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시,공간 디자인 / 전시인테리어 / 실내인테리어 차이

조회수 1,078 2021-07-08 작성
제곧내!! 다 다른건가요? 스케치업이랑 캐드를 다룰줄알아서 맞는 방향으로 취업하려고하는데요!!
차이점 좀 알려주세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6120078 공간디자이너 / 2년차 Lv 1

    많은분들이 댓글을 달아주셔서 대략적인 차이점과 툴에 대한 방향은 가닥을 잡으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두 분야 모두 경험해본바로 실무에서 사용하는 툴같은 세세한 내용보다는 넓은 시야에서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설명드리는것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전시는 우선 상설 / 비상설로 나뉘며 주 클라이언트는 대기업 혹은 공공기관, 공기업이겠습니다. 개인을 클라이언트로 만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저는 주로 대기업의 비상설 프로젝트를 담당하였습니다. 분기별로 큰 프로젝트들은 협력업체들끼리 비딩을 통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상당히 치열하다보니 야근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크리에이티브한 컨텐츠를 기획하고 그에 따른 트렌디한 디자인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빠른 검토와 피드백이 필요하고 따라서 업무강도가 높았습니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워라벨은 보장하기 힘든 직종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업(메인 클라이언트)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편입니다. 기업 전시는 해외 전시도 많아서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도 회사마다 다르지만 워라벨이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다만 클라이언트가 개인인 경우가 많아 회사 내부 일정에 맞춰서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기에 야근이 비교적 덜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시보다는 설계와 디테일적인 측면에서 더욱 전문성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분야 모두 겪어본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따라서 초기에 따로 많은 공부가 필요하고 다양한 역량과 지식을 갖춰야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당하기에 강도도 높습니다.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회사도 있고 분리되어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비관적인 내용이 많지만 이러한 점들도 인지하시면 선택에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2021-07-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785422 12년차 Lv 3

    전시공간과 전시는 거의 같은 개념이며, 실내인테리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전시는 디스플레이어와 컨텐츠와 결합한 개념이며 실내인테리어는 주거공간과 상업시설을 일컫는 것입니다.
    기술적인 해석과 공간해석이 다른 컨셉입니다.
    모르면 부디쳐보면 알게 됩니다.
    첨부터 알고 일하는 경우는 드물죠!
    현재의 실력정도면 신입으로 들어가야 겠지요~

    2021-07-09 작성
  • 전시랑 인테리어는 다른 계열입니다 ! 실내 인테리어는 실내랑 외부, 건축쪽으로 같이 하는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전시는 말 그대로 전시 위주로 공간 디자인 하시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
    실내 인테리어는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 여러가지 분류로 나눠서 디자인합니다! 인테리어 안에 전시가 속해있는거죠. 스케치업이랑 캐드쪽이시면 인테리어가 맞는거같네요 !! 하지만 인테리어쪽으로 가신다면 3D max, 일러스트, 포토샵, 루미온 등 기본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으셔야 해요 ~

    2021-07-0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041831 공간디자이너 / 2년차 Lv 3

    지금은 전시 인테리어를 하고 있고 실내인테리어를 짧지만 둘 다 경험해본 입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적어봅니다!

    전시 인테리어는 상설과 비상설로 나눠질 수 있고 같이 하는 업체도 있는데요, 상설전시는 미술관 또는 전시회나 과학관 등을 설계하는 직종으로 회사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3dmax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스케치업으로 가지고 하는 곳도 있어서 그건 회사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렌더 후엔 포토샵 리터치는 필수고요! 프로젝트 기간은 큰 전시같은 경우 공사시작까지 2년 걸리는 곳도 있습니다. 회사에서 얼마나 많은 전시에 참여하는지에 따라 업무강도가 나뉘는데 많은 전시를 하시면 업무도 늡니다!

    실내인테리어는 상업이나 주거나 오피스로 나눠져있는데 주거같은 경우에는 그렇게 액수가 크지 않기 때문에 1달에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아마도 상업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 같아요. 주거는 스케치업을 주로 사용하고 업무 강도가 그리 높지 않는 리터치?를 합니다. 고객들이 본업을 하시니 주말미팅도 있었습니다. 주거는 대부분 작은 업체가 하는 경우가 먾아서 현장도 나가봤는데 여름에 힘들었던 기억이..ㅎㅎ

    결국 맞는 직종 찾는게 어렵긴 해서 저도 많이 방황했어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2021-07-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20982 공간디자이너 / 18년차 Lv 1

    툴을 다룬다고해서 공간디자인을 한다는것에는 좀,,, 생각해봐야할 문제 같습니다. 전시는 그야말로 상품에 대해 잘 팔리도록 돋보이도록 하는 역할에 충실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설비적인 문제에서는 어느 정도 접근성이 떨어지죠. 그렇지만 실내인테리어는 상공간인테리어, 주거인테리어로 크게 나뉩니다. 건식인테리어도 있겠지만, 대부분 수도 위생설비, 소방, 전기, 철거 등 실내 건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단순히 그림만 그린다고 생각하면 오산이고, 시공을 알아야 설계가 되고, 설계를 알아서 디자인이 되고, 디자인이 되어야 기획도 나옵니다. 물론 그 반대의 수순도 있습니다만, 모두 다 연관이 있습니다. 본인이 그래픽위주의 설계를 할 것인지, 시공 위주로 하고 싶은지 곰곰히 생각해보셔야 할 듯 합니다. 시공을 해도 툴을 다룰줄 안다면 플러스 요인이 상당히 되겠죠.
    이 일은 정말 힘든 분야여서 본인이 툴을 다룰줄 알아서가 아닌, 진짜 하고싶어서 하지 않으면 중도 포기 많이 하는 직업 중 하나 입니다.

    2021-07-0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9608860 건축기사 / 6년차 Lv 2

    실내인테리어는 어감으로는 더 큰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합니다. 실내인테리어 안에 전시나, 공간디자인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시만 취업시에는 아무래도 전시,공간디자인은 전시나 기타 상업공간을 특정하는 곳에서 전시, 공간디자인이라는 단어로 모집할 것이고 실내인테리어는 더큰범주 혹은 주거공간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즉 실내인테리어라고 모집하는경우에는 회사의 성격을 많이 따라감으로 지원하기 전에 지웒고자 하는 회사의 작업물이 본인이 원하는 방향인지 확인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

    2021-07-0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