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OOOO 현장 보건관리자 역할 수행(2015.07~현재 / 2015~2017 OOOOOO현장 / 2017~2021 OOOOOO / 2021~현재 OOOOOOOOOO)
작업환경관리
1. 밀폐공간작업프로그램 실행 및 운영
2. 소음 발생상태 점검, 청력보존 프로그램 실행 및 운영
3. 분진작업관리: 적정 호흡용보호구 선정 및 착용지도
4.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장 내 유해인자 노출기준 미만 유지
5.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실시 및 평가관리
6. 근로자 휴게공간, 간이화장실 등 위생설비 관리 및 방역활동
7. 미세먼지 대응 메뉴얼 및 가이드라인 작성
건강관리
1. 일반건강진단 및 유해부서 종사자 배치전/특수건강진단 진행
2. 2차 정밀검사 대상 및 유소견 근로자 사후관리 / 업무수행적합여부 판단
3. 뇌심혈관계질환 발병위험도평가 시행 및 관리
4. 직무스트레스 관리 장비운전 및 야간작업 스트레스반응검사(옴니핏(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운영하여 직무스트레스 관리)
5. 건강관리실 설치 및 운영, 의약품/의약외품 관리
6. 보건시설물 설치 및 운영, 응급구조용품 관리자 지정 및 수시 점검
7. 근로자건강센터 협업, 건강증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8. 취약시기 고위험근로자 특별관리
9. 관리감독자, 근로자 심폐소생술교육 기획 및 실시
10. 감염병관리 메뉴얼 및 가이드라인 작성
유해물질관리
1. 화학물질사용허가서 작성 및 반입물질 검수 관리
2. 현장 내 MSDS게시, 경고표지 부착, 유해물질 저장 관리
3. 특별관리대상물질 취급일지 작성 및 사용자 관리 대책 수립
4. 관리대상유해물질 사용자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1.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 내 보건분야 반영
2. 위험성평가 시 보건분야 반영, 협력업체 관리자 지도
3. 보건분야 목표 대비 성과측정 및 분석
4. 협력업체 보건관리 규정, 준수사항 작성
5. KOSHA18001 보건항목 작성 및 이행
글자수 987자1,572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