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하드웨어 및 펌웨어 7년차 개발자 이직 및 앞으로 성장을 더 하고싶습니다.

조회수 4,938 2021-06-15 작성
안녕하세요.
7년차 개발직이지만 이직 준비를 하면서 많은 현타가 와서 질문남깁니다.
지금까지 제가 일해온 회사들은 8비트 MCU를 사용했으며 저 또한 8비트 MCU에 길들여져 있습니다.
언어는 C언어로만 사용했고 데이터가 크지 않아서 자료구조까지는 잘 다루지는 못합니다.
8비트 MCU로 지금까지 AVR, PIC, AVOB 를 사용했습니다.
하드웨어 적인 부분은 주로 2층 PCB를 많이 그리고 회로는 모듈센서을 거의 사용했으며 이더넷 부분도 모듈을 사용하고
전원부분 설계와 통신쪽 IO포트 쪽을 그리는 작업을 많이 했습니다.

실력은 없고 경력만 느는것같아 너무 자책스럽습니다.
현 회사에서는 문제가 전혀 되지 않지만 저 스스로 너무 우물안에 개구리같은 느낌이 들어 답답한 마음에 조언을 받고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펌웨어 쪽이 저랑 잘 맞고 재미를 느끼고 있어 그 쪽으로 깊게 공부를 할생각입니다.
단 시간에는 어렵겠지만 한달 미친듯이 공부하고 이직을 해볼까 합니다.
STM32, Cortes-M 등 업무를 하며 이름들은 많이 들었습니다. 이 쪾으로 공부방향을 잡을라고 합니다.
혹시 공부에 도움 되는 도서나 테스트 보드 또는 앞으로의 길에 대해서 조언부탁드립니다. 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1.
    CORTEX M/R/A 시리즈가 있는데 지금 보고계신 방향은 CORTEX M 시리즈로 보입니다.

    2.
    CRZ테크놀로지의 cortex m 계열의 망고보드가 있습니다.
    예제와 회로도를 제공하고 있으니 그걸로 주변 장치들을 많이 실습하실 수 있을겁니다.

    3.
    문제는 주변장치는 그냥 말 그대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일 뿐..
    어떤 제품을 경험하고 어떤 F/W 설계 구조를 해보았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러니, 제품 분야를 잘 선정하시기 바랍니다..

    2021-08-08 작성
    여기까지 새 답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mentor4795609 전기·전자엔지니어 / 6년차 Lv 2

    현 시대에는 8bit mcu로 할 수 있는게 거의 없습니다.
    대다수의 하이테크놀러지 디바이스가 AI채용을 하고자하고, 이를 위해서는 os기반의 프로그래밍을 해야하니 자연스럽게 32bit 이상의 mcu를 쓰게됩니다.

    질문자께서 말하신 cortex 류이며 최근에는 m4를 많이 쓰는 추세입니다.

    32bit mcu는 기본적인 fmc기능등을 내장하고 있고 i2c spi uart 확보에 훨씬 유용하며 artwork 또한 적을땐 4층 일반적으로 8층 설계를 하게 되니
    지금 설계하고 있는 내용과 많이 다른 방향을 볼 수 있습니다.

    현직에 만족하고 있는거 같아 함부로 이직을 권해드리진 못하지만, 도서를 통해 학습하는 기술과 업무적인 경험과 실활용으로 배우는 수준은 그 차이가 큽니다.

    우물안 개구리, 경력만 쌓이고 실력은 없는 인재 가 되는 것이 걱정이시라면 진로와 직장에 대해 꼭 다시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2021-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236177 전기·전자엔지니어 / 21년차 Lv 4

    개인적으로는 PLC 프로그램을 배워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거의 비쥬얼 프로그램이고, 펌웨어해본 사람들은 대부분 쉽게 접근이 가는 합니다.
    장비회사로 이직할수 있는 기회도 주어져 개인적으로는 산업용 전기제어를 권하고 싶으네요.

    2021-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324451 전기·전자엔지니어 / 12년차 Lv 1

    저도 비슷한 처지 입니다. (회로 조금만알고 구현은는 안해요)
    펌웨도 분야가 다양하고 (단순 인터페이스 에서 알고리즘 구현) 프로세서도 다양하나 저는 아래순서로 도전했고 지금은 SOC 까지 와있습니다.
    AVR128-ARM-FPGA-SOC
    도서는 임베디드 레시피 추천드리며
    프로그램쪽은 코드컴플릿도 좋습니다.
    나중에 RTOS,임베디드 리눅스도 하시게 될테니
    라즈베리파이 보드나 아두이노 보드로 실습을 병행 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1-06-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060558 전기·전자엔지니어 / 16년차 Lv 1

    1. Non os(bare metal) 기반 펌웨어
    2. RTOS 기반 펌웨어
    3. 범용 OS(linux, windowce)기반 펌웨어

    위의 관련된 서적 아무거나 고르삼(주요컨셉은 대부분 설명이 되어있음)

    자료구조라기 보단 구조체 잘 잡으셔서 코딩하시며
    본인만의 코딩 RULE를 가져가세요(예를 들어 포인터를 어느때 쓰며 매개변수 반환등의 규칙적읜 함수 작성 전략)


    2021-06-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33350 전기·전자엔지니어 / 3년차 Lv 1

    경력자는 아니지만 기계연에서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manipulator 설계 및 제어에 관해서 배우고 있습니다.
    경력도 되시고 회로도 잘 아셔서 이쪽으로도 금방 잘 하실것 같습니다.

    사용 프로그램 : iar(firmware), cubemx(chip setting), visualstudio(value visualization용)
    테스트 보드 : stm32 nucleo - 간단한 프로그램 연습용
    manipulator 보드 : 박사 님이 설계해주셔서 정확한 구조는 모름...
    도서 : 윤덕용 저 - stm32f767 // 김정한 저 - DSP로 리니어모터 제어하기


    [manipulator 요약]
    PID( 주. 속도 프로파일 ) / 전류 제어기 - CAN 통신 - 정역기구학 ( 주. 자코비안 해석 )

    2021-06-1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