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방산관련기업 취업 고민

조회수 1,807 2023-09-17 작성

안녕하세요 

현재 지방 4년제 전자공학과 3학년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뭘 잘하는지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고 허송세월 살다 보니 어느새 대학 졸업이 코앞인 상황입니다. 삶에 의욕과 목적 없이 대충 살다 보니 어느새 취업할 나이가 되었는데 준비된 건 하나도 없고 부모님께 너무 죄송하기만 합니다. 제가 뭘 좋아하는지 고민하다가 제가 방산 쪽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등 방산 기업 취업을 목표로 정했습니다.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전자공학과 관련된 직무는 어떤 게 있나요?

2. 학교 교수님이 전자공학과는 반도체 쪽 아니면 갈 데 없다고 하시는데 사실인가요? (저는 반도체에 흥미가 없습니다 ㅠㅠ)

3. 반도체 대기업 목표로 하는 대학 동기들이 반도체 공정 교육 같은 외부 강의를 듣던데 저도 들어야 할까요?

3. 전기기사 자격증은 필요가 없을까요?

4. 방위 산업 취업에 도움 되는 자격증이나 스펙은 어떤 게 있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아니더라도 인생 조언과 질타도 부탁 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방산기업에 재직한지 6개월 된 사회초년생입니다. 그동안 여러 선배님들과 소통하고 여러 기업으로 출장도 다녀보면서 방위산업에 대해 이해하고 느낀바를 바탕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제가답변이 100%맞는건 아니니 그냥 참고만하시기 바랍니다.
    전자공학은 HW 관련 업무 대부분에 쓰일만큼 방산에서 활용분야가 넓은 전공입니다. 우선 방산대기업(넥스원, 한화, 로템, KAI 등)의 채용공고를 보시면 자세한 직무 열람이 가능합니다. 전자공학도가 갈 수있는 직무는 크게 R&D, 생산관리, 품질쪽 인것 같은데, 우선 어떤 분야든 생산되는 혹은 개발되는 장비의 회로도를 이해해야합니다. 그러려면 전자공학과의 주무기인 회로이론 및 전자회로 지식이 거의 필수적입니다. 세부적으로 R&D는 임베디드, 디지털회로, RF, SW(특히 C,C++,MATLAB, ORCAD) 지식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왜나하면 방산에서 만드는 장비가 큰 장비(예를들면 전차)안에 여러 부속장비가 들어가서 그 장비들을 제어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즉 기계적인 요소를 빼면 R&D에선 전자공학을 모르면 업무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방산에서 전자공학은 활용범위가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전공들을 열심히 수강해서 관련 프로젝트 경험이 있고 학점도 괜찮으면 채용될 확률이 매우 높아질것 같습니다.

    2. 반도체도 전자공학을 전공해서 갈 수있는 수 많은 길 중 하나일 뿐이지 절대 반도체만 있는게 아닙니다. 반도체가 산업이커서 채용이 클 뿐입니다. 또 반도체는 전자공학 이외에도 화학,물리,기계도 채용이 많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반도체에서 전자공학이 먹고들어가는 부분은 회로설계 혹은 반도체 장비 제어 및 설계인것같습니다. 나머지 분야는 다른 전공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기때문입니다. 취업정보를 조금만 찾아보면 전자공학이 얼마나 갈길이 많은지 알게될겁니다.
    3. 전기기사 자격증 필요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당장 방산대기업 모집요강만 봐도 전기기사 우대는 거의 없습니다
    글자수 제한때문에 여기서 마칩니다. 더 궁금한내용있으면 쪽지주세요

    2023-09-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05559 R&D·연구원 / 15년차 Lv 2

    전자 출신 중에는 반도체가 사실 돈 젤 마니 버는것 같구요. 방산은 최근에 뜨고 있긴 한데, 보수적인 느낌이 많아서 인력풀이 반도체나 자동차, 전자에 비하면 약한 느낌이 없지 않습니다. 2번의 교수님 말씀이 취업하기 쉽지 않다는건데, 취업 시장은 많습니다. 만족도가 낮을뿐... 공정 공부해서 라인쪽으로 가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기기사? 글쎄요... 제 주변엔 전기과 나온 사람만 있는거 같네요. 방산 취업이라... 군필... 각종 상훈이나 유공자가 유리합니다. 요즘 보니, 주로 RF, 신호처리, 제어 이렇게 쓰더군요. 아! AI는 항상 인기입니다.

    2023-09-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00096 하드웨어엔지니어 / 21년차 Lv 2

    솔직히 신입 채용의 경우는 별로 확인할 것이 없습니다.
    대부분 학점으로 성실성을 평가하고, 자격증 있으면 좀 더 노력한 점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약간 외근이 잦은 업무의 경우, 운전면허도 보긴 합니다.
    4년간 어떻게 열심히 노력했는지를 보통 가장 먼저 보게 됩니다.

    2023-09-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283142 R&D·연구원 / 4년차 Lv 2

    1. 전자공학 관련 직무
    - H/W 설계(Schematic, PCB ARTWORK, 2D/3D기구설계)
    (회로도 분석 및 설계, PCB기판 설계 등)
    - S/W 설계(펌웨어)
    - 품질 관리(PCB성능시험, 완제품 성능시험 등)
    - 자재 관리(국내외 자재 구매, 자재 일정 관리 등등)
    - 환경 시험(EMI시험, 진동 시험, 충격 시험 등등)

    2. 전자공학 취업
    - 방위산업체(개발, 사업관리 등)
    - 환경시험업체(시험연구원)
    - PCB제작업체
    - 개발업체(전기자동차, 의료 등등)
    - 공무원/군무원(전자, 통신 계열)

    3. 반도체
    가실 생각 있으시면 들으면 좋지만 아니라면 굳이 필요할까 싶습니다.

    4. 자격증
    전기기사 자격증 있으면 좋습니다. 전자 쪽이면 1순위 무선설비기사나 정보통신기사, 2순위 정보처리기사 따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방위산업 취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리고 영어 회화 쪽도 역량 쌓으시면 메리트 큽니다.
    설계로 가고 싶으시면 범용적으로 쓰는 툴이 있습니다. 그런거 배우셔서 수료증이나 자격증 따시면 좋아요.
    ex) Autocad, Pads, Autocad, Altium, Matlab 등등

    어느쪽으로 취업하시든 사업, 개발, 품질, A/S 다 있을 것이고 거기서 세부적으로 직무가 많이 나뉩니다.
    저 같은 경우 방위산업체 개발 업체를 세 곳에 다녀봤습니다. 거기서도 H/W설계 담당을 맡았지만 자체개발, 국산화 개발, 정비능력개발 등등 업무가 조금씩 달랐습니다.
    가고 싶은 직무 몇 가지 선택하셔서 취업 방향을 정하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두서 없이 적었지만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2023-09-18 작성
  • 반도체도 분야가 여러가지입니다. 뭐 크게 보자면 전공정 후공정인지 그 공정안에서 설계공정인지 등등이요...반도체 직무는 그 안에 정말 여러가지 직무가 있어요. 방향을 그쪽으로 잡으실거면 직무부터 확인하시고 그다음 공정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찾으세요 자격증은 해당기업공고 보시면서 어떤걸 우대로 해주는지 확인하고 취득하시고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지는 직무기술서 홈페이지 찾아보시고요 학교에서 주관하는 세미나 같은것들도 연관된다면 들어보시는게 좋을 것 갘습니다
    직무기술서 보시면 필요한 역량들을 표시해놓기도 합니다. 그에따라 역량에 맞게 준비하기 바랍니다 무작정 전기기사 좋다고, 범용성이 좋다고 따고나서 생각보다 반도체 직무에선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전기기사가 정말 도움되는 자격증인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전자공학과이기에 주변 시선 신경쓰지말고 여러 직무 세미나들으시면서 관점의 폭을 넓히셨으면 좋겠어요~~ 생각보다 직무는 굉~~~장히 많습니다 ㅎㅎ 잘 알아보시고 취뽀 하시길 바랄게요!

    2023-09-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927567 경호·경비 / 19년차 Lv 2

    다른것보다 전기기사 자격증은 필수입니다

    2023-09-1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