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마케팅인턴 2주차 퇴사하고싶은데 어찌해야하나요

조회수 2,929 2023-03-04 수정

서울에 전 사원 7명의 작은 기업에 마케팅부서 인턴으로서 입사한지 2주차입니다


사실 입사하면서부터 대표님이랑 싸움이 있었습니다

근무시간부터 말씀드리자면 평일 주5일 하루근무 8시간입니다

첫날 일을 하고 퇴근전 대표님이 주신 근로계약서를 쓰는데 급여에 정확하게 150만원 이라고 적혀있더라구요

현재 최저시급에 주휴수당하면 200만이고

수습을 적용해도 180만 이잖아요


적혀있는 급여에서 따로 4대보험떼고 수습적용하고 하는것으로 아는데 처음부터 떼진 금액을 적은것도 아닐테고 아는 것과 좀 다르다 싶어서...

여쭤보니 주휴수당을 적용하지 않았다고

인턴은 주휴수당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시길래 제가 그건 아마 잘못 아신듯 합니다 라고 말씀드리니까 대표님이 갑자기 화를 내시더라구요

되게 감정적으로 나오셨습니다 무조건 자기가 맞다 인정해라는 식이더라구요


그 첫날 부터 이미 틀어졌었습니다만 돈이 급한것도 아니고 회사업무나 팀원들이 너무 좋았기에

그냥 인턴 3개월하고 나와야겠다 하고 싸인했습니다


사실 첫날 이랬어도 저는 대표는 대표인데 이 일로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고 업무할때는 업무적으로 대해주겠지 라고 믿고 그날 일은 가슴한켠으로 미루고 주어진 일을 열심히 했습니다


근데 저 사건이 있었던 첫날 다음날 출근하자마자 부터 저한테만 툭툭 말던지고 비꼬면서 없는 사람 취급하고 그러더라구요

2주차인 지금까지도 그럽니다

제가 한 업무문제가 아니라 그냥 그 날 일을 가지고 감정을 표출하는구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그만둬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급여도 문제있음에도 제가 감안하고 배우는것이 있으니 그냥 하려한것인데

그냥 사람을 인격적으로 짓밟는 느낌이라

이건 나가라는건가 싶다가도 그럴거면 처음 계약서 싸인할때 없던 일로 하자고 해도 되는것일텐데 왜 그랬는지도 참 그렇네요


상황설명이 길었는데 지금 이렇습니다

그래서 그만둘까 하는데

제 직무가 인턴이니까 그냥 대표님한테 가서 그만두겠습니다 라고 말하면 되나요?

한달전 퇴직의사 밝히는 것도 꼭 지켜야 하나요?

그냥 전화로 통보해도 되나요?


솔직히 작은 사무실이고 해서 직원들 다 보는 앞에서 대표님앞에 가서 퇴사의사를 밝히고 또 추가로 대표님한테서 나쁜 말들 들을것을 생각하니 숨이 막힙니다

거기다 급여도 이렇게 책정하고 이 일로 이렇게 감정적으로 앙갚음 하는 분인데 한달전 퇴사통보가 아니라 생긴 손해배상도 다 받아낼것같고 해서 무섭네요


진짜 싸인을 하면 안됬는데

어리숙함에 사회초년부터 스트레스로 죽을 맛이네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7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77669 온라인마케터 / 5년차 Lv 1

    안녕하세요.
    비슷한 업을 먼저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속상하시고, 많이 힘드신 게 눈에 읽히네요.
    짧지 않은 기간동안 잘 버티셨어요.

    고민하시는 포인트가 몇 가지 보이는데,
    제가 감히 예상해서 말씀드려봐요.

    1. 퇴사 통보
    퇴사 통보는 조금 힘드실 수 있고 잔인한 말이지만,
    대면으로 하시는 걸 의견드려요.
    위에 상사가 있다면 상사분께 퇴사 및 다 털어놓고,
    후에 대표가 면담 요청한다면 대표에게 말씀하세요.
    물론 상종하지 못할 대표지만 퇴사 통보를 하는 만큼
    대표ㅡ직원이 아닌, 그냥 동네 아저씨일 뿐인
    동등한 관계입니다.
    오히려 당당하게 말씀하세요.
    퇴사는 부끄러운게 아니고, 도망치는 것도 아니예요.
    막말로 `그냥 수 많은 회사 중에 골라서 일 해준 것에 감사해라`
    라고 생각하세요.
    그러니 시원하게 내뱉고 나오셨음 좋겠어요.
    반드시 퇴사 일자를 꼭! 잡으세요.(녹음은 필수 입니다)

    2. 손해배상
    회사돈으로 횡령하신 게 아니라면, 인턴에게 손배를 말하는 회사는 없습니다.
    손해배상, 인수인계를 요청한다면, 어떤 근거로 손배를 요청하는지 / 항목이 많다면 메일로 달라 요청하세요.
    만약 진상대표가 메일로 정리해서 준다면,
    무시하시고 퇴사 일자에 맞춰 정리하시고 나가시면 됩니다.
    이후에도 손배 어쩌고 한다면,
    노동청에 문의해보니 아니라 한다, 라 말씀하세요.
    위에 말씀드린 대로 횡령이 아니라면 손배 할 건덕지도 없습니다. 겁주려 하는 말이니 가볍게 무시하세요.

    3. 업계 소문
    마케팅하면 항상 하는 소리가 있는데,업계가 좁다 인 것 같아요.
    실제로 특정 장르 마케팅은 업계가 좁은 경우가 있지만
    인턴에겐 크게 해당되지 않아요.
    또한 1~3개월이므로, 경력 내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이후에 마케팅 분야를 가신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회초년생에게 이런 압박을 주는 나쁜 놈들은 진짜..
    박멸되었음 좋겠습니다.
    앞으로 하시는 일마다 잘 되실테니,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음 좋겠어요.
    글쓴님 잘못도 아니니 본인을 너무 탓하지 마세요

    2023-03-15 작성
  •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학보사 한대신문 소속 학생기자 김연우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번 기사에서 `청년 퇴사 현상`을 주제로 기사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이 대거 퇴사하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지, 그 원인이 정말로 `MZ 세대의 나약함과 개인주의적 가치관` 때문인지를 중심으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이에 최대한 많은 이직자, 퇴사(예정)자를 간단히 인터뷰하여 기사에 담아보려 합니다.
    인터뷰 방식은 응답자님의 개인정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통해 5분 내외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바쁘시겠지만 시간 내어 인터뷰 해주신다면 한대신문 독자와 학교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뜻깊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의사가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 채팅방으로 연락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open.kakao.com/o/s4OZek3e

    2023-03-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81631 경영·비즈니스기획 / 34년차 Lv 1

    가능하면 빨리 퇴사 의사를 표시하세요.
    그런 회사는 다닐수록 본인에게 마이너스입니다.
    먼저 인사담당이나 대표에게 그만두겠다고 의사표현부터 하는게 좋겠습니다.
    당장이라도 그만두고 싶다하고 그러면 반응이 있을겁니다. 그대로 퇴사처리될 가능성이 높네요.
    만약에 폭언이나 비인격적으로 대하면 노동부에 고발할수도 있으니 걱정하지 말고 어서 그만두세요.
    그리고 다른 직장을 구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2023-03-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90831 인바운드상담원 / 5년차 Lv 5

    안녕하세요.
    대표님 사무실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면, 대표님께 잠시 드릴 말씀이 있다고 하면서 회의실이나 다른 장소로 이동해서 말씀드리세요.
    대표님이 그냥 그 자리에서 말하라고 하면 퇴사하겠다고 말씀드리세요.
    직원들은 신경쓰지 마시구요. 어차피 안 볼 사람들이고, 질문자님이 잘못한 것도 없으니까요.
    손해배상의 경우 질문자님으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할 수 있는데, 2주차 인턴 때문에 손해가 발생하는 회사는 문제가 있는 겁니다.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회사도 거의 없고, 그것을 증명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승소하는 회사도 거의 없습니다.
    대표님 특성상 전화 또는 문자로 통보하면 더 복잡해질 것 같습니다.
    힘들더라도 우선 구두로 말씀드리고 필요 시 사직서까지 제출하시고 퇴사하세요.

    2023-03-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12729 교직원·조교 / 9년차 Lv 2

    그런곳은 빨리나오는게 답입니다 더 있어봤자 더 스트레스에요

    2023-03-05 작성
  • 그냥 칵퉈 하면 욕날리고 나와요

    2023-03-05 작성
  • 전화로 통보하는 것은 아닌 것 같고 한달전에 퇴사통보 안해도 됩니다 그저 예의상일뿐 근로자는 당일 퇴사해도 됩니다 대표님께 직접 말씀드리면 될 것 같네요

    2023-03-04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