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엔지니어로서 갖추어야할 역량이 어떤것일까요,

조회수 2,941 2022-07-25 작성

안녕하세요,


현재 설계 엔지니어로 있습니다.


보통 직무는 설계 + 공사프로젝트 관리 입니다. 때문에 잦은 해외출장으로 영어쓸일이 많아 영어공부를 따로 투자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어 현재 에너지관리기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회사 다니면서 자격증과 영어를 동시에 하기에는 집중도 안돼고 어수선한 느낌입니다.. (공부에 투자 시간 1~2시간) 주말 (4~5시간)


현재 가지고 있는 자격증은 (공조냉동기계기사, 일반기계기사, 산업안전기사) 가지고 있고, 추후 노후대비, 커리어가 어떻게 될지모르니,,, 에너지관리기사, 가스기사, 전기기사를 취득할려고합니다. 


선배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후 5년 영어하는 엔지니어 vs 자격증을 가진 엔지니어 


두가지 다 가지는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그래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때 인것 같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5
  • 프로필 이미지 mentor9537645 9년차 Lv 1

    물론 영어도좋지만 직무에필요한 자격증이 우선인것같아요 그래야 자신에대한긍지와 자부심이더 생길것같내요

    2022-08-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13364 30년차 Lv 2

    여러가지 자격증을 갖고 계시네요. 저는 삼성 엔지니어링 다닐때 오픽 시험을 자주 치뤘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영어는 필수 과목인것 같습니다. 어설픈 영어로 잘 못알아듯고 그릇된 행동이나 엉뚱한 작업 결과는 커다란 해사 행위로 이어질수 있으니까요.

    2022-08-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002662 생산직종사자 / 20년차 Lv 1

    설계? 어느 분야이신가요? 건축,토목,전기,자동화,기계 무수히 많은 직종이 잇는데...

    자격증도 기술사 아니고서는 딱히 답이 있느것도 아니구요.
    전기기사외 소위 어렵다는 기사자격증 취득해도 별볼일 없습니다.
    회사가 좋거나, 본인 능력이 좋아서 개인 창업을 하든가. 이도저도 아니면
    회사에서 능력을 인정받는게 제일 좋은 역량일거라 봅니다.
    개인 회사 창업하는게 더 낳은 선택이겠지만, 직종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그 이상 조언은 힘드네요

    2022-07-3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83110 전기·전자엔지니어 / 5년차 Lv 5

    당연히 영어입니다. 커리어는 job에서 키우고 계시잔아요. 자격증 더 따면 그게 커리어인가요?? 아닙니다. 커리어는 퍼포먼스를 낸 결과물입니다.

    설계를 계속하고 프로젝트 관리를 하다보면 해외 슈퍼바이저들을 상대하시지 않나요?? 영어가 당연히 훨씬 우선이 되야합니다.

    자격증이 많은건 좋지만 기계, 배관? 혹은 회전설비 즉 기계쪽 엔지니어로 추정되는데 전기는 왜따려고 하시는 건가요?? 에너지나 가스는 process 엔지니어 쪽이고 화공쪽에 가까운데 기계만 해도 시간이 버겁지 않을까요??

    설계하고 프로젝트하고 나면 user에게 키를 넘겨줄텐데 키를 받은 user들이 관리적인 측면이나 audit에서 활용하는 자격증 내용이 많고 더 많이 필요합니다.

    물론 프로젝트 단계에서 정확한 설계나 인허가 사항, 펀치 최소화를 위해 질문자님 처럼 스터디 하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본연의 job에 집중하시고 이에 도움이 될만한 영어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노후는 실력이 만들어주는거지 자격증이 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22-07-3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252887 13학번 Lv 1

    설비쪽이시라면 저 자격증 가지고있으면 좋긴하나 설계쪽은 글쎄요...

    2022-07-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253148 생산직종사자 / 15년차 Lv 3

    영어는 귀가 뚫려야 해요.
    한국에서 백날 있어봐야 실력 안늘어여.
    학원 다닐 필요없어요.
    학원을 뭐하러 다닙니까?
    영어공부는 이미 10년을 했잖아요?
    중3+고3+대학4년.... 요즘엔 초등학교때부터 영어학원을 다닌다니 그럼 10년이 훌쩍 넘는데 영어를 못한다니 말이 됩니까?
    그리고 단순 자격증은 아무 의미 없어요.
    현장 실무능력이 중요합니다.
    자격증 있어봐야 실무에 가서 다시 배워야 합니다.

    2022-07-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78579 생산직종사자 / 23년차 Lv 3

    본인의 맏은일 에책임을질줄알고
    후배앙성에도 진심이어야진정한
    엔지니어아닐까요

    2022-07-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오늘도즐기자 매장관리자 / 4년차 Lv 1

    기술자로써는 무조건 자격증입니다.
    냉동쪽 실무로 3년째 근무중인데 어딜가도 통역사가 한명 있기때문에 실무 기술자들이 월등히 대우받고 있습니다.
    기술있는사람한테 인원지원도 그렇고 후한편입니다.

    개인적으로 발전하시려는 모습 대단하십니다.

    2022-07-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87157 2년차 Lv 1

    자격증이요.
    어짜피 공학은 전문용어가 대부분이니 관련지식과 기술을 익히면 대부분 소통이 될거라고 봐요.
    실제로 공학서적이 한글로 되있다 한들 개념이 부족하면 이해못하고, 오히려 영문서적이라도 수학 과학 같은 배경지식이 있으면 잘 이해되더라구요.

    2022-07-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53503 10년차 Lv 2

    자격증이요
    영어는 번역기가 점점 발달되요

    2022-07-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