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현실적인 조언이 필요해요

조회수 9,425 2020-10-29 수정
안녕하세요 이제 25살 대학교 3학년 학생입니다
요즘 취업걱정이 많은데요
전 IT기업이나 공기업 전산직을 생각중인데 알아보니 공기업 전산직은 사람을 많이 안뽑더라고요... 하지만 일단 공기업 전산직을 생각하고 있긴한데... 그래도 만약 제가 일반 IT회사에 입사할려고하면 프로그래밍 실력이 어느정도 되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전 java를 배우고 있긴하지만... 이제 메소드 조금 다루는 정도인데... 나이도 있고 너무 늦은건 아닌지... 내년이면 취업해야하고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6
  • 프로필 이미지 mentor1210218 4년차 Lv 3

    IT도 분야가 엄청 많습니다.

    솔루션 DBA UI/UX 웹 취약점 분석 등등

    공기업 전산직은 IT헬프데스크 개념으로 뽑고 실질적 필요에 따른 개발은 외주를 통해 수주합니다. 공기업 생각하시면 NCS나 정보처리기사 취득정도 준비하시는게 좋고 정말 IT로 가고싶다 하시면 걱정만하지마시고 회사가 진행하는 사업이 뭔지 알고 면접 잘 준비하시는게 낫습니다. 회사성격마다 다르지만 신입한텐 큰 기대안합니다 공부시켜서 써먹습니다 걱정마세요

    2020-11-04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52251 인바운드상담원 / 18년차 Lv 3

    40세가 넘기 전까지 개발업무에 나이로 제한받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산전공이 아니라면 계속 전문개발자로 남기는 쉽지 않습니다.
    순수 시스템 개발이 아닌 이상, 개발에 있어 현업과의 협업경험이 중요하므로 개발분야 외에 조금 더 폭넓은 지식을 갖추신 다면 여러가지로 유리합니다.
    여러 레벨의 IT업체가 있어서 입사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을 수 있지만, 가급적 첫 직장은 향후 커리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바는 좋은 선택지이며, 제이쿼리나 뷰와 같은 스크립트를 익숙하게 다루신다면 더욱 좋습니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2020-11-04 작성
  • 25살이면 아직 늦지는 않았습니다. 25년 살아보시면서 느끼는게 있을거에요. 어떤 일에 시작하는 나이만큼 그 분야의 재능과 자신이 오래 지속가능한 것이 가능한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30살 넘어서도 학원 통해서 IT기업 문 두드리는 사람 정말 많습니다. 대학생이 실력이 있으면 얼마나 있겠어요? 처음부터 부담은 적게, 포부를 크게 잡고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2020-11-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587602 웹개발자 / 13년차 Lv 2

    25살이 많다니요... 모든걸 버리고 새로 시작해도 늦지 않을 나이인걸요...... 사실 실무로 들어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신입한테 그닥 많은걸 바라지 않습니다. 다 부딪치시면 이겨내실 수 있으세요 오히여 공무원 준비한다고 노량진에서 시간 보내며 사회생활을 회피하시게 될까봐 걱정이네요 제 주위에 그런 친구들이 많아서요 힘내세요 일단 부딪쳐 보세요!

    2020-11-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31570 웹기획 / 13년차 Lv 2

    프로그래밍 실력이 어느정도 되어야 하는지에 포커스를 두어서 지원할 회사를 선택하지 마시고
    지원하고 싶은 회사를 먼저 선택하고 거기에서 필요한 능력치를 맞추어 가려고 하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어떻게든 원하는 회사를 가서 좋은 선임을 만나면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실력 향상은 금방 금방 오르실꺼에요
    4학년 2학기 전까지 스프링부트 기반으로 프론트와 백앤드 한번 만들어보는거 추천합니다.
    요즘 초급 개발자 받으면 그냥 복붙 달인 느낌... 자신감을 가지세요.

    2020-11-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92686 웹개발자 / 18년차 Lv 2

    저는 20년째 공기업, 대기업 프로젝트 AA업무나 공통 업무, 또는 pl 이나 일반 개발이나..
    뭐 다하고 있네요.. 언어는 자바 입니다.
    일단 자바라는 언어가 좋기는 하지만 파이선이나 node, vue.js 이쪽으로 흐름이 강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질문 순서대로 답변해 볼께요.
    나이는 많지 않으니 걱정 마시고
    공기업이나 대기업이나 it파트의 실무적인 개발은 외주인력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일반직으로 지원하세요. 일반직으로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자연스레 개발파트와 만납니다. 개발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면 업무에 도움이 되겠지요..

    프로그램 실력은 어느정도가 되어야 하는가는 잘하면 됩니다.. 뭐든.. 그래야 인정 받습니다.
    다만 신입이거나 개발 실무를 많이 해보지 않았다는 사실을 주변에서 이해는 하고 있습니다.
    잘 모르겠다면 백문이불어일타라고 하지요.. 자바를 배운다면 웹을 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하나의 책을 완전히 소화 하세요.
    그리고 두권째는 다른 부분을 이해 할 수 있는 책을 고르세요.
    개발은 흐름입니다. 하나하나 순서를 나열하고 이해하는 습관이 중요 합니다.
    그리고 개발실력은 경험에서 나오는게 아닌이상 알고리즘 입니다... 요즘은 패턴이니 뭐니 단순화 되어 가고 있지만.. 알고리즘을 스스로 설계가능 하다면 능력을 실천하게 쉬워 집니다.( 일을 쉽게, 수월하게 진행하는것이 실력이기도 합니다.)

    자바보다는 자바스크립트를 추천합니다. 요즘은 서버사이드(서버개발), 프론트엔드개발을 구분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니
    vue, reat 뭐 이런걸 하려면 node가 기반이 되어 하니.. 다루는 언어를 변경해 보는것도 방법 이겠습니다.

    질문자님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고민을 하는지 잘 모르지만
    질문만으로 판단 하여 답변 드리자면 막연하게 취업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어떤개발을 하고 싶은지 고민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발직군은 다양 합니다. 가급적스스로를 아시고 목표를 세우시는 것이 나중에 10년 20년뒤에 위치할 모습입니다

    2020-11-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95763 웹기획 / 24년차 Lv 1

    A. 공단이나 공사를 추천하며
    1.자격증 : 정보처리기사1급 필수이고,
    2.프로그래밍은 전자정부프레임웍에서
    게시판 정도 공부삼아 완성시킬 수준이면
    입사해서 배워갈 수 있습니다.
    3.모두 입사 시험이 있죠!
    B. 그외 IT 회사는 프로그램 스킬을 많이보는 경향이 있습니다.(회사에 따라 포트폴리오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20-11-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10464 웹개발자 / 1년차 Lv 2

    안녕하세요 학우님, 저도 그시점에 같은 고민을 한 적이 있습니다. 내 프로그래밍 실력은 너무 하찮은데 이렇게 공부해서 졸업하고 나서 바로 취직을 할 수 있을까? 성적도 낮고, 그렇다고 해서 실무를 엄청 잘하는것도 아닌데.. 나란 놈을 뽑아줄 회사가 잇을까? 자격증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데, 그랫던 시절이 있습니다.
    제 이야기를 잠깐해보자면, 대학교 4년동안 놀고, 필수 이수 학점도 못채워서 추가학기까지 등록해서 5학년까지 대학교를 다녔습니다.. 현재도 졸업 안하고 수료인 상태이긴 합니다.
    저는 아직도 자격증도 운전면허증이 하나이고, 그 외의 대외활동 조차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취업을 위해서 국비지원 수업을 들었구요. 학원에서 미니멀리즘하게 수강한 것들을 토대로 작품 하나를 만들어(포트폴리오 대용) 20년 6월부터 9월까지 600군데가 넘는 회사들에 지원을 했고 200번 넘게 면접을 갔습니다.
    그 중 많은 회사들의 환경? 복지? 근무형태를 경험하고 현재는 저도 만족하고 회사도 만족하는 곳에 취업해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아직 졸업은 못하고 수료인 상태지만요 ㅋㅋ
    다른 선배님들에 비해 하찮은 답변이겠지만.. 제가 드릴수 있는 답변은..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스타트업(5인미만기업)을 제외하고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일햇다는 팀웤 프로젝트의 증거를 많이 요청하고, 혹은 독보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잘하는 사람아니면 키워서 쓰겠다는 마인드가 잘 없어요. 다녀본 결과로요.. 국비지원 과정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랑 팀웤 프로젝트 몇개와 개인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만들어서 제출하긴 했지만, 그래도 많은 곳에서 탈락했죠.
    본인이 아무것도 없고 그냥 4년제 졸업장 하나만 있다면 국비지원 교육과정 추천드리구여, 중소규모 기업부터 취업해보시는게 어떤가 합니다. 웹개발자쪽은 서울 기준으로 대부분 2400~2800정도 제시하더라구여.. 취업을 위해서 발품을 많이 팔 수록 본인이 일하기 편한 곳을 찾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처음부터 높은 허들 넘으려고 x

    2020-11-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076814 웹개발자 / 6년차 Lv 1

    일반적인 IT회사라는 기준이 애매한데요.
    보통 신입이나 경력이나 새로운 곳에서 가장 바라는 역량은 이해력인 것 같습니다.
    경력은 회사마다 데이터 모델, 프로세스, 개발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고,
    신입은 알려줬을 때 잘 캐치하는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잘 닦아놔야할 것 같습니다.

    보통 신입한테 회원가입, 로그인, 게시판을 구현하고 소스 리뷰를 많이 시키더군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티키타카를 이해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좋은 것 같습니다.

    2020-11-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655853 웹개발자 / 19년차 Lv 3

    java를 배움면서 IT쪽을 생각하고 계신다니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메소드 조금 다루는 정도에서 객체도 생성해 보시고 클래스도 생성해 보시면서 이곳, 저곳 많이 알아 보세요. IT쪽은 경력이 얼마나 되느냐도 중요하니까 경력, 탄탄히 쌓으 실 생각하시구요... 처음에 들어가면 팀장이나 윗사람이 코딩하는거 바로 시키지 않으니까, 우선 탄탄한 곳, 이곳 저곳 알아보세요...내년일까지 미리 준비하는 것도 좋게보이네요... 건승을 빕니다. ^^*

    2020-10-3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