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프론트엔드 취업관련 질문있습니다.

조회수 1,243 2021-10-28 작성

9월 말에 국비가 끝나고 나서 취업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si 아니면 에이전시뿐이었습니다.

 

퍼블리셔로 시작해서 프론트엔드로 넘어갈까도 고민 중입니다. 


근데 공고들을 보니 퍼블리셔만 뽑는 것보다 웬만하면 디블리셔를 뽑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 자격사항이나 우대사항에 디자인관련툴이 적혀있었습니다.)


저는 프론트엔드로 취업을 하고 싶지만 현재 가진 기술이라곤 국비에서 배운 게 끝이라 프론트엔드로 당장 취업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는 학교처럼 알려주는 곳이 아니라는 말도 수십수백 번 듣고 있습니다.


질문사항

 

1. 리액트나 뷰 관련을 전혀 모르는데 무작정 프론트엔드 뽑는다는 곳에 가서 열심히 하겠다는 걸 어필하면 취업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2. 인프런 이나 무료인강사이트에서 리엑트나 뷰 관련 강의를 수강 후 국비 하면서 만든 포폴에 추가해서 프론트엔드로 취업을 해야 할까요?

 

3. 배우는 순서는 바닐라 -> 리엑트 or 뷰 이 순서대로 배우면 될까요?


리엑트와 뷰 두 개다 한 번에 배우는 것은 힘들다고도 들었습니다. ( 괜히 어중간해진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두 개 중 1개만 집중적으로 인강 들으면서 배우려면 어느 게 나을까요? 리엑트? 뷰?


4. 인 하우스라는 게 자체 솔루션을 하는 곳인가요? 


5. 구로, 가산 은 가지 말라고 해서 그쪽은 안 보고 있는데 정 취업이 안되면 그쪽으로라도 가야겠죠?


내년이면 나이가 20대 후반이라 걱정이 많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1991535 웹퍼블리셔 / 4년차 Lv 2

    FE 5년차 입장에서보면 열심히한다는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소리에여 하지만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건과 지식 등이 준비가 되어있다면 다르게 들리긴 하겠죠 . 기술면접이나 코테에서 면접관들이 지원자가 어느정도인지 알고 보이겠지만 리액트 뷰를 모른다고하면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하며 본인이 작성한 코드 설명,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프론트엔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노력한 것을 증명 할 정도는 있어야 면접 볼 만하고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요 ?
    참고로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뷰 리엑트 둘다 써보면서 느낀거로는 러닝커브는 뷰가 좀 더 낮아서 쉬운면은 있는거 같아여

    2021-10-2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67072 4년차 Lv 5

    1. 열심히 = 개발능력 관심도에 대한 어필은 기존 결과물이나 지식으 판단됩니다.

    2. 웹만 하기보단 모바일쪽에 모바일쪽에 포커싱 두는걸 권합니다. 개인적으로 플러터를 추천드립니다.

    3. 바닐라는 용어는 기본이라는 뜻입니다. 프론트 프레임워크 삼대장들은 각기 다른 면모가 있습니다. 구조가 다른거라 차이점을 파악하시면서 하시면 됩니다. 차이점을 모르고 기술만 쓰면 다른 기술적응력이 떨어집니다.

    4. 회사 능력을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인하우스라고 합니다. 이쪽업계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이니 솔루션 자체개발, 서비스 자체개발운영 등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반의어로는 기술분야에선 아웃소싱 정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구로, 가산 중에도 기술적으로 괜찮은 회사가 많습니다. 회사를 판단해야지 지역으로 판단하는 건 편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회사를 판단할 때, 기술력은 투자와 개발환경에 관련이 깊고, 영업이익 및 인건비율은 연봉과 관련되니 참고바랍니다.

    6. 20대 후반은 오히려 강점입니다.

    화이팅하세요.

    2021-10-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33331 웹개발자 / 14년차 Lv 1

    제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열심히 하겠다고 하시는 것보다 프론트 엔드를 하시기 위한

    준비 과정도 보여주는게 좋다고 생각 합니다. 방향성을 리엑트나 뷰로 정하셨다면 해당 기술을

    습득 혹은 익숙해지기 위해 어떠한 것을 하고 있는지 보여줄수 있는게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꼭강의가 아니더라도 기존에 작성했던 프로젝트가 있으면 해당 프로젝트에 뷰나 리엑트를 적용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간다던지 이런식의 열심히 하겠다는 말이 아니라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보여줄수 있으면 될것 같습니다.

    2021-10-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81654 웹개발자 / 19년차 Lv 2

    우선 면접자 입장에서 말씀드릴께요.
    관련전공자인지 아닌자가 일차적으로 중요합니다.

    전공자가 아닐경우, 기본적인 소양에 대한 검증을 합니다. 보통은 코딩테스트라고 하죠.. 프론트 앤드, 백앤드부터 정ㅎㅏ길 바랍니다. 만약 프론트 앤드라면.. 엄.. 제가 개인적으로 학원출신자를 싫어합니다. 물론 개인성향입니다.
    말씀하신 사항을 제대로 하기에도 6개월 과정이 필요합니다. 물론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우선 명확한 방향부터 잡은 뒤, 리엑트, 뷰 하나만 제대로 공부하길 바랍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것만큼 이바닥이 좋진않습니다~

    2021-10-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35638 1년차 Lv 1

    제생각인데, 풀스택으로 알아보셔야 사내에서 프론트로 시작할 확률이 높습니다. 백엔드 기술스택을 알아보시는게 역설적으로 프론트엔드 직군 취업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2021-10-2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