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전기 SW 설계 쪽 위해 필요한 것

조회수 1,994 2022-01-05 수정

여자 27살

인서울 대학 2월 졸업 예정

학점 3.84

토익 960

컴활 1급

한국사 1급

정보처리기사

본 전공 - 컴퓨터과학, 부전공 - 전기공학

현재 전기기사, 토익스피킹 준비 중...


공기업 준비하다가 공기업이 사기업 보다 문턱이 높아보여 사기업으로 전향했습니다..

코딩  실력이 부족해서 전기공학 전공을 살려 취직을 하려고 하는데 직무에 관한 고민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채용공고를 보니 크게 전기쪽은 크게 SW 설계나 HW 설계로 나뉘는거 같아 (아니라면 말씀 주세용)

프로그래밍쪽이 조금 더 익숙해서 SW 설계로 가려 합니다 (HW 쪽 캐드나 PADS 같은건 전혀 몰라서요)


1. SW 설계 쪽으로 가기 위해 더 필요한게 무엇이 있을까요?

C, C++ 등 프로그래밍 가능자 우대

라고만 쓰여있어서 어떤 공부를 더 해야할지 구체적인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HW 설계쪽으로 가도 괜찮을까요?

솔직히 코딩에 자신이 없어서 HW 쪽으로 가고 싶은 마음도 큽니다..

만약 HW 쪽으로 간다면 ORCAD나 PADS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될까요?


3. 위의 SW HW 설계 외에도 다른 추천해주시는 직무 , 혹은 달리 꼭 준비 해야할 것은 뭐가 있을까요?


이 밖에 다른 조언 등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1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83110 전기·전자엔지니어 / 4년차 Lv 5

    영어점수가 되게 높으시네요. 부럽습니다. 메뉴얼 읽는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제가 아는 만큼 지식을 전달드릴께요. 저도 S/W쪽은 대덕에 있는 연구원 친구들한테 조금들은 내용이라 감안하고 읽어주세요.

    전기 제어쪽 H/W든 S/W든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신호를 내보내 부하를 제어한다는 개념은 같습니다.

    1. Plc(S/W)는 각 전기 장치에 접점을 따와 툴 내부에서 주소를 입혀 데이터화 시킨후 무접점 회로로 만들어 출력 처리하는 것 입니다. 회로는 Ladder diagram, 니모닉 diagram(and or not gate 것)으로 순차 제어를 구현하는 것 입니다.

    S/W는 pc로 제어도 하는데 전기장치의 어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게 되고 그것이 c, c++이며 각종 함수를 이용해 코딩하여 출력 처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장치의 데이터는 plc로 받아들여 Db화되고 이러한 DB는 다른 모니터링 혹은 Pc제어 프로그램에 사용되기 위해 언어를 변환해야하는데 QL, SQL이라는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기도하고 pc의 버튼을 눌러 plc를 제어하기도 하죠.

    혼자보는 SQL이런 책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 Cad할줄 아시면 eplan같은 설계도 할 수 있는데 입사하셔서 배우면 됩니다. 그것보다 설계에 필요한 전기 기초지식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H/W의 설계는 전기 부하 말단부터 설계합니다. 공정(process)를 보고 부하들을 선정한 후 모터 용량을 계산합니다. 보호기기, cable sizing, 변압기 용량 산정 및 타입 등을 검토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3. 사기업으로 플랜트 엔지니어링사, 자동제어 설비 메이커, 반도체 장비 메이커, 계기 메이커 등 정말 할 수 있는게 많습니다. 너무 광범위해서 유트브에 직무 검색을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고 삼성엔지니어링 전기/계장 설계하시는 분 브이로그 한번 봐보세요.

    2022-01-06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