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대학생 진로 관련 고민입니다. 전문적인 일을 하려면 대학원을 가야할까요?

조회수 324 2023-05-28 작성

안녕하십니까.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있고 이제 곧 졸업을 앞둔 학부생입니다. 제가 다니는 학교는 KY중 한 곳이고 학점은 4.2~4.3점 정도입니다. 이번에 취업을 준비했었는데 아쉽게도 지원한 모든 회사에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떨어진 원인은 물론 제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점이 크지만 제가 하고 싶은 일과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이 매치가 되지 않은 것도 이유중에 하나라고 느꼈습니다. 취업이야 다시 준비해서 도전하면 되지만 이 길이 제 길이 맞는지 의심스러워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저는 수소액화플랜트를 설계하고 싶었고 단순하게 그러한 사업을 하고 있는 국내 회사에 가면 제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또 플랜트 기계설계 분야는 학사로 취업해서 필드 경험을 쌓는 것이 좋다는 말을 들어서 학부 졸업 후 취업을 결심했었습니다. 그런데 취업을 준비하면서 많이 조사도 해보고 이런 저런 경험도 해보면서 현실은 제 생각과 조금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보통 핵심기술은 해외 라이센서가 가지고 있고, 국내 epc에서 하는 플랜트 기계설계라는 분야가 (물론 굉장히 전문적인 직업이지만) 제가 생각하는 공학적인 전문성이랑 조금 다르다고 느껴졌습니다. 다른 회사에는 없는 기술이나 어려운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할 줄 알았는데, 협력업체 선정 및 관리 혹은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다리 역할에 더 가깝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식견이 좁아 오해하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저는 공학적으로 전문적인 일을 하고 싶습니다. 기계공학 분야에서 전문적인 일을 하려면 대학원에 진학하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다시 취업 준비를 하여 국내 epc회사에 입사한 후 경력을 쌓고 해외 라이센서 회사로 이직하는게 좋을지, 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자의 길을 걷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저는 대학원에 진학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져 있으나 다소 충동적인 선택은 아닐지, 교수님이 보시기에 도피성 대학원 진학으로 보이지 않을지 걱정입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35446 설계엔지니어 / 20년차 Lv 3

    상기에 말하신 대로 보고계신 현실과 질문자님의 생각은 괴리감이 분명히 있습니다. 국내 플랜트 EPC는 Eng보다는 PC에 집중된 면이 있다고 봅니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플랜트 엔지니어는 PM(프로젝트 매니저)역할이 크다고 봅니다. 원천기술은 아주 어려운 것입니다. 선진국들인 산업혁명때부터 쌓아온 기술력을 쉽게 얻으려는 것도 현명한 생각은 아닙니다. 해양쪽이 E에 도전했다 죽쒔었습니다.

    학교에서 벗어나 세상에 나올 때는 지도 한 장과 나침반 하나만 준비하시면 된다고 봅니다. 학벌기준으로 개인적인 역량이 뛰어날 것 같습니다. 그러니 세상에 나와 조금만 노력하며 살다 보면 질문자님이 생각하시는 "다른 회사에는 없는 기술이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회사보다 다 좋은 것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수소분야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아직 20대로 보이는데, 질문자님처럼 생각을 고정하고 살면, 더 좋은 것을 잡기 힘듭니다. 나뭇꾼이 나무를 지고 가다, 금덩어리를 봤다면, 나무를 내려놓고 금을 지게에 실어야 합니다. 질문자님처럼 목표가 너무 확고하다면, 지도와 나침반조차 필요없을 수도 있지만, 지도 한 장과 나침반 소지하고 세상에 나오면 더 흥미진진한 삶을 살수도 있으니, 이점도 알면 좋을 듯합니다.

    아주 전문적인 일들은 박사(서울대, 카이스트정도의)까지 가셔야 합니다. 지금 원하시는 것은 산업체보다는 연구소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고 봅니다. 삼성전자나 현대중공업 정도 제외하면 산업체에서는 돈이 돌지 않는 분야에 장기적인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외국에 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권고해 드리지는 않습니다.

    20대의 삶의 기준은, 30대, 40대가 되면 바뀝니다. 40대 정도 되니 세상이 어느정도 보입니다. 생각을 유연하게 만들고, 지금에 충실히 살아가다 보면, 좋은 미래도 만들어질 겁니다. 인생 뭐 없습니다. 노력하고, 진인산대천명의 마음으로 기다리면, 마지막에도 행복할 겁니다. 20대 젊음이 좋습니다. 화이팅..

    2023-05-3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89583 R&D·연구원 / 18년차 Lv 2

    학점도 좋고 자신의 꿈도 구체적이시네요. 하지만 하고싶은 일의 폭이 좁아보여요. 회사는 생각보다 다양한 일을 해야하고 연구소가 아닌 이상 그리고 선행을 하지 않는 한 아카데믹하게 일하기 어려워요. 실제 개발도 기존 업무를 거의 모방하면서 문제를 찾아 수정이 더 많아요. 학점이 좋으시던데 해외로 공부하러 가시는 거 추천드려요.

    2023-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662132 설계엔지니어 / 6년차 Lv 2

    잘생각해보세요.
    기계공학은 석사보단 박사를 선호합니다.
    석사과정 밟으시면 중소에선 오버스펙이라 기업에서 부담을느끼고
    대기업에서는 박사를 원합니다

    2023-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522499 HRD·HRM / 24년차 Lv 5

    면접에서 같은 맥락의 언급을 하셨다면 기업에서 갭을 느꼈을 것입니다.
    공학적 전문 업무는 물론 해외 라이센서 회사에서의 업무를 바라보신다면 궁극적으로 석사 이상 선호합니다( 당장 아니어도 궁극적으로).
    교수님, 남의 시선보다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목표에 도움되고 적합한 결정을 내리는 게 중요하죠.
    참고하셔서 자신에게 좋은 결정하시기를 바랍니다.

    2023-05-28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