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심층분석 3. 쿠팡,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업데이트 2022.01.12. 조회수 13,828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이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 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건전성을 살피며 현재 기업의 경영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기업의 재무안전성과 경영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쿠팡,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2018년 매출액은 4조3,546억 원, 영업손실은 1조1,280억 원을 기록하였다. 2019년에는 매출액 7조 1,531억 원, 영업손실은 7,205억 원을 기록하였다. 2020년 연간 매출액은 13조9,257억 원, 영업손실은 5,504억 원으로 실적이 대폭 개선되고 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배 가까이 늘었지만, 적자는 절반가량으로 줄어든 셈이다. 지난 3년 동안 매년 70%의 평균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Analysis 2. 사업 성과
2015년 국내 이커머스 기업 최초로 매출 1조 원을 돌파한 쿠팡은 2019년 7조 2천 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차별화된 배송서비스와 가격경쟁력으로 단기간에 거래금액이 급증한 것이다. 쿠팡은 탄탄한 기술력으로 전 세계 이커머스 시장에서 유례없는 성장을 거듭하며 ‘국내를 넘어 세계가 주목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쿠팡은 시장 선두주자로서 전 부문이 시장 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약점인 적자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현재 이커머스 시장은 출혈 경쟁이 지배하고 있어, 적자를 내서라도 외형을 확장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쿠팡은 직매입·직배송 등 풀필먼트 시스템 중심이라 고정비도 높다. '규모의 경제'에 다다르기 전에는 매출과 적자가 비례할 수밖에 없다.
쿠팡은 적극적인 투자로 로켓프레시·쿠팡이츠 등 서비스를 확장해 회원수를 증가하게 했고 이들이 쿠팡에서 소비를 늘리도록 했다. 신사업에서 고객 수요가 증가하며 전 사업 부문의 매출 성장세가 유지될 수 있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쿠팡을 이용하는 고객 수, 상품 구매액, 재구매율 등은 모두 상당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쿠팡은 과감한 투자로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지역사회와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점유율을 2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쿠팡은 2021년 3월 뉴욕증시 상장을 통해 마련한 자금으로 지역 물류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에만 1조원 이상을 투입하는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직접고용 계획만 1만 명에 달한다.
쿠팡은 강력한 기술 기반 플랫폼과 커지고 있는 고객 수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할 계획이다. 현재 영위하고 있는 풀필먼트(로켓제휴), 클라우드(클라우드스토어(가제)), 미디어(쿠팡플레이), 배달(쿠팡이츠)도 확장시켜 나가면서 동시에 중고차 사업, 보험업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압도적인 고객 빅테이터를 적극 활용한 멀티 플랫폼을 구축이 성공한다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필진 ㅣ이창민 잡코리아 객원연구원
에디터 ㅣ조현정 joehj1111@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