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취준생입니다 QA 업무에 대해 알려주세요!

조회수 4,040 2021-06-22 작성
소프트웨어 QA 제안이 들어왔는데 분위기나 비전같은 부분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13534 QA / 6년차 Lv 2

    소프트웨어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QA의 중요성은 커지고, 그 만큼 원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당연히 비전은 있겠죠... 그러나 한국에서는 QA에 대한 평가나 인지도가 매우 낮습니다. 대체로 Tester의 업무 역량만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만약 QA 직군으로의 취업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회사 선택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SI 기업에서 채용하는 QA의 경우 QA가 아닌 타 기업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단순 Tester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업무 강도는 강하지 않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지도 않기 때문에 구성원의 변동이 많거나 의욕이 없는 인원이 많아 대체로 프리한 분위기 입니다. 다만 급여도 낮고(고객사 기준 단가, SI 기업 기준 단가, 직원 실수령 순이기 때문이며, 특별한 전문지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연봉인상도 거의 없거나 미미한 수준), 복지도 좋지 못하기 때문에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2021-07-23 작성
    여기까지 새 답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13226 QA / 10년차 Lv 3

    사업관리 하는지 알아보는게 중요해요.
    QA와 Tester 구분 못 하는곳 많아서요.
    제대로된 QA는 매우 적어요. (기획부터 사후관리까지 제대로 QA 하는곳은 거의 대기업뿐이 없어서...)
    기획, 또는 기획검토, 디자인, 사업관리, 계획, Test 방법론 기획, 양산허가, 출시(양산) 후 이슈 관리 등등....
    그러고 화이트 Test와 블랙 Test 까지.....
    솔찍히 프리렌서 한지 1년정도 됐지만 PMO, QA 하면서 Log 읽을 줄 아는 QA 한번도 못봤네요...;;;
    제대로된 QA 하면 미래는 좋다고 생각됨니다. (점점 QA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서...)
    하지만 아웃소싱 같은 기업이면 QA가 아니라 Tester 입니다.
    딴곳 가세요.

    2021-07-06 수정
  • 기업이름보니 우선 아웃소싱인거같은데,,
    사실 QA 시작하면 진입장벽 가장 낮은게 소싱이긴하죠!
    별다른 경력없어도 입사가 가능하구요..음 근데 본인이 QA 업무를 하고싶은데 제안이 들어온건지...
    아니면, 별다른 생각없는데 들어온건가요?
    (만약, 생각이 없었는데 들어온거라면 당연히 안가는게 맞지않나요?)
    업무를 QA 방향으로 잡고싶다면 자사 서비스 회사를 가라고 하고싶지만 쉽지 않은걸 알고있기에,
    만약 자사로는 힘들다면 우선 소싱들어가서 2년정도 기본기 다지고 나와서 이직하는것도 나쁘지않아요.
    이렇게 QA 경력 쌓는분들도 굉장히 많으십니다.
    하지만 소싱에서 너무 오래 4년이상..은 비추입니다 물경력이기때문이죠.

    2021-07-0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34923 QA / 3년차 Lv 1

    QA제안이 왔다면 중소기업 급 회사의 QA, 조금 더 구체적으로 테스터를 구하는 것일테지요?

    결론부터 말하면 QA 수요는 차고 넘칩니다.
    시장 출시 되는 S/W & H/W의 끝 단추입니다.

    고도화 된 AI를 통해 자동화 테스트가 가능하기 전까지는 말이죠..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test case 또한 AI 직접 만들어주는 단계가 되기 전) 포함 입니다.

    보통 초심자+개별 프로젝트 따서 QA했던 소위 말해 `물`경력자들도 QA와 TE 혼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대게 중소 기업에서 수주 받아 진행하는 TE들이 ISTQB 자격증 한 장 없이 10년+@짬으로 굴러먹는 경우도 많구요.

    대기업 급 회사에서 QA진행하다보면 QA는 없어선 안 될 포지션입니다.
    H/W 쪽은 QA 의 힘이 강력한 경우도 많습니다.
    QA에서 pass 사인이 나와야 출시가 되는거니까요..

    대기업에선 주로 외주를 쓰지만 테스터를 외주로 쓰지 QA 관리자 자체를 외주 주지 않습니다.

    QA 시장 상황은 이렇고
    업무는 힘듭니다.
    가장 백단에서 일을 하기 때문에 일정에 대한 압박이 있을 수 있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개발 일정이 밀릴 경우
    일정이 같이 밀리거나 줄어든 일정 내 처리해야합니다.
    야근이죠.

    게임 쪽은 기본적으로 야근이 많구요.


    개인 커리로는 QA 하시면서 개발/코딩언어_+ISTQB 역량을 갖춘다면 면빠 른 시간 내 (2~5년) SW쪽에서는 중견 기업 이상 QA 인력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2021-06-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64722 26년차 Lv 1

    시스템 개발 후 출시나 오픈전에
    품질 테스트는 아주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QA인력을 자사인력으로 보유 하지 않고 필요시 외주 인력을 활용합니다

    그러므로 전문 개발업체나
    온라인, 게임업체등에는 QA인력이 필요하죠

    단기간 QA업무는 괜찮겠으나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개발 기술을 배워서 개발자로 커리어를 키우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

    2021-06-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81783 QA / 7년차 Lv 1

    솔직히 말해서 QA는 비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금 QA경력이 6년차 접어드는데 아니다 싶음
    빨리 다른 쪽으로 알아보시는게 답인것 같아요 기술을 배우시 추천드립니다.

    2021-06-2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