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문대 전기과 졸업반입니다 취업 고민

조회수 1,523 2022-08-02 수정

현재 전산기 하나만 꼴랑 따놓고 멍 때리고 있습니다


정신 차리고 지금 당장 오늘부터라도 준비하고 싶은데 


막상 시작할려니 무엇을 준비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뭐라도 하자는 마인드로 오토캐드, 전기공사산기 생각중입니다)


원래는 설계직 관심 있어 찾아봤다가 여러가지 조건도 부족


하고 만만치 않아 포기했습니다. 그 뒤로 사무직을 계속 찾아봤지만 


현재는 그냥 무난한 직종 아무거나 찾아보는중입니다. 


전기 선배님들 진로를 어디로 잡아야 할까요? 조언이나 


추천직종, 기피직종 전부 달게 받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4
  • 프로필 이미지 전기가왜코딩까지해야돼 전기·전자엔지니어 / 3년차 Lv 2

    요즘 신입 기준으로 전기 가장 많이 요구하는 분야는 전장SW분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왜 신입한테 이런 능력을 요구하는지 모르겠지만, 전장설계 기본은 갖추고 있고 PLC나 PCB제어 등을 어느정도 숙지한 상태에서 SW용 코딩을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직무는 사실상 중고신입용 직무로 생각돼서 비추드립니다.
    그 다음은, 전기 시공쪽인데 주로 건축계열입니다. 현장 인력은 언제나 부족해서 그런지 건축전기 인원은 늘 많이 채용하더라고요. 대신에 이건 포설, 분전반 및 배전반 접속 등 진짜 현장 전기 업무를 맡을 일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그 부분에 적응이 힘들면 비추. 전기 공무같은 업무나 감리의 경우 전기 기술인수첩도 없고 전기산기 하나라서 부적절.
    그 다음으로는 PLC제어 혹은 배선쪽인데, 제어반 작업을 할 줄 알면 PLC쪽 분야에 은근 길이 많습니다. 근데 무경력 무스펙 전산기 하나 딴 사람이 갑자기 PLC라는 모르는 분야에 뛰어들려면 무조건 50인 이하 중소기업에 채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금이라도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알고 래더 편집에 대해 알면 경쟁력이 있겠지만, 이 부분은 전기전공이든 자격증이든 사실상 무의미하고 프로그램 편집능력이 좌우하는 분야라서 새로 파고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은 이제 시설관리 쪽인데, 이쪽이 가장 취업난이도는 낮습니다. 주주야당비 이런식으로 교대근무가 있긴 하지만 근무강도는 엄청 낮은편이고 자격증이 있으면 있을수록 좋은 직종입니다. 점검하러 나갈 때 뺴면 사무직에 가깝고요.

    CAD 준비 생각하시는거같은데, 이상하게 이쪽 계열이 CAD를 할 줄 안다고 우대하고 더 경쟁력이 있다고 쳐주진 않더라고요. 근데 모르면 걸러내는 기준으로는 쓰기도 하는게 좀 아이러니입니다. 할 줄 알아봐야 어쩌다 가끔 도면 확인하고, 외주 도면 검수하거나 편집하고, 제품 드로잉에 하자 있으면 자체 편집하는 정도? 진짜 활용도 떨어집니다. 그냥 영어스펙, 공모전마냥 있어야 허들 넘는데는 유리하지만 직무와 밀접하진 않아요

    2022-08-16 수정
  • 1.4년제 편입
    2.경력1년 채우고 전기기사,소방전기 따기

    4년제 편입이 가장 좋기는 한데 그게 힘들면 산기 있으니깐 경력1년 빨리채우고 전기기사 랑 소방전기 따세요
    공사산업기사 따는것보다 영어성적 올리는게 개인적으로 좋아보여요. 대충 25살 24살 일거같은데 전문대졸 이시면 경력을 빨리 채우시는게 좋을뜻 합니다. 아직 무슨 직무가 자신에게 맞는지 잘 모르실테니 주변의 선배나 교수님들 한테 가서 물어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2022-08-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051423 전기·전자엔지니어 / 3년차 Lv 1

    후반기 대기업 채용 준비하세요 다 필요없고 자소서랑 면접 준비 당장이여

    2022-08-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67129 전기기사 / 16년차 Lv 2

    PLC제어, 센서/하드웨어 구성 5년차까지 일하고 건설업으로 전향한 사람인데요...
    11년 전 시작하여 2016년도까지 일했었습니다.
    주 고객이 LG디스플레이, 한화테크엠, BOE반도체 였는데 지금도 그때 일했던건 후회가 없네요.
    물류로봇 만드는일 나름 재미도 있고 PLC로직 제어회로도 구성하는것도 성취감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향후에도 산업장비는 크게 변화가 없다는것.
    PCB로 대체할수 없는 반영구적인 설계이기에 꾸준한 직업이 아닐까싶습니다.

    2022-08-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130198 반도체엔지니어 / 11년차 Lv 1

    PLC 쪽이 어떨까요 앞으로 반도체나 이런부분에서도 장비 투자는 계속 이루어질 겁니다 지금의 추세로 보면 미국같은데 공장도 생기고 분명 좀더 그쪽이 기회가 많을것 같네요

    2022-08-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349857 생산직종사자 / 33년차 Lv 2

    경기 안산
    오세요
    반월공단
    시화공단
    일자리 많아요
    전주비전대학 전기과 나와서
    안산 살고있여요

    2022-08-1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295586 전기기사 / 5년차 Lv 2

    전기공사는 현장공사할거 아니면 공무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추천 자격증은 소방, 전기(공사포함), 냉동기, 산업안전 추천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했으니 그걸로도 충분하긴합니다.
    선임용량이 작지만 전기안전관리자나 관리자보조로 선임되면 4년 채우는 순간 10kV 무제한용량 선임가능합니다.
    산업기사 취득 후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이 아닌 전기경력의 80%만 인정해서 좀더 일해야합니다.
    무제한 용량의 경우 취업이 매우 쉬워집니다.

    오토캐드는 그냥 가서 하셔도 됩니다. 인터넷만 보고 배워도 됩니다.
    배전반 설계를 해도 많이 알고 갈 필요가 없었습니다.

    일반적인 시설관리업체는 비추합니다. 저도 이직준비중이네요. 공장에 전기안전관리자 이력서 넣는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은데 취업하려면 PLC 조금 알고 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공장에서 왠만하면 외주 부르는데 요구하는 기업들이 있더군요.
    그런데 PLC는 업체 들어가는게 기술배우기 가장 좋지만 정말 힘들어서 이직률이 높은 분야입니다.
    배우고 한국만 탈출하면 월급이 배로 오르는 기술입니다. (미국으로 이직하는 친구 경험)

    2022-08-0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46143 전기·전자엔지니어 / 8년차 Lv 1

    전기쪽이면 4년제 편입해서 최소 학사까지로 하는게 좋을겁니다.

    그리고 설계쪽으로 가려면 하드웨어 설계 추천드립니다.

    하드웨어 설계는 전장설계가 아닌이상 전자쪽입니다.

    전기접하시다가 전자로 전환하시면 조금 수월합니다.

    참고하세요.

    2022-08-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72212 네트워크엔지니어 / 12년차 Lv 2

    여러 분야 생각지말고 한분야만 선택 집중해야 합니다. 한분야에서 전문성을 기르고 성공하면 다른 분야도 추가해서 내 능력을 키워나가세요.

    2022-08-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47445 환경기사 / 5년차 Lv 1

    저희 회사에서도 현재 전기기사, 캐드자격증있는 분 모집 중이에요.
    방지시설 집진기 설계하는 회사구요!
    뭐든 공부를 시작하시고, 나이나 여건이 취업이 급한상황이라면 취업 후 시험준비하세요!
    경력이 짜세입니다.

    2022-08-0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