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HR 쪽에 관심은 있으나 어떤 식으로 준비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조회수 1,696 2021-10-03 수정

28살 / 행정학 및 산업심리학 복수 전공 / 3.67(4.5) / 토익 810


HRM에 관심이 있고 산업심리학에서 인사 관련으로 수강했습니다. 


대기업은 언감생심이고 중견이라도 갔으면 좋겠는데요. 


HRM은 노무사 자격증 말고는 취급하지 않는다는 얘기도 많고 뭘 준비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중견을 바라는 것도 욕심일까요? 그 동안 아르바이트는 꾸준하게 했었고 어학연수?도 1년 다녀왔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09069 IT·기술영업 / 3년차 / 17학번 Lv 2

    욕심이 아니라 현재 경제가 많이 안좋습니다.
    공채가 많이 없어진거 보면 느낌이 오실득..
    수시채용음 진짜 빡세요.
    면접 답변 하나하나가 다 합겹에 영향을 줍니다.
    중소나 스타트업 괜찮은대로 가보세요.

    2021-11-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369695 인사담당자 / 5년차 Lv 1

    안녕하세요. 외국계 HRM 5년차 입니다. 경영학 전공이고, 다른분들이 기본적으로 준비하는 스펙을 갖고 있었습니다. 제가 인사담당자로 뽑혔을 때, 내가 왜 뽑혔을까를 다시 생각해보고 답변드려요. 저는 이전에 2년 다닌 회사에서 인사업무보조를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력서/자소서를 제출했던 것 같구요. 어학연수 경험도 있어서 이왕이면 외국계 회사를 위주로 지원했습니다. -HR은 산업군, 회사마다 다 있고, 인력Pool도 풍부한 편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메리트 있을 산업군이나 회사를 정해서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인사파트 신입사원에게 초반에 많이 시키는 업무는 데이터 작업과 같은 보조적인 업무에요. 아무리 AI가 대세라도, 엑셀이나 워드를 활용한 작업이 아직 많기 때문에 컴활자격증 취득 추천합니다. 신입사원이 나서서 영어쓸일도 별로 없기때문에 영어점수나 어학연수 경험도 지금 그대로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길게 보시길 바래요.

    2021-10-07 작성
  • 안녕하세요! 저는 HRD 업무로 일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우선 사무관리 아르바이트 있으면 무조건 해보시는거 추천입니다!
    아니면 동아리를 운영한 경험이 있으시거나 조직에서 운영을 맡아보신 경험을 살려서 취업을 준비하셨음 좋겠습니다!
    인사는 회사 내 직원 관리이다보니 조직에서 사람을 관리한 경험이 있으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인사팀에서도 크게 급여, 복지, 보험, 총무, 교육, 조직문화, 채용 등 분야가 정말 많아요!
    그 중에서도 자신이 하고 싶은 직무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세요!
    (내 장점과 그 직무에서의 역량 및 스킬이 일치된다를 강조해야 합니다.)

    중견을 바라는 건 욕심이 아니죠!
    많이 지원해보시고 경력 쌓고 커리어 탄탄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2021-10-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06781 경영·비즈니스기획 / 1년차 Lv 5

    냉정하게 말해서 지금은 솔직히 어렵습니다.
    최근 경쟁이 엄청 치열하여 HR 자격증 기본적으로 따셔야 합니다.

    인사 관련해서도 채용, 교육, 보상, 급여 등 다양한 부분이 있는데 본인이 어느 분야로 어필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 새워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1-10-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93011 경영·비즈니스기획 / 17년차 Lv 2

    HRM전문가 자격증 기본중의 기본

    2021-10-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32814 인사담당자 / 16년차 Lv 3


    말씀하신 학과 토익 학점 연수등은 요즘 다 기본스펙이라 의미가 없어요.

    관련부서경험. 전환형인턴십을 노려보세요

    2021-10-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95283 인사담당자 / 5년차 Lv 1

    관련 직무 경험이 가장 중요한것 같네요, 인턴십이나 역량교육 등 잘 활용해서 면접시 어필해보세요.
    서류는 충분히 통과하실 거에요

    2021-10-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32055 기계엔지니어 / 15년차 / 06학번 Lv 4

    HR 쪽은 크게 총무, 인사, 교육 등으로
    회사내부적으로도 업무가 나누어져있습니다
    지원자님께서 원서를 넣는 회사의 서류심사만
    통과하신다면 이 세가지 중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서 좀더 서칭을 해서 면접 준비를
    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 인사팀이 갖어야할
    덕목인만큼 보수적인 대기업이 아니라면
    서류는 통과하실 것 같네요
    서류심사는 보통 5배수 이상을 뽑기 때문에
    신입이라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본인의 성향과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도록
    준비해보세요
    관리부서는 3년정도는 일해야 자신의
    업무가 뭔지 파악할 수 있을만큼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니만큼 인내력과 꾸준함, 친화력등의
    덕목을 자신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어필하면
    좋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2021-10-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15955 경영·비즈니스기획 / 1년차 Lv 5

    일단 전공, 어학, 자격증, 직무 경험 모두 다 없다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가장 쉬운 어학부터 시작하셔야 합니다. 토익이랑 오픽 혹은 토스 준비하시구요.
    전공은 산업심리학이다보니 일반적으로 경영학 정도를 선호하는 HR과는 약간 거리가 있습니다.
    다만 HR은 경영학도 약간만 다루고, 전공무관인 경우가 많아 전공 문제는 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자격증이나 경험인데, 인사쪽은 노무사가 아니면 크게 내밀 자격증은 많이 없긴 합니다.
    그나마 HRM 전문가 자격증 정도가 저렴하게 따기 좋을 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건
    경험입니다. 현재 조건이 HR과 크게 관련이 없기 때문에 중소나 인턴으로라도 HR 분야에 꾸준하게
    지원하세요.

    2021-10-0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