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문대 졸업 후 연구보조원으로 취업 예정입니다.

조회수 1,440 2021-07-08 작성
연구직에 관하여 아는 지식이 얕아서 질문 올립니다. 혹시 연구보조원으로 취업 후에 연구원으로 직급 상승이 가능할까요? 그렇지 않는다면 연구보조원의 전망은 어떤 편인가요? 정년까지 직장으로 쓰기에 괜찮나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32337 통신엔지니어 / 8년차 Lv 2

    다른 분들은 학위니 어쩌구 저쩌구 하는 거보니 정부출연연구소 같은 공공기관에서 연구직을 해본 적도 없는 것 같네요.
    보통 공공기관에서 채용하는 연구보조원이라는 직무는 연구행정을 하는 연구지원 직무입니다. 연구원 직무하고는 아예 성격이 달라요.
    연구행정은 국가연구개발사업(국책사업)이나 용역사업 등 연구소에서 하는 연구사업에서 사업비 관리하고 집행하고 등 하는 일을 합니다.
    즉 연구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연구원으로는 바뀔 수가 없습니다. 주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과 같이 같은 직무 계통에서 직급 상승이 아니기 때문이죠.
    그리고 연구보조원은 공공기관들에서 보통 정직원(무기계약직 포함)으로 뽑는 경우는 드뭅니다.
    공공기관에서 연구를 하고 싶으시면 주임연구원 급이라도 대부분 지원자격으로 최소 석사 학위를 요구하기 때문에 그 정도 학력은 쌓으셔야 됩니다.

    2021-07-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032324 5년차 Lv 1

    연구직은 분위기상 학위가 중요합니다. 근무하시면서 학사를 받으시면 돨 것 같네요.

    2021-07-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031232 전기·전자엔지니어 / 14년차 Lv 1

    연구보조원으로 들어가시면 일단 학사학위를 받으시도록 노력하셔야 직급상승(?)의 기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연구쪽은 학력이 필수입니다. 그게 안되면 직급상승의 기회자체가 안됩니다.

    2021-07-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025805 기계엔지니어 / 30년차 Lv 3

    직급상승 기대하지마세요
    보조원으로서 미래는 없다고 봐야해요
    아마도 차별문제로 정년까지가아니라 몇년도 버티기 힘들지 모릅니다.

    공무원수준의 탄탄한 직장이면 미래나 대우 같은건 기대하지말고 그냥 편하게 생활하는걸 추천합니다

    2021-07-1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