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합격자소서

탑엔지니어링 2022년 하반기 신입 반도체엔지니어합격자소서

합격자 정보

  • 지방4년
  • 시스템제어공학과
  • 학점 3.38/4.5
  • 자격증 2개
  • 수상 1회
  • 9,461읽음

합격자소서 질문 및 내용

답변
"탑엔지니어링, 미세공정 시대의 솔루션을 제공하다."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있는 탑엔지니어링에서 저의 역량을 발휘하여 함께 성장하고자 지원하였습니다.
반도체 소자의 공정 미세화에 따른 높은 성능과 기능 다양화로 칩의 검증과 불량 분석의 중요도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탑엔지니어링은 반도체 테스트장비와 OLED 공정 장비 등을 주력으로 개발 및 제조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테스트장비의 혁신을 주도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에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꾸준히 공급하며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이끄는 탑엔지니어링은 4차 산업혁명의 수요에 맞춰 미래의 반도체 산업에서도 성장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탑엔지니어링의 PLC 제어 직무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담당 장비와 공정에 대한 전문지식과 의사소통 능력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40시간의 PLC 실습에서 반도체 웨이퍼 핸들링 시뮬레이션을 다뤄보며 직무 전문성을 키웠습니다. 또한, 2년 간의 물류센터 아르바이트에서 조직적응력을 키우고 1년 간의 신입생 멘토링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키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입사 후, 고객사가 요구하는 Spec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회사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또한, 탑엔지니어링의 기술에 대한 열정, 임직원분들의 노력에 동참하며 TOP PLC 제어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글자수 6871,177Byte

답변
"끈기 있는 아르바이트생"

물류센터에서 2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 적응력을 키웠습니다.
2년 동안 물류센터에서 아르바이트를 꾸준히 할 수 있었던 것은 저의 끈기 덕분이었습니다. 물류센터 업무는 매일 30kg 이상의 무거운 짐을 계속 옮기고 수천 개가 넘는 상자를 포장해야 하는 육체적으로 고된 일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고된 업무 때문에 아르바이트생은 하루마다 바뀌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고된 업무 속에서 저 자신을 한층 더 성장하고 싶어 끈기 있게 근무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주말마다 헬스장에 다니면서 체력을 키웠고 좋아하는 자전거를 타면서 스트레스를 없앴습니다. 또한, 적극적으로 직원분들에게 먼저 다가가 소통하여 모르는 것에 대해 물어보았고 업무의 요령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2년 동안 아르바이트 업무를 원활하게 하였고 직원들로부터 정직원 제의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PLC 제어 엔지니어는 담당 제품의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끈기를 가지고 해당 불량을 해결해야 합니다. 저는 위와 같은 역량을 토대로 담당 제품의 오류를 끝까지 파고들어 해결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반면에, 자기 전에도 일에 대해 고민하여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잠을 잘 때 해결하지 못한 일이 있다면 어떡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잠을 설치할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잠시 밖에 나가 산책을 하여 머릿속의 생각을 정리하여 마음의 안정을 주도록 합니다.

글자수 7331,253Byte

답변
"탄탄한 반도체 장비 지식과 PLC 제어 경험"

탑엔지니어링의 PLC 제어 직무는 반도체 또는 OLED 장비의 혈관을 만드는 직무로 장비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은 “반도체 장비 지식과 PLC 제어 경험” 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경험을 통해 해당 역량을 키웠습니다.

첫째, 직무와 관련된 과목을 수강하여 지식을 쌓았습니다. 시스템제어공학과를 전공하여 전자기학,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자회로, 전력전자 등의 과목을 수강하여 전자회로 및 소자에 대해 배웠고 PLC 제어의 기초 지식을 쌓았습니다.

둘째, 193시간의 반도체 NCS 교육과 488시간의 반도체 전문 교육을 통해 반도체 장비에 대해 배우며 반도체 장비지식을 쌓았습니다. 또한, PLC 실습 교육에서 PLC를 활용하여 웨이퍼 핸들링 로봇 시뮬레이션을 다뤄보며 PLC 제어 역량을 키웠습니다. 이를 통해 직무 전문성을 키웠습니다.

셋째, 다양한 tool을 다뤄보며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Boost Converter, FPGA 제어, BLDC 모터 드라이버 제작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C++, AUTOCAD, Atmel Studio 등의 프로그래밍 역량을 키웠습니다.

이러한 저의 역량을 통해 쌓은 기본기를 바탕으로 PLC 제어 직무에 대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글자수 7161,152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