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Autocad,Inventor 공부와 직무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조회수 2,526 2022-06-20 수정

안녕하세요. 20대초반 남자입니다.

전기,전자 전공으로 전문대 졸업 후, 전공과 상관없는 다른 꿈을 가지고는 있지만, 그 쪽은 경쟁률이 빡세며 성공할것이라는 보장이 없기에 계속 공부를 하면서도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스타트업에 취직하여 오토캐드를 공부하여 건축,기계부품 도면의 수정 작업 및 잡무를 하고 있습니다.


반년 정도 근무를 하였는데, 캐드에 대해 더욱 공부를 하고 싶어 최근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를 합격하였습니다.

제가 캐드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안정적으로 근무를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할까요?

기계제도기능사 실기에는 인벤터도 필요하다고 하여, 인벤터 공부도 시작할 계획이 있습니다.


이 자격증을 따서 제대로 활용을 할 수 있을 지,

또한 앞으로 어떤 분야, 자격증 등을 공부하면 더욱 도움이 될 지, 선배님들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42331 설계엔지니어 / 18년차 Lv 5

    3D CAD를 배우는데 자료가 없어서 선택권이 없다는 말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서점에 자격증 관련 솔리드웍스 책도 많고요 유투브에도 솔리드웍스 자료 많이 있습니다.
    다른 분들이 솔리드웍스를 권유하는 이유는 실무쪽의 보급률이 인벤터보다 솔리드웍스쪽이 많기 때문에 그러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인벤터를 개발 판매하는 오토데스크 내부에서도 인벤터의 실패 또는 패배를 인정하는 부분이 있고 이때문에 새로운 3D CAD인 Fusion 360이 개발된거고요.
    물론 인벤터를 배우고 실무에서 다른툴을 추가로 익히면 된다 하지만 정작 가기로 희망하는 회사가 인벤터를 쓰지 않는다면 취직 자체가 성립이 안됩니다.
    저는 실무 하다 현제는 CAD 교육쪽에서 일하는데 취준생이 3D CAD 뭘로 배울까요 물어보면 무조건 솔리드웍스를 권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어디로 갈건지 회사 부터 정하고 익히라고 합니다. 가고자 하는 회사가 어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지 파악하고 결정하는게 좋습니다. 3D CAD는... 물론 갈곳을 정하기 힘든 상황이면 솔리드웍스쪽이 보급률 때문에 좋은 결과가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어떤분이 자동차는 카티아가 대세라고 했는데 작년까지는 그말이 맞았지만 올해부턴 상황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현대 기아차가 카티아와 프로이를 주로 썼는데 카티아 배급사와의 사이가 않좋아져서 지멘스의 NX로 프로그램 변경 진행중입니다. 이때문에 NX에서 대대적으로 광고중이죠. 따라서 자동차 업종으로 가실거면 NX를 익혀 두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가장 좋은건 여러개의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룰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사람마다 성향이 달라서 여러개의 소프트웨어를 학습하는 경우 헷깔려서 한개의 소프트웨어도 못다루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생들 중에 그런 경우를 종종 봐서 물론 모든 사람이 그런건 아니고 소프트웨어의 특성과 차이를 잘 이해하는 성향이라면 여러개의 소프트웨어를 다룰 수 있기는 합니다. 저도 그렇게 하고 있으니까요.

    2022-06-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506947 설계엔지니어 / 7년차 Lv 3

    다른분들 좀 오해가있으신듯하구요 자격증땜에 인벤터 배우려고하시는거같은데 어차피 자격증 자료나 유튜브도 인벤터밖에없어요 카티아 유지 솔리드웍스 자료가 없기땜에 선택권이없구요 시험장가도 인벤터밖에없어요..
    그러니 그냥 인벤터로 학원에서 잘 배우시고 그 경험으로 이후에 일이나 직장 맞춰서 필요하신거 배우면 될듯하구요
    안정적으로 일하기위해 필요한거요?
    기구니 기계니가 중요한게 아니구요
    중소 회사들은 자격증 이런거없어도 다 갈수있습니다. 그냥 이전에 설계하던게 뭔지가 중요합니다. 펌프설계회사에서 금형설계만 한사람 안뽑듯이요
    그러니까 방향을 정하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뭘 설계하고싶은지요
    그러다보면 그 원리나 부품에대헤 이해하게되고 관심가지게되면서 이저거거 다 해보게 되는 거거든요

    그리고 중소가 아니라 대기업쪽에 가고싶다? 이럴땐 준비가 달라요
    우선 중소든 중견이든 이왕이면 중견으로 경력 필요하고
    쌍기사정도해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일반기계기사, 전기기사 이렇게 두개면 거의 끝...
    그리고 적절한 영어시험 점수와...
    마지막으로 관련 설계에 대한 경험...

    2022-06-2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66261 설계엔지니어 / 42년차 Lv 1

    전기,전자를 전공하셨고 현재 기계제도 자격증을 보유 하셨다면, 진로는 기계설계 쪽이고 그 중에서도 자동화 장비 (설비) 설계를 추천 합니다. 자동화 장비는 전자기술이 뒷 받침 되면 보다 빠르고 폭넓은 설계가 가능 합니다.
    현재는 초보자 이시므로 다음 사항을 잘 준비 하시기 바랍니다.
    1. 설계 tool 은 auto cad 와 solid works 를 공부 하십시요. solid works 가 범용성에서 조금 유리 합니다.
    자동차 분야는 catia가 대세이지만 그 외에는 inventor든 solid works든 비슷 합니다.
    2. 기계 전시회나 자동화 기계 전시회를 꼭 관람 하시고, 기계 메카니즘을 꼼꼼히 관찰 하시고 그 곳에 사용 되는 부품이
    무엇인지 잘 관찰 하시고 부품 명칭을 물어보고 집에 와서 검색하며 공부 하세요.
    적재적소에 부품을 잘 사용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 합니다. 설계시간도 단축 되구요.
    3. 가능하면 기계 제작하는 업체 중에서 order made 업체에 취업 하세요. 부품이나 기계 몇가지 반복 제작하는 업체에서
    오랜기간 설계해도 다른 분야에 가면 한계에 부딪칩니다. 즉, 다양한 기계를 제작하는 업체가 유리 합니다.
    4. 기계설계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으면 자격증이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술사 자격증은 예외로 하고요.
    5. 전문 기술 교육에 적극적으로 찾아서 수강을 받으세요. (예: 공,유압 기술, PLC기술, sensor 응용기술, motor 등등)

    마지막으로 기계설계 분야는 기계나 컴퓨터가 대신 할 수 없는 기초가 되는 창작 기술이고, 오랜 경험이 필요한 기술
    입니다. 평생 써먹어야 할 "業" 이므로 너무 조급히 생각 하지 마시고, 여유를 가지고 일을 하시고 조금씩 취미를 살려
    가며 일 하시면 활력도 생기고 즐거운 직장 생활 할 수 있습니다.

    2022-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Z5947860 설계엔지니어 / 17년차 Lv 4

    전기랑 전자랑 같이 전공이 되나요? 1차랑 2차랑 다른개념인데..
    그리고 건축설계랑 기계설계랑은 다른 개념인데...

    암튼 기계설계에도 제품개발을 하는 기구설계와 기계-설비등을 설계하는 분야로 나뉘는데..
    기계쪽이면 캐드랑 인벤터로 충분할지모르겠지만..

    자격증이라..자격중보단 경력이 중요하죠..물론 처음에는 필요할지모르겠지만..제 입장에서는 자격증보단 일에대한 흥미도나 열정을 보고 같이 일합니다. 개발자가..공무원같은 마인드로 일할꺼면 그냥 다른일 하는게 좋습니다.
    가구쪽으로 생각이 있으시면 최소 솔리드웍스, 가급적 creo ugnx catia는 하셔야합니다. 물론 인벤터로도 하는것이 있으나..그닥..

    2022-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62431 설계엔지니어 / 14년차 Lv 2

    개인적으로 툴은 인벤터보단 솔리드웍스를 추천합니다
    인벤터가 편리한게 있다고는 하지만 솔리드웍스 점유율 따라가기엔 많이 버겁습니다. 많이 쓰는 프로램을 해야 이직도 쉬워집니다 저도 카티아를 썼지만 워낙 고가의 프로그램이다보니 쓰는 업체가 별로 없어서 솔리드웍스 6개월간 따로 배워서 이직했습니다

    2022-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455831 설계엔지니어 / 15년차 Lv 2

    자격증을 기반으로 관련 직종 취업을 해야합니다. 취업후 업무수행과 해결을 통한 실력향상이며 본인의 운과 적응에 따른 대가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것 같네요

    2022-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4757 현장관리자 / 6년차 Lv 3

    3D CAD의 종류는 상관없고 한 프로그램만 열심히 하셔도 나머진 쉽게됩니다

    2022-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800105 설계엔지니어 / 15년차 Lv 1

    기계설계를 하려면 프로그램은 캐드와인벤터만 할줄알면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은 말그대로 그냥프로그램이기때문에 설계자의 기계에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합니다 기계와 기계부품의 가공 기성품들의 응용 공차의개념 등을알아야 비로소 혼자서 기계를설계할수 있습니다 그걸 모르면 그냥 일일이 옆에서 기계잘아는 사람이 시켜주어야 설계를 할수있기때문에 위에나열한부분들은 필수로 알아야겠죠 배워야할것들을 나열해드릴게요
    MCT,선반가공:이부분은 그냥 가공집에 가서 원자재들을 어떻게 기계에 물리는지와 정황에 따라 가공공차들을 어떻게 주는지 도면을보면서 가공하는걸 두세달 보기만 해도 되는데 가공회사에도 경력없으면 잘받아주지않으니 기계가공품 QC일을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레이저컷팅가공,절곡,용접:이부분도 QC일을 하면서 배울수 있습니다
    마감처리:도금처리,아노다이징,분체도장등등

    위에나열한부분들을 QC를 하시면서 배우고 홀공차,축공차,면공차 등등을 왜그렇게 공차를주는지를 인터넷검색해서 배우셔야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기계부품들의 선정인데 이부분은 설계신입으로 회사에 들어가서 일하면서 배워도 됩니다 주요하게 모터 감속기 LM블럭&가이드,클러치,브레이크,서보모터등이 있습니다만 상황에따라 필요한부품을 인터넷검색하여 찾는스킬 또한필요합니다 그리고 선정한부품의 스펙을 볼줄도 알아야겠죠 이상의것들을 다할줄할게되려면2~3년 걸리겠네요

    2022-06-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