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의 직무역량이 돋보이는 자기소개서였습니다. 어느 누가 읽어도 이 지원자는 데이터분야에 적합한 지원자다라는 것이 여러 항목에서 확인이 됩니다. 그 이유는 지원자가 해당 직무에 맞는 경험과 자신의 생각들을 잘 풀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반면에 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건 맞지만 지원자가 지원회사에 적합한 사람이냐라고 판단해볼 때는 지원동기 등에서 보여지는 연결고리가 조금 약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는 지원회사에 대한 조사 및 인재상과의 연결이 간결하게 잘 제시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지원동기는 최근 자기소개서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이를 위해 다른 지원자들도 지원동기를 만드는데 있어 더 많은 고민을 담아내야 하겠습니다.
글자수 762자1,309Byte
좋은점 1 지원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할 때 가장 좋은 것은 그에 맞는 적합한 사례를 들어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 읽는 사람도 지원자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습니다. 자신의 특성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첫 문장에서 언급한 뒤에 바로 그에 맞는 사례를 보여주며 설득의 연결고리를 만든 점이 훌륭합니다.
글자수 605자1,060Byte
좋은점 1 관심분야의 경우 이렇게 전문성이 필요한 직무에서는 자신의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자신의 직무에 도움을 줄만한 역량이 필요하고 그것이 돋보이는 관심분야를 선정해서 글을 작성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원자는 자신의 직무에서 하게될 주요업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일을 자신의 관심분야로 선정하고 그에 맞는 사례와 근거를 제시한 뒤 이를 지원동기와 유사한 수준으로까지 표현해주었습니다. 짧은 글에서 매끄럽게 이렇게 많은 요소를 잘 표현해주어 지원자의 관심분야와 보유역량 그리고 지원동기까지도 직간접적으로 알 수 있어 잘 작성된 부분입니다.
글자수 642자1,106Byte
아쉬운점 1 앞선 질문에서 지원동기에 가까운 이야기가 한 번 언급되어서인지 실제 지원동기를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기업에 대한 관심이나 자신의 강점 혹은 기업의 인재상과 관련된 이야기가 거의 언급되지 못하였습니다. 기업의 지원동기를 작성할 때는 기업이 지금 잘한 점에 대해서 언급하며 인재상까지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즉, 최근 1~2년 사이에 지원기업이 내 직무와 연관해보았을 때 잘한 점, 일반적으로 지원기업이 잘한 점 등을 기업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지원자는 이 속에서 지원기업이 나와 잘 맞는 요소를 찾아야 합니다. 1차원적으로 지원기업이 수행한 업적이 마음에 든다는 것이 아니라 그 업적 속에 들어있는 지원기업의 깊숙한 이야기를 터치해줄 때 기업은 그것이 진심 어린 지원동기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글자수 610자1,036Byte
아쉬운점 1 잘 작성해준 부분이지만, 상대적으로 앞의 수업부분보다 이 부분에서 지원자가 느끼고 배우고 깨닫게 된 직무 외적인 역량도 함께 작성해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역량에는 직무역량과 공통역량이라고 하여 내가 지원한 직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지식 및 역량과 전체적으로 회사생활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역량으로 이렇게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자는 관련경험 항목에서 수업에 대한 내용이 너무 많은 비중이어서 상대적으로 뒷부분의 실제 경험에서 얻은 이야기들이 조금 덜 주목받게끔 작성되었습니다. 관련경험을 정리할 때 좀 더 밸런스를 조절하여 학교 내 경험과 학교 외 경험을 간결하게 정리한 뒤, 거기서 얻은 인사이트까지 간단하게 제시해준다면 더욱 좋은 자기소개서가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