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미래를 위한 자기개발 우선순위?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회수 129 2024-02-21 수정

안녕하세요

저의 현재 상황을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3년제 전문대 전자과 졸업

삼성계열 3년 근무 후 퇴사

현재 전자/통신분야의  RF하드웨어 엔지니어로 중소기업에 5년째 근무중이며

나이는 33살입니다.


삼성에서는 3D CAD를 3년동안 했고 지금은 다 잊어벼렸습니다.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는 5년동안 회로설계/pcb artwork 계측장비 활용 디버깅 등 HW업무를 봐왔습니다.


올 하반기에 결혼 예정이라서

가장으로서 가정의 미래를 위하여 자기 개발을 하고 이직 하기 위해서 노력 중입니다.


1. 이직 하기 위해서 학력에 제한 받는 곳이 많아서 이번 년도 2분기 학점 은행제로 학사 학위를 취득하려고 고민 중입니다.

- 학사 학위가 정말 필요할지, 학점 은행제로 학위를 취득하였을 경우 차별 대우를 받게 되진 않을지 걱정이 됩니다.

2. 이직을 위한 토익 공부 꼭 필요한지

- 현재 리스닝/스피킹 위주로 공부하고 있는데 이직하기 위해 토익 준비를 해야할지

3. FPGA 공부 - xilinx spartan7 chip 사용 vivado tool 실습위주(현재 VHDL 스터디 중입니다.)

4. 전자캐드기능사/전자기사 등 자격증 준비

5. 기타 업무 관련된 스터디


제가 생각하는 우선순위는

FPGA공부 - 영어공부 -  업무관련 스터디 - 자격증 준비- 학사학위 취득 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다 하지는 못할 것 같아서 한두개 정도는 미루고 나머지 것들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해보려고 합니다.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뭐를 우선 시 해야 하는지 혹시 리스트에 없더라도 필요한 자기개발이 있다면 뭐가 필요 할지? 

현재 H/W엔지니어로 근무하시는 선배님 들께서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두서 없이 적었는데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5350 하드웨어엔지니어 / 15년차 Lv 5

    학사학위 따시는 이유는 이해 되지만 야간 대학 가지 않은 이상 공대에서 의미 없다고 봅니다 잘 아시겠지만 학사 따는게 정확히 학교 직접 가지 않고 인터넷을 하거나 방통대 같은건 공대에서 의미 없습니다 차라리 그 시간 때 영어를 읽고 쓰기 더 하시는게 업무랑도 연관성 있어 보입니다 회로 설계 시 데이타 쉬트 읽고 이해하거나 FA쪽에 영어로 문의 가능한것만 해도 대단한 스킬이라 생각듭니다 커리어 늘리고 싶딘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지금 어느 분야 있는지 모르겠지만 엔지니어 제일 큰 딜레마는 자기 개발하는 칩셋만 사용 할 줄 안다는겁니다 다른 분야 도전 그게 FPGA쪽이라 생각 합니다 예전 하드웨어 쟁이가 MICOM 포팅만 해도 대단했지만 지금 AP시스템 인해 이젠 MICOM이나 OS등 나누어져 있습니다 FPGA잘하셔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어와 FPGA쪽만 잘해도 충분히 경쟁력 있습니다 거기에 결혼 하면 아마 지금 처럼 자기만에 시간 가지기로 어려울겁니다

    2024-02-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61032 R&D·연구원 / 20년차 Lv 2

    연구소에 근무하시려면 학력이 벼슬이라는것을 많이 느낍니다. 그래서 저도 대학원을 졸업했구요.
    그런데 대전에서는 학점은행제 학사는 전문대나 마찬가지...
    대기업 또는 공기업 다니실거 아니면 토익이 필요할지?
    FPGA를 공부하는건 좋은데 아시다시피 응용분야라서 책에 있는 내용을 다 안다해도 실전에 사용할 실력이 되려면 몇년이 걸릴지부터 생각부터 해보세요?
    전자캐드/전자기사 같은 자격증은 취업시 우대 사항이 될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회사에 입사하면 고참들이 잘 안알려 줍니다. 왜냐 본인 업무하기도 바쁜데 신입 교육까지 시켜준다?
    또한 자격증 땄는데 왜 못해? 이렇게 나옵니다.
    따라서 자격증을 따는게 그 분야에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혹시 아시런지 모르겠지만 한때 정보처리 자격증이 유행이었는데 그거 따신 분중에서 프로그램을 제대로 하는 분이 몇분 계실까요?

    전문대라도 일 잘하는 놈이 장땡!
    영어 못해도 일 잘하는 놈이 최고!
    자격증 없어도 일 잘하는 놈이 우수 사원!
    이게 답이니 잘 생각하셔요

    2024-03-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97793 하드웨어엔지니어 / 22년차 Lv 1

    제가 딱히 조언드릴수 있는게 없네요

    2024-02-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010574 하드웨어개발자 / 23년차 Lv 2

    학사부터 따세요

    2024-02-2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