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정신질환으로 인한 퇴사 가능한가요?

조회수 5,392 2022-10-23 작성

원래 정신질환을 갖고 있었는데 최근 직속상사 가스라이팅과 폭언으로 스트레스가 심해져 못 버티는 지경까지 왔습니다 필요시 약물 2-3봉 과잉복용해야 일이 가능합니다. 정신적으로 못 버티고 당연히 능률도 오르지

않으니 가능한 빨리 퇴사해야 하는데 실업급여 그런 거 다 필요없고 그냥 빨리 나가고 싶습니다. 그래도 새직원 구하기 전까진 한 달 채워야 하는 거죠? 너무 괴로워서요. 한달 이전에 나오고 싶은데...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4
  • 프로필 이미지 mentor4703246 자재관리자 / 9년차 Lv 5

    그 정도 라면 퇴사담당하는 분과 면담후 빠른 퇴사 조치를 취하는 걸로 협의하시면 될 것 같아요 새직원 구해야 하는 건 회사입장이지 질문자님께서 고려해야 할 일은 아닙니다
    회사에서는 뭐 직속상사를 바꿔주거나 부서를 옮겨준다거나 가급적 퇴사를 안 하는 쪽으로 얘기할 수도 있는데 그것은 전적으로 질문자님께서 고르실 수 있는 사항이고요

    다만 걱정되어 글을 더 남기자면 퇴사사유에 정신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 의 사유를 적고 퇴사할 경우 다음 이직시 채용에 불리할 수 있으니 개인사정으로 인한 퇴사로 기재후 퇴사하시기 바랍니다
    자진퇴사인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지만(직속상사의괴롭힘으로 퇴사한다 하여도요) 질문자님께서는 그것보다 마음이 다친 게 더 큰 것 같아 잘 조율해서 해결 하셨으면 합니다

    2022-10-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86120 MD / 12년차 Lv 1

    이력서 업데이트하다가 눈에 띄어서 글남깁니다. 저는 동일 사례로 누구나 다아는 대기업에서 3년여동안 직속상사 괴롭힘(구타, 욕설, 요즘말로 가스라이팅, 주말근무 기타 등등)으로 약 6개월간 잠을 못잤어요, 밥은 뭐 먹어야 뭐해 나같은 쓰레기라는 생각의 지경까지 이르렀구요. 제가 있던 곳은 여초집단이라 제가 당하는 모든 걸 모든 사람들이 방관하는 상태 였지만 개중에 두세분 정도 제가 화장실에서 꺽꺽 거리면서 혼자 울때, 옥상에서 밤에 꺽꺽 울때면 위로해주시던 분들이 계셨고, 그분들이 총괄리더 인사미팅 때 조심스레 이야기를 꺼내봄이 어떻겠냐 권유하셨어요. 정도가 좀 심했거든요. 같은 대리 직급인데 연차가 우선이었던 조직인지라, 대놓고 윽박지르고 복사해놓은 걸 머리에 던지거나 뭐 여러가질 당했고, 제가 한 모든 걸 그사람 이름으로 바꾸어 작업 했었습니다. 그게 잘못인지는 몰랐구요, 당시에는 무엇에 씌인양 당연했습니다. 그걸 당시에 같은 팀이었던 모든 사람들은 알고 있었구요..
    결론적으로 팀 인사고가미팅 전에 정기 건강검진이 있어서 건강검진 때, 중고도 우울증 진단이 나왔고, 해당 진단이 나오면 직속 총괄리더에게 메일링이 가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그렇게 총괄리더가 제 우울증을 알게 되었고, 미팅자리에서 전 그 직속 상관이 너무 무섭다며 운을띄우며 지난 3년간 있었던 일을 모두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저를 목격 하고 위로 해 주셨던 분들이 차례로 증언 해 주셨고, 저는 바로 제 업무를 정리하고 1주일 만에 병가 휴직 처리가 되었습니다. 회사 내 상담사가 1대1로 붙었는데 나라에서 지원하는 시스템인지라 6회 무료 였고, 세브란스 신경정신과 상담치료사 출신의 전문 상담사 였고 따로 일-이주에 한번씩 약속을 잡아 1시간씩 상담치료를 병행했고 회사에 치료 내용은 회사에 보고 되었습니다. 중고도 우울증이라 회사에서 지정한 신경정신과에서 치료를 병행했고 9개월간 병가휴직을 받았어요. 이후에 그 상사가 없는 제가 원하는 부서로 복귀 했구요.

    2022-11-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08827 납품·배송기사 / 5년차 Lv 4

    정신과 약까지 복용하시면, 진단서부터 끊으신다음,경찰서로가셔서 고소접수 가능합니다. 죄명은 폭언,폭행으로 형사입건 가능합니다.요즘 폭언이 폭행이랑 같은처벌을 받습니다.22년부터 엄청 법으로 쎄졌구요. 전과없는 초범들도 벌금이상 다날립니다. 다만, 증빙 자료나 증인1명 이상이 있어야 고소가 가능하며, 즉시 경찰서에 바로 고소하시면 됩니다. 우선 증인1명, 친한분중 한분만 출석해달라고 부탁하시면서 밥한끼 사드리세요. 그리고 핸드폰 녹취어플 다운로드하세요. 폭언할때 바로 키실수있게끔, 두가지만 제출하시면 최소 벌금형 때릴수있습니다. ( 실제폭행이나 폭언 등 강력 전과범들은 추가로 재판받고 징역3개월이상 받게할수도있습니다) 팀장인가 부장인가 바로 신고해서 처벌내리세요. 가능합니다.

    2022-10-2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77620 품질관리자 / 14년차 Lv 1

    저희 회사에 뒷자리 기술부 차장 출근하더니 갑자기
    사라지더군요 이유인즉슨 폭언 녹음하여 노동청
    신고
    회사에서 바로 잘라버린경우더라구요
    안자를경우 노동청에서 검열이 전직원 상대로 뜬다네요.
    누가 신고했는지 안알려줍니다
    그냥 그만두실거면 신고 하셔요
    신고자한테 피해 안가더라구요
    그리고 실업급여는 의사 소견서 있으면 가능합니다

    2022-10-28 작성
  • 1. 실업급여는 보통 본인이 자발적으로 퇴사시 받지못함니다. 하지만 이사나 건강상등의 이유로는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로복지공단이나 네이버 검색 필요
    2. 직장냐 괴롭힘으로 타인에 의한 퇴사를 생각하시는건 노동부 근로 감독관에게 신고를 하고 서로 조사를 하고 결정이 내려짐니다. 대략 2-3달 이상 걸립니다. 무조건 조사하지는 않고 증거가 있어 입증이 가능하여야 정식 조사와 처분이 내려짐니다. 다만 타 직장에서 경력증명서나 퇴사 사유시 약간 좀 신경쓰이는부분이 있습니다.
    3. 직장내 상황을 잘 모르지만 회사에서는 그만두기를 이미 원하고 있을수 있습니다. 회사와 미리 합의 하시어 새로 근로 계약을 체결하시고(기간제 근로형태) 그 이후에 근로계역에 의한 퇴사는 자발적인 퇴사가 아니어서 실업급여 대상이 되실겁니다.
    4. 근데 무엇보다 중요한건 본인의 치료입니다.
    치료가 선행되지 않으면 본인이 힘든것도 있지만 주변사람이 몇배 더 힘듬니다.(단전호흡, 요가 명상, 꾸준한 운동) 약을 꾸준히 하시고 심리치료가 가능한곳도 찾아보세요.
    5. 상사나 믿을만한 사람에게 일단 솔직히 날하새요. 나 그만두고 싶고, 생계땨문에 실업급여는 벋고 싶다고

    2022-10-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07272 7년차 Lv 1

    7년 다닌곳 정신이랑 몸 다 힘들어 나왔는데
    그냥 직구 던지세요.. 몸이 일할상황아니라고 정말 못다니겠다고 퇴사처리 해달라고 쉬면서 병원치료해야한다고

    2022-10-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489691 사무담당자 / 5년차 Lv 1

    자기 자신을 생각하세요 뭐든 자기 자신이 우선이고 늘 작성자님을 자부심이라 여기며 응원하고 계시는 부모님뿐만 아니라 곁에 소중한 사람들을 생각하시구요 세상은 넓고 좋은 기회도 찾아올꺼에요
    한번 사는 인생인데 행복하게만 살아도 모자른데 이렇게 살면 넘 슬프자나요 안그래요?

    2022-10-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356005 1년차 Lv 1

    상황을 회사에 잘 설명 해보시고 회사측에서 납득 못할경우 그냥 나오셔도 무방한 경우로 보입니다.

    2022-10-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978053 영업지원 / 17년차 Lv 3

    답글 한번도 안달아 봤는데 글 남깁니다.
    다른거 필요없고 본인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것만 생각하세요!!!

    2022-10-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516419 경영·비즈니스기획 / 15년차 Lv 2

    저도 겪어본 사람으로서 힘든점에 공감이 갑니다. 그렇다고 지금 순간의 감정으로 퇴사를 빨리해야겠다라는것 보다 냉정하게 자신의 위치를 바라보세요

    정말그사람때문에 힘든것인지 내가너무과민하게 반응하는건 아닌지 주의사람들은 당사자님을 그렇게 생각하지않고있어요 자신만 아니면되지란 생각으로 별 생각이 없어요.

    요즘시대에 어렵게 취업이란 문턱을 넘었는데 그기회를 버릴수는 없잖아요 369란 법칙이 있듯이 회사안에있으면서 이직을 준비하시는게 님 에게 훨씬 유리하게 재입사를 할수있어요

    당장퇴사를 하고 준비하여도 되지만 심리적 불안감은 더 클수있습니다. 저도 15년간의 회사생활에 이직을하고 혼자만의 생각으로 가스라이팅이라는 생각을 그냥 퇴사를 해버렸고 6개월간 공백기에 열심히 준비해서 공공기관에 입사하긴 했습니다 그래도 바로 퇴사하기보단 멘탈적으로 힘드시겠지만 회사에있으면서 이직을 준비하세요. 당연히 업무는 충분히 하시고 그후시간은 이직공부하세요 세상은 할게 너무많습니다

    2022-10-24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