이터 분야가 워낙에 방대해서 어떠한 부분에 포커스를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분석부분에 포커스를 하신다면 박사진학은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발이나 전산쪽으로 조금더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금의 스펙으로도 충분히 가능할것 같습니다. 글로만 보았을때는 질문자님께서는,,박사로 진학하게되면 박사 연구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취직 준비를 하기 위함이라고 하셨는데, 박사과정은 4년, 4년보다 더 걸릴수도 있겠지요.
    그 과정을 취직준비를 하기위해 간다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2021-1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675599 머신러닝엔지니어 / 8년차 Lv 3

    박사는 하지 않았지만, 박사꿈을 접고 석사로 10년전에 취업 선배로써 저의 스토리를 공유드립니다. 카이스트는 아니지만 한창 금융공학 붐일때 금융공학과가 없어 수학전공에 경제복수전공에 통계학 부전공을 해서 수치해석으로 석사 전공했습니다. 처음에 금융공학 관련 투자회사를 다녔고 ... 개발자를 하기위해 벤처QA하다가 빅데이터를 독학으로 넘어와서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머신러닝 파다가 중견기업 다니고, 엘쥐화학 DT찍고, 재미없어서 타 대기업으로 직했죠.

    전 이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어서 대기업도 가고 그랬는데? 박사가면 취업이 보장될지 의문이 드네요. 제가 AI분석을 해서 그래서 인지 제가 다닐때 산업연구원으로 내놓라하는 서울대부터 외국대학 나오신분들이 오셨지만 다들 경험이 꽝이라 분석을 시면 걍 자리에 앉아 시간만 보내셨어요.

    제가 하고픈 말은 무슨말이라면, 박사를 한다고 취업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거죠! 실질적으로 업계에서는 그분야에 경험이 있는 장인을 더쳐줍니다. 저런 이유때문에! 확실히 내가 취업 목표로 하는 분야에 대해 연구과제나 등으로 누구도 할수 없는 경험을 한다면 박사를 추천드리고, 정녕 취업만 바라본디면 벤처나 작은 회사 가서 월급 적게 받고 구르는 것보다 낫은것 없습니다.

    제가 카카오, 카카오 페이, 11번가 등 굴지에 기업에 이직을 위해 면접을 보았을때, 많이 들었던 말은
    이커머스 기업인보니 매우 능력도 출중한데 공장에 AI랑 강화학습 해본 경험이 없네요 였고, 반면에 엘쥐화학은 걍뽑으셨습니다.

    박사하면서 질적인 경험을 쌓는것도 좋은 선택이지만, 실질적인 도움은 해당분야에서 경험입니다. 경험은 무엇도 대체할수 없으며 면접에서 대답잘하는 도움이 될거예요.

    구르세요. 돈벌고 싶으면 가고 싶은 곳에서!

    참고로 석박사해서 돈 받으면서 학업하려면 교수님이 좋은분이셔야 해요. 과제도 좋고. 전 과제 수행을 통해 잘다녔어요. 그 경험으로 지금 좋은 직장도 얻었고요.

    끝으로 박사가 만능은 아니며, 이럴시간에 교보가서 책보고 기술연마하셔요

    2021-12-2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63388 R&D·연구원 / 26년차 Lv 1

    카이스트 박사과정이면 과제를 하면서 급여를 받을수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결과물로 논문도 작성하면 됩니다.
    교수님과 상의하여 과제의 참여율을 올리면 따로 취업하는것과 많이 다르지 않은 급여를 받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전같은곳에서는 양질의 직장을 얻기 힘들어 서울로 와야 하는데 서울에 있으면 다른 생활비가 증가하여
    돈을 벌어도 많이 소비하게 됩니다.

    현재의 학업을 계속하시고 박사과정을 하기 바랍니다.

    경험에서 나온 이야기이니 흘려듣지 않으셨으면 해요

    2021-1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KYH Lv 2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박사4년차를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우선 질문자체가 너무 포괄적이여서 자세하게는 답을 못드립니다만,
    첫 번째로 박사를 진학하고 취직준비라는것은 질문의 어폐가 있는것같습니다. 왜냐하면 우선 박사를 진학하고 학위를 받더라도 동일하게 다른 사람들과같이 취업준비는 해야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1~2년정도 힘들것으로 판단했으니, 박사 진학은 안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본인이 이미 힘들것으로 예상한것이기때문에 이또한 질문자체에 어폐가 있는것같습니다.

    두 번째로 보통 1~2 학기 졸업을 앞둔 상태에서 취업준비를 합니다. 졸업을 하고 취업준비하지는 않습니다. 회사입장에서도 공백기가 생기면 조금이라도 의문을 갖겠죠. 그리고 백을 갖게된 이유는 회사 입장에서 타당해야 하지않을까 생각됩니다.(취업 준비를 하려고…라는 대답은 제가볼때는 핑계입니다. 취업준비는 그 전부터 하고있어야해요. 또한 혹시몰라 박사진학을 그 공백기때 하고 중간에 취업을 한다고 했으면 공백기는 타당하지 않은가 라고 생각하실수 있어요. 그런데 이건 지도 교수님 입장에서도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만 연구실이라는 공동체에 들어간다면 주변사람들이 오히려 피해를 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박사진학을 하게되면 프로젝트에 들어가게되는것이 보통입미다. 그리고 프로젝트는 대략 2~3년 진행하겠지요. 그러면 인건비와같은 항목 및 기타 일 분배 사항도 본인에게 주어질겁니다. 이 상태에서 중간에 박사를 그만두시고 나오시면 본인이 맡았던 모든 일은 주변사람들이 대신 맡게되어 피해를 보게되겠지요. 흔히 이런상황을 똥 밝았다고 하겠죠.)

    그러니 본인이 현재 힘들다 판단되었고 추 후에도 그렇다 하면 지금 취업바로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됩니다.

    2021-1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802316 시스템엔지니어 / 19년차 Lv 2

    저도 석사인데요.
    답변을 주고 싶어도
    줄수가 없어요.

    석사 중, 뭐를 전공했은데,
    해당분야는 어떠냐?

    이런 구체적인 질문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카이스트까지 이야기 하시니. 누가 답을 할까요?

    2021-12-1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