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 본사에서 보았고, 1시까지 집합하였습니다.
면접관은 3명이었고 한명씩 들어갔습니다. 직무별로 집합하였고 하드웨어 개발 직무 지원자는 10명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면접관 3명, 지원자 1명 3:1면접이었습니다.
1차면접에서 영어 면접 후 실무 면접을 봅니다.
영어 면접은 1대1로 봤었고 실무면접은 3대1이었습니다.
영어 면접은 간단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면 되는거였고
실무면접은 1분자기소개를 토대로 진행하였습니다.
특별한 반응도 없었고 편한 분위기도 아니었습니다. 실무면접이라고 해서 좀 젊은 분위기를 생각했는데 책임자같은 분들이 들어오셨습니다. 형식적인 면접이라고 느꼈습니다. 면접 질문도 회사에서 정해준 틀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세분이 순서없이 한번에 질문하시고 대답을 듣자마자 또 질문하면서 진행되어서 약간 정신없던 면접이었습니다. 또한, 입사지원서를 보시는데 글자가 안보이셔서 계속 돋보기로 보시느라 이력서에 대해선 전혀 안물어보셨습니다.
마지막 할말에서 너무 형식적으로 대답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자동차 통신관련해서 좀 더 공부해갔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1시라고 지정해주셔서 갔는데 1시넘어도 연락도 안받으시고 하셔서 조금 당황하였습니다. 아무리 뽑히고 싶은 취업준비생이지만 시간을 좀 지켜주셨으면 하는점이 아쉬웠습니다.
회사에 대해서 어떤 사업을 하는지, 어떤 것을 생산하는지 간단히 알아가는게 좋고 딱히 부담을 느낄 만한 면접은 아니었습니다. 노조 관련해서 대답을 잘해야 하는 회사입니다. 면접보기전에 간단한 설문지 같은 것을 작성하는데 그게 반영이 크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실무 면접이라고 해서 전공 지식 같은 것을 많이 공부해가야 된다고 생각하였는데 전공 관련해서는 전혀 물어보시지 않으셨습니다.
1,2차 모두 본사에서 봤습니다. 1차는 10시에 모여서 1시간 반정도 대기하고 면접을 봤습니다. 2차는 2시에 집합하여 1시간 대기하고 면접을 봤습니다.
1차는 대략 면접관 7명 2차는 3명이었습니다. 1차 면접자는 10~15배수 였습니다. 2차는 4배수 였습니다.
1차, 2차 둘다 다대일 면접입니다. 따라서 그에 맞게 준비하면됩니다.
1,2차 둘다 다대일 면접입니다. 1차의 경우 먼저 자기소개를 시킵니다. 그리고 야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 왜 구매직무를 택했냐? 출퇴근은 어떻게 할꺼냐? 지원동기는 뭐냐? 등등을 물어보셨습니다. 질문이 상당히 정형화 되어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2차의 경우 먼저 면접을 보기전에 20분간 컴퓨터실에서 ppt로 pt면접 자료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면접실에서 대기후 자기 차례가 오면 들어가자 마자 pt를 합니다. 5분정도 한 후 착석하여 pt관련 내용 질문과 인성질문을 하십니다.
1차의 경우 인사부장님이 주도적으로 물어보셨습니다. 그외 나머지 분들은 대답해도 별반응을 안하셨습니다. 그러나 야근관련해서 재치있는 대답을 하니 몇분이 피식 웃어주셨습니다. 그 떄 부터 저를 굉장히 좋게 봐주신 것 같았습니다. 2차는 시종일관 공격적이셨습니다. 저의 답변이 실무와 동떨어진다고 하시면서 압박이라기 보다는 성화를 내셨습니다.
1차는 굉장히 조용한 분위기 였습니다. 인사부장님의 거의 인성관련 질문만 하시고 나머지 분들은 많이 지루해 보이셨습니다. 따라서 재치있는 답변을 해주시면 크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2차면접 분위기는 굉장히 엄숙하였습니다. 또한, 신입면접임에도 불구하고 경력자 이상의 답변수준을 요구하셨습니다.
1차 면접 후에는 너무 긴장한 나머지 말을 조금 더듬었던게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2차면접에는 ppt 자료가 많이 부실하여 면접관에게 공격받아서 ppt 양식과 내용에 좀 더 신경을 썼어야 했었다는 아쉬움이 가득했습니다. 그리고 최종면접이라 인성적인 부분만 준비하였으나 1차 실무진 면접보다 더 실무에관한 질문만 하셔서 준비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상당히 아쉬운 최종면접이었습니다.
한국단자공업 구매면접은 구매라는 직무의 이해와 구매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다면 절대 합격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구매가 조달, 소싱적인 부분만 담당한다고 생각하시고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는 안됩니다. 구매에 관한 다양한 전략과 자재의 이해, 신규서플라이서 발굴 방안, 현실적인 원가절감 방안 등 현업에서 이루어지는 구매실무에 관한 지식이 뒷받침 되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16년 1월5일 오전10시에 한국단자공업 송도 본사에서 보았습니다.
면접관 4명, 지원자는 한조당 5명씩 이었습니다.
실무진 면접으로 진행되었고 약 35분정도 진행되었습니다.
면접 시작 전 자신의 장점, 노조, 최근시사 등을 적는 쪽지를 나눠주고 제출하게 합니다. 이후 면접에서 선택적으로 질문을 받습니다. 면접은 자기소개서 보다는 이력서 위주로 진행됩니다.
대체로 리액션이 적었고, 진지한 표정이었습니다. 대답하는 내용에 대해 추가질문이 주어지곤 했는데 날카로웠고, 약간 압박성의 느낌을 받았습니다. 직무에 관한 질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초반에는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개개인의 이력에서 가벼운 사항을 기반으로 진행했습니다. 이후에는 진지한 분위기로 시종일관 면접이 진행됬습니다. 부실한 답변에는 추가질문을 하며 압박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초반에 긴장을 제대로 풀지못해서 준비한 답변을 하지못하였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애매모호하게 대답하여 날카로운 추가질문을 받았습니다. 이에 당황했던 부분이 티가났고 점수를 못딴것 같아 아쉽습니다.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회사 인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면접에서도 이력서를 위주로 진행되며 경력 사항에 대해 매우 세세히 질문을 합니다. 이전 경력사항에서 담당했던 업무, 그만둔 이유, 앞으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에 대해 준비를 해야합니다. 그 외에도 이력서에 적은사항을 위주로 준비를 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회사이슈도 알아두시구요.
채용시기 | 인적성후기 | 면접질문 | 면접후기 | 최종합격후기 |
---|---|---|---|---|
‘2019년 하반기’ 한국단자공업(주) 후기 | - | 3 | 1 | - |
‘2018년 상반기’ 한국단자공업(주) 후기 | 1 | 3 | 1 | - |
‘2016년 하반기’ 한국단자공업(주) 후기 | 1 | 4 | - | - |
‘2016년 상반기’ 한국단자공업(주) 후기 | - | 13 | 3 | - |
‘2015년 하반기’ 한국단자공업(주) 후기 | 1 | 3 |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