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25살 남잔데 취업에 늦고빠름이 많이 중요한가요?

조회수 5,763 2022-02-20 수정
25살 남자에 4년제 대학교 졸업했고 올해 군대전역입니다.
취준을 바로 하기보다 마지막으로 제가 하고싶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시기라 생각해서 여행도가고 해보고싶은 일도 해보고 여러가지 경험도 많이 쌓고 싶어서 질문드려요
여기가 취업커뮤니티긴 하지만 인생선배들한테 취업에만포커스가 맞춰진 얘기가 아닌 인생에 대한 진솔한 조언이 좀 듣고싶어서요!

물론 절대적인 기준이란건 없지만 저는 26살쯤 취업하게되면 좀 이를거같고 뭔가 못해본것들에 대해 아쉬움이 생길거같아서요
제가 아직 직장인이 못돼봐서 막연히 취직하면 제 시간이 별로 없을거라 생각하는 것도 있겠지만 저보다 더 오래 사신 분들의 생각이 궁금해요

취업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건지
또 적정나이라는게 있는건지 몇살때까진 좀 안심해도 되는지 알고싶어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9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15955 경영·비즈니스기획 / 1년차 Lv 5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적정 나이라는 게 있다라는 것 모두 개인적인 의견들일 뿐이구요.
    뭐가 정답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그냥 평균적으로 좋은 결과가 나온 사례가 많을 뿐이구요.
    본인이 이런 말들과 다르게 늦는다고 해도, 본인 인생의 행복은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한 마디로 저 말들은 취업이라는 것에만 포커스가 맞춰진 거구요. 인생이라는 부분에 있어서는
    틀릴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런 말 크게 신경 쓰지는 마시고, 본인이 앞으로 뭘 하고 싶은가를 잘
    고민해보세요. 그 방법이 취업이라면 취업을 빨리 하면 좋고, 다른 방법이라면 취업을 늦춰도 혹은
    취업을 안 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명심하실 것은 무엇을 하던 내가 하고 싶은 것, 내가 책임질 수 있는
    것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하면 할수록 본인이 불편하고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2022-02-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21315 사운드엔지니어 / 3년차 Lv 1

    하고 싶은 일이 명확하게 있으면 해보시는 거 추천합니다.
    그게 취업에 관련 있던 없던 해봤다는 거 하나만으로 유야무야 취업 한 사람들과는 달라요.

    그런데 딱히 그런게 없으면 그냥 취업 하는 게 좋습니다. 억지로라도 일하면 돈이라도 버니까요.

    2022-02-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762937 그래픽디자이너 / 9년차 Lv 2

    쓰니님께서 26세에 취업했는데 사수가 21세라고 생각해보시면 간단하게 답이나옵니다

    2022-02-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13594 온라인마케터 / 11년차 Lv 1

    경험 중요한거 같아요. 남자분이라면 여성분 보다는 더욱더 취업에 여유가 있는거 같아요.
    저 같은 경우에는 사진에서 마케팅, 그리고 광고, 기획등 다양한 파트 경험을 하면서 일을 해보았는데요. 사실상 내가 어떤일이 잘 마는지를 결정하기까지 참 어렵더라구요. 물론 다양한 경험이 필요로 하기는 해요.

    일찍 취업해서 자리를 잡는것도 어느정도 필요로 하지만, 딱 그 젋은나이에 경험해야하는 것들도 필요로 합니다. 26살이라면 1년 정도는 해보고 싶은걸 경험하는 여유도 필요한거같아요!. 그 시기는 돌아오지 않거든요.
    무모함도 때로는 필요하거든요. 다만, 나중에 내가 다른걸 하고 싶을때에 시간이 너무 흘러버린다면, 이길이 아니다 싶을때 돌아갈수 있는 용기가 없어질수 있어요. 그러니 30살 전에는 취업하고 결정해보시길 권장드려요. 취업전선에서 30살에 취업해서 최소 32살전 `1~2년의 경력은 있는게 좋아요. 인사를 볼때에도 나보다 나이많은 신입직원보다는 어린사람을 선호하거든요.

    2022-02-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31376 경영·비즈니스기획 / 7년차 Lv 1

    취업에 적정 나이라는 질문은 참 애매 하신것 같습니다. 어떤회사의 어떤분야의 어떤직종이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참고로 저는 학부에서 컴퓨터공학 전공을 하고 마케팅으로 MBA 를 나오고 현재는 미국에서 CPA 자격증을 가지고 미국지사 법인장으로 근무 중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이유는 제 설명에 어느정도 신뢰감이 있으셔야 도움이 되실듯 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현재도 직원을 뽑기 위해 많은 면접을 보고 있습니다. 본인이 여행과 관련되 작가가 향후 목표라면 지금 취업보다 여행 다니시는 것이 더 좋을것이고 대기업을 목표로 한다면 늦을수록 불리할 것이고 상황에 따라 다른것 같습니다.

    본인이 하시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시고 그 목표를 중심으로 거꾸로 시간을 계산해보시면 지금 내가 무엇을 하는게 도움이 되실지 좀더 쉽게 찾으실수 있으실듯 합니다. 그래도 딱 말씀을 드리자면.. 지금 최선을 다해서 최고의 직장을 가실수 있도록 죽을 힘을 다해 노력해 보세요. 그리고 취업이 되면 또 최선을 다해서 2-3년 일해 보세요. 그럼 29세-30세 정도 되실때 다시 생각해보세요. 계속 다닐지 나에게 필요한게 무엇인지 대학원을 갈지 아니면 여행을 다닐지. 면접자 입장에서 볼때 뚜렷한 목표와 목적만 있다면 .. 레쥬메의 커리어나 경험을 자신있게 설명 할수만 있다면 그럼 괜찮습니다.

    2022-02-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37146 온라인마케터 / 7년차 Lv 2

    32세때 취업성공을 했습니다. 비전공이였습니다.
    중고기업 광고마케팅이였고, 저 또한 굉장히 미래가 불안했습니다.

    지금 6~7년이 지났고, 대기업 종합광고대행사에서 다니고 있습니다.

    늦게 시작해 컴플렉스도 있었지만 지금 돌이켜 보면 사실 늦게 취업한 것도 잘했다 생각이 듭니다.
    다른사람은 경험하지못했을 자유와 세상사를 경험했고 그런 부분들은 업무를 할떄, 특히 광고마케팅 업을 할떄
    시너지 효과가 났습니다.

    너무 늦지만 않게되면 괜찮습니다.
    굳이 여행을 가지 않아도 되고, 집에만 박혀있어도 됩니다.
    다만 내가 이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면 어떠한 것들을 해도 다 값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2-0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005888 출판·편집 / 23년차 Lv 2

    하고 싶은 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것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르는 일이고 남의 충고대로만 하면서 산다고 시행착오가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제적 형편이 괜찮다면 님의 계획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놀아봐야 뭐 별거 없기는 합니다.

    2022-0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92799 MD / 3년차 Lv 2

    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고싶은 것을 하면서(이직 포함) 잡마켓에서의 오퍼는 당연히 떨어집니다.

    남들이 알아주는 좋은 직장은 수요는 적지만 20대 초중반에 서류상으로 엄청난 스펙을 가진 분들의 공급 또한 많습니다.

    채용담당자 일도 해봤고 직무에서 같이 일할 사람도 구해봤지만 면접 전에 걸러내는 것은 서류에 적힌 몇글자 입니다.
    질문자님도 채용담당자라고 생각해보시면 충분히 이해하실겁니다.

    냉정하게 1년을 하고 싶은 무언가를 하실때,
    남들은 목표를 가지고 뛰어가는 동갑, 어린 친구들도 분명히 많다는 것 생각하셔야합니다.
    1년동안 쉬어도 서류상으로 비춰지는게 경쟁력이 있으시다면 그만큼 즐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중에서도 다양한 직무를 경험해보라고 말씀드리고싶습니다.*

    2022-0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748234 제품영업 / 13년차 Lv 1

    대기업은 25세 전후로 공기업은 30세 전후로 취업 성공하는게
    현실성 있다는게 사회 통념입니다.
    6개월 정도 리프레시 하시면서 미래를 생각해 보시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조카가 20살에 대기업 정규직으로 4년간 연봉 짱짱하게 받다가 순간 현타가 와서 퇴사하고 나와서 바리스타 알바 1년 하면서 설움받고 억울하게 혼나기도 하고 100만원 받으면서 1년
    고생하다가 25세에 다시 대기업에 정규직 입사 했습니다.
    지금이 너무 좋다고 합니다.
    현실은 이상과 많이 다르니 잘 생각 해 보시고 하루라도 빨리
    자리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우리 조카는 회사 쉬는 날에는 여행도 많이 가고
    경제력이 따라 주니 하고 싶은거 다하고 있습니다.
    캠핑카 여행도 다니는 걸 보니 대기업 연봉이 꾀 높은가 봅니디.

    2022-02-21 수정
  • 제 이야기가 도움이 되실 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2년제 졸업 후 계속 일을 해왔습니다.
    현장직과 설계일을 번갈아가면서 하다보니 어느순간 다른분야의 사무직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해보고 싶은 것이 없어 열심히 사는거에만 몰두했으나, 정작 돌아보면 뭐가 남았나 싶습니다.

    글쓴이는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하고 해보고싶은 일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더 뛰어난 사람입니다
    30살도 40살도 늦은 나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임해보시길 바랍니다

    2022-02-2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