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회계(재경)직무에 대해 여러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조회수 440 2022-11-29 작성

1. 직무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2. 직무를 하기 위해 자세, 필요지식, 역량이 무엇인가요?

3. 직무를 수행하며 3,5,7,10년뒤 어떻게 성장하는 것이 좋을까요? 

4. 근무하면서 가장 성취감을 느낄 때와 제일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5. 루틴한 업무를 하다 보면 스스로 정체된다고 느껴질 수 있는데 어떻게 극복하나요?

6. 회계직무에서 성과를 낼 수 있나요?

7. 제조업 외에 다른 산업군에서는 자소서 쓸 때 뭘 중점으로 어필해야 하나요?


현업 선배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귀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3701 재무담당자 / 22년차 Lv 1

    이 글은 대기업 다니시는 분한테는 해당이 없는 내용입니다. 중소기업에서 초중견까지 다니시거나 다니시려는 분한테만 해당이 있으실겁니다.
    고졸로 시작해서 22년 경력자가 쓴 글입니다.
    물론 직장생활하며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정규대학 및 대학원(석사)까지 마쳤습니다.

    1. 상고출신입니다. 그나마 접근이 쉬운 직업을 택하였습니다. 원래 특전부사관 출신이라 앉아있는거 적응하느라 고생은 엄청했습니다.

    2. 직관, 분석능력, 뭐 당연히 회계세무경제 등 관련지식은 갇고 있어야겠지요? 그런데 지속적인 자기계발 안하면 도태됩니다

    3. 음... 이거는 본인하기따라 다릅니다. 지속적으로 자기계발하고 하나라도 더 배우려노력하고 남 놀 시간에 좀 더 내 시간을 내어 자기가 하는일 보다 그 다음의 것에 도전해야지요?

    예를 들면 단순히 회계만 놓고 보면 40세 되서도 현표 작성을 못하는 사람이 수두루 빡빡입니다. 뭐 연결회계처리는 말할것도 없고... 이걸 좀 좋은 상사만나고 자기가 공부하고 노력해서 30대에 한다?
    그럼 길이 열리는 겁니다. 10년 정도만 얘기하면 그렇고 그 이후는 또 다른것이 필요하겠지요?

    4. 힘든점은 맨땅에 헤딩한때고 좋은때는 맨땅에 헤딩해서 마무리한일이 성공적일때죠

    5. 루틴? 그것도 하나의 과정입니다. 누구나 그렇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을 하는것이 자기자신을 너무 과대평가 합니다. ,
    `대학나와서 왜 전표를 끊어야 하나`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건 오만입니다. 모든게 거기서부터 시작인데.... 제발 기본에 충실하고 그 위에 얊은 비닐을 한장씩 정성스레 씌우듯 일하다보면 어느덧 중요한 일을 하는 실력있는 프로가 되어있을겁니다. 역시 물론 자기계발 필수입니다

    6. 당연히 낼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본인하기 나름입니다. 본인스스로가 본인을 끌어올릴지 말진를 결정하는 겁니다

    7. 제조업이든 아니든 그게 크게 중요하지 않은듯 해요. 업종이 다르다면 해당 업종의 특성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하고 재무제표 분석은 필수!

    2022-11-3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