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취업뉴스
취업팁

이공계(자연대) 분야 Q&A

잡코리아 2015-12-30 10:22 조회수3,519

이상하다. 이 선배 말 다르고 저 교수님 말 다르다. 직무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없고 물어보면 모두 다른 대답. 장르의 차별성 때문인가, 관점의 차이인 것인가? 알쏭달쏭 궁금한 것 투성이인 자연과학계열 전공자들을 위해 좋은일 연구소가 발 벗고 나섰다. 자연과학대 출신 직장 선배들이 밝히는 직무 관련 진실들을 살펴보자.

 

Q 영어는 대체 얼마만큼 해야 하나요?
요구하는 기준과 수준은 기업이나 연구소마다 정말 다 다릅니다. 하지만 자연과학 계열이 아니더라도 최근 들어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실무에서 영어를 쓸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연구개발일 경우 논문을 읽고 쓰는 수준이 되어야 하며, QC나 RA의 경우는 외국인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영어 점수가 높아도 정작 면접에서 떨어질 수 있으니 실전 영어를 익히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Q 자연과학 계열 직무는 무엇이 있나요?
공대와 많이 겹치기도 하지만 자연과학 계열도 우대받는 직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D가 있겠지요. 말 그대로 각 전문 분야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직무인데요, 주로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를 선호하는 편이기는 합니다. 자연과학계열 전공자들은 품질 부분에도 많이 진출합니다. QC, QA, QM 등의 직무는 식품, 에너지 등 품질을 보증하고 관리하는 직무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자연과학 계열의 전문지식이 필수적이라 전공자들이 우대받는 분야입니다. R&D보다 는 학력에 대한 장벽이 낮아 대학, 전문대 졸업자라면 대부분 지원이 가능합니다.


RA(Regulatory Affairs)라는 직무도 있는데요. RA는 개발된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 국내외 관련 기관에 인허가를 맡는 직무입니다. 절차와 법 규정은 물론 제품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연과학계열 전공자를 우대합니다. 그 외에 식품, 화장품, 제약 업종과 관련된 기업에서는 영업이나 마케팅, 각종 지원 직무에서 자연과학계열을 우대합니다. RA와 마찬가지로 자연과학계열과 관련된 제품을 다루는 기업의 경우, 그 분야의 전문지식이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Q 연구개발직은 야근이 많다던데, 정말인가요?
네, 사실입니다. 다른 직무와 달리 야근이라는 개념이 적용되기 힘든 분야이기도 하지요. 그래서 야근 수당이 없는 곳도 있고요. 다른 직무와 달리 업무의 성과가 인정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대부분 야근 수당 대신 연구 수당 혹은 성과 수당으로 노력을 인정받기도 합니다. 사실 연구개발직은 느슨하게 일하려면 얼마든지 느슨하게 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한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직종사자들이 야근을 그렇게 많이 하는 건 연구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Q 자신의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려면 석·박사 학위가 있어야 할까요?
자연과학계열 전공을 살려 취업하고 싶다면 석사 과정을 밟으며 더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사실 자연과학계열 전공자가 학부생 때 배우는 것은 일반적인 것들이에요. 석사에 입문하면서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교육을 받기 시작하는 거죠. 그래서 해당 분야 전공자들은 석사 이상을 해야 R&D 직무에 취업이 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 외에도 석사 과정 중 논문을 쓰기 위해 효율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험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 판단 능력을 어느 정도 길렀다고 보기도 하고요. 그렇게 석사 과정을 마치면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취업 선택의 폭이 꽤 넓어질 겁니다. 특히 연구개발직은 많은 기업과 연구소에서 석사 과정 이상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그 외에 기술영업 분야에서도 석사 과정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혜경 기자 hklee0726@jobkorea.co.kr

 

관련 글 더보기 

> 이미 입사한 이공계(자연대) 선배들의 업무 비하인드 스토리 보러가기!

> 이공계(자연대)분야 전공별 취업가능한 분야는?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좋은일 연구소에 알려주는 광고홍보직 자기소개서 작성법
이전글
재미로 보는 최초 시리즈 - 가공식품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