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웹 백엔드 취준생 지원자격 관련 질문입니다.

조회수 2,501 2023-02-02 작성

저는 이번 달에 졸업을 앞둔 취준생입니다.

그저 그런 지방대에서 학점 4점대로 나름 괜찮게 졸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제가 웹 백엔드를 희망하게 된 시기가 3달 전쯤부터였습니다.

그때부터 검색을 통해 알게 된 Spring 프레임워크, Spring MVC, Spring Boot, JPA, HTTP 공부를 목표로 꾸준히 공부 중에 있습니다.


인강도 듣고 일기장처럼 기술 블로그도 쓰며 독학하느라 시간이 많이 지났는데요.

완벽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직접 일을 하기 전까진 뭘 하게 될지 아직 감도 잡히지 않습니다..ㅜ

현재 취직을 위해서 웹 통신을 위한 최소한의 HTTP 지식이나 Spring 프레임워크의 대략적인 공부는 완료했습니다.

(인강 완강, 실습 및 기술 블로그 작성)

지금은 Spring MVC 공부 중이고 이게 끝나면 JPA와 Spring Boot를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사정 때문에 꼭 이번 상반기에는 취직을 하고자 합니다.

적어도 지금 하고 있는 Spring MVC까지만이라도 완강하고 몇 주 내로 지원을 할까 합니다.

그런데 이렇다 할 포트폴리오도 없습니다.

그나마 쓸만한 포폴은 졸업 작품의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만든 게 다 입니다.

수상도 했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객체지향부터 해서 모듈화, 최적화 등등 제대로 된 게 하나도 없어 보입니다.

제가 목표로 하는 방향과도 다른 느낌이라 포폴로 제출하기도 부끄럽습니다..


각설하고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나름 괜찮은 중소 더 나아가 중견급에서 요구하는 신입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예를 들어서 신입 기술 요건, 지원자격이

java, spring framework, mybatis, RestAPI 사용 경험이 있으신 분

리눅스,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

이럴 경우에, 

저는 mybatis는 들어본 적도 없고, RestAPI는 들어봤지만 사용 경험이 없고

리눅스는 학부생급 경험에 클라우드 플램폿 환경 개발 경험조차 없습니다.

기업 종류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신입 자격요건이 이렇습니다.


1. 그렇다면 저런 기업에 지원하는 신입이나 뽑히는 분들은 모든 지원자격을 갖춘 것일까요?

2. 포트폴리오가 따로 없다면 어떤 점을 앞세워 저를 소개해야 될까요?

 - 그나마 기술 블로그(게시글 대략 100개) 정도인 거 같은데 이게 많이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3. 제가 준비하는 기술 스택에 대해서 또래 기준 시기상 느린 편일까요?

 - 나이대별 지원 현황 보면 제 또래가 많고.. 완벽하진 않더라도 다 준비된 사람들 같은 느낌..

4. 상반기 공고는 보통 언제부터 언제까지가 많이 올라오나요??

 - 벌써 취직한 동기들도 있어서 조금 조급해집니다..


글이 길었습니다 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56454 1년차 Lv 3

    올해 29살 2년차 금융권SI 개발자입니다.

    1. 그렇다면 저런 기업에 지원하는 신입이나 뽑히는 분들은 모든 지원자격을 갖춘 것일까요?
    - 신입은 자신감+전공 기초지식정도면 충분합니다. 기술 보는 대기업/중견이래도 끽해야 코딩테스트가 전부이지, 디테일한 기술을 신입에게 절대 요구하지않아요.절대.

    2. 포트폴리오가 따로 없다면 어떤 점을 앞세워 저를 소개해야 될까요?
    - 전 학교 연계로 들어갔을뿐, 이렇다할 포폴 하나 없었고, 면접도 아닌 면접(?)으로 사실상 그냥 졸업장 하나들고 취직했습니다. 신입은..그런겁니다. 대학생은 그냥 졸업장이 깡패에요. 졸업하고 취직해보니 그러더군요..

    3. 제가 준비하는 기술 스택에 대해서 또래 기준 시기상 느린 편일까요?
    - 기준을 높게잡으면 원없이 높고, 낮게 잡으면 충분하고도 넘칩니다. 다만 알아두셔야할게, 첫 투입부터 A-Z까지 모든일을 시키지도 않고, 각 파트별로 각자가 업무를 나눠서 진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나열된 기술중 한두가지만 다뤄보기만 했어도 충분하셔요. 배운다생각하고 들어가세요.

    4. 상반기 공고는 보통 언제부터 언제까지가 많이 올라오나요??
    - 공고는 시기 안가리고 올라오는듯. 중소/중견은 사람 부족해서 계속 올린다 보면 돼요. 취직후에도 사람인/잡코리아 이력서 1년에 한번은 업데이트하세요. 연락 자주옵니다. 대학교 졸업한거+대학생활정도만 써놔도 연락와요~

    SI쪽에서 풀스택(?)아닌 풀스택으로 하는데, 금융권이라 그런지 툴이 워낙 잘돼있어서 툴 사용법만 잘 익히면 기초적인거 몰라도 코딩할수 있습니다. 스프링은 좀 열악해서 하드코딩이지만요.. 모든 기업은 각자 자기회사에서 사용하는 툴이 있는데, 기업마다 다른걸 신입이 어떻게 다 알겠어요 그쵸?? 그러니 그냥 우선 뽑아놓고 가르치는겁니다. 신입은 그런사람이에요. 아직 다룰줄 아는 툴이 없으니 배워야하는 그런사람. 가서 뭐든 열심히 잘 배울게요! 라고만 하면 어디든 데려가서 키워준답니다..허허

    2023-02-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428402 웹개발자 / 1년차 Lv 3

    요즘은 비전공자들도 스프링이랑 rest, 실 db연동에 배포까지 다 하십니다. (무중단 배포 자동화에 tdd까지 하시는 분들도 계심)

    전공자신입으로서 경쟁하시려면 좀더 cs나 기초 부분을 강화하시고 이력서 잘 어필하세옹

    2023-02-0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96395 웹개발자 / 15년차 Lv 1

    이미 해보셨을수도 있지만, 목표로 하는 회사나 계속 익히고 싶은 언어로 조그마한 토이 프로젝트를 git에 하나 띄어 보는것이 도움이 될듯합니다. 포트폴리오 처럼요. 신입에게 바라는게 있다면 그 회사가 잘못된거에요. 뭔가 잘하고 대단한 신입을 원한다. 그럼 연봉을 그만큼 줄수 있다는 반증이 될거구요. 무튼 현업 , 실무 결국 잘 하실겁니다. 지금은 막막하시겠지만 화이팅~~

    2023-02-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37578 웹개발자 / 26년차 Lv 5

    그정도 하면 신입으로 잘하는 거에요.

    면접이 전부고

    자신감 하나만으로도 합격 가능합니다.

    난 이미 원하는 회사 직원이다. 최면 걸고

    까지꺼 밤세서 공부해서 따라잡지 머. 어렵겠어

    난 다 할줄 알아.

    구글링 하면 안 나오는게 없다고.

    이런 정도의 자신감 있으면 됩니다.

    2023-02-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84522 웹개발자 / 19년차 Lv 5

    회사 채용공고 내용은 업무를 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도구를 나열한 것입니다. 경력자라면 알고 잘할 수 있어야 되는데 신입이라면 몰라도 배우고 잘할 수 있으면 되겠습니다.

    면접 시 코딩테스트를 보는 이유는 신입사원이 배운 것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지 보는 것입니다. 본문에 나열된 기술을 완전히 외우고 이해해도 회사의 업무에는 사용할 줄 모르는 응용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없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험이 있다는 건 신입의 입장에서 스스로 해보는 것도 포함됩니다. 요즘에는 책과 영상에 다나와있고 오픈소스 등으로 개인피시/클라우드에 구축할 수 있으니 의지가 있다면 모를 수는 없습니다.

    정말 가고 싶은 회사가 있다면 그 회사의 채용공고를 잘 읽어보고 업무에 관심을 가지고 어떤 기술로 만들었을까 생각해보고 그 기술로 스스로 구축해본 과정과 결과를 기록으로 남깁니다. 면접 때 잘 말할 수 있다면 신입에 맞는 일을 줄 것입니다.

    1) 지원자격이 없어도 취업될 수 있습니다. 운이 좋다라고 볼 수 있겠지만 회사에서는 필요하니 채용했을 것이고 그런 점을 잘 생각해볼 필요 있습니다.

    2) 자신이 작성한 것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면접 때 언급 자체를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반대로 최대한 회사에 이해시킨다는 생각으로 간추려서 말할 수 있게 정리를 해보십시오. 회사에서는 필수로 여기지 않으니 입사지원자가 회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느낌을 주도록 합니다.

    3) 다른 취업준비생도 나이가 있을 수 도 있고 회사의 직원들은 이미 나이가 좀 더 있는 상태이니 느리거나 빠르다거나를 비교하기 보다는 자신이 어제보다 오늘 더 발전해 있으면 그만입니다. 옛날 기술은 예전에 살고 있는 사람은 알고 있지만 현재 태어난 사람이 알리는 없습니다. 그러니 필요할 때 바로 배울 수 있으면 됩니다.

    4) 회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뭐라고 답할 수는 없습니다. 급한 마음에 중간 과정을 건너뛰면 다시 처음부터 해야 할 수 있으니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에 신경을 썼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02-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05852 11년차 Lv 1

    생각하기 나름이지만 제가 볼 때는 크게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mybatis는 jpa를 사용하기 전에 주로 사용하던 기술로 jpa는 SQL문을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mybatis는 SQL문을 직접 작성합니다. SQL을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복잡한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고요, 요즘 JPA를 많이 쓰고는 있지만 아직 mybatis를 사용하는 곳이 많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브라우저 상단에 보이는 URL이 모두 API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화면 뿐만 아니라 인증도 할 수 있고 데이터만 주고받을 수 있지요. RestAPI는 쉽게 생각하시면 Spring의 경우 Controller에 uri(API)를 작성하는 것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uri 호출이기 때문에 http 방식을 사용하고요 Method를 통해 행위 (읽기, 쓰기, 수정, 삭제) 등을 표현합니다.

    막상 부딛혀 보시면 생각보다 별것도 아닌것들도 많습니다. 일단 도전해보세요.

    2023-02-0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