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1학년신입 진로고민 들어주실수있나요..??

조회수 2,798 2019-02-04 작성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1학년 신입입니다. 이제 군휴학을 마치고 복학을 준비하고있는 중입니다.
컴공이 나아갈수있는 진로의 폭이 많다보니 무엇을 중점적으로 준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크게 네트워크*서버쪽이랑 // 소프트웨어 개발 쪽으로 관심을 두고있는데 두 분야중 추천을 받고싶습니다.
취업률이라던지 취업에 관하여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도 궁금하구요!!

ps.네트워크 관리사2급을 취득했는데 개발쪽으로 가면 허탕친게 되는건가요..?
그리고 영어 회화를 할수있는데..토익 꼭 필요할까요??
선배님들의 조언 구하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17410 15학번 Lv 1

    자격증이 없는것보다는 있는게 좋지만 제가 생각했을떄 쓸모있는 자격증은 정보처리기사, 보안기사, 토익, 오픽 or 토스 정도는 따놓으시는게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임베디드 업계에서 일하고있는데요 요즘 자동차쪽 관련하여 사람을 많이뽑고있습니다.
    ARM(마이크로프로세서), C/C++, 영상처리 쪽 지식이 필요하겠네요

    2019-12-2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19957 15년차 / 97학번 Lv 2

    안녕하세요 경력 16년차입니다.

    컴공도 갈수있는 분야가 많지요.
    그중에서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표를 미리 정하고
    1학년부터 미리 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네트워크 서버쪽 / 소프트웨어 개발 쪽?
    제가 보기엔. 소프트웨어 개발 쪽이 좋겠습니다.
    평생 직장은 없지만, 평생 직업은 있다 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나의 직업을 선택하고 꾸준이 커리어를 이어간다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롱런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서버쪽은 10년전에는 호황이었지만. 지금은 별로입니다.
    그보다는 소프트웨어 개발쪽이 자리도 많고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버쪽은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쉽게 들어가지만
    경력이 높아질 수록 커리어를 우대받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런 자리도 많지 않구요.
    결국 롱런이 어렵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쪽은
    진입 장벽은 비슷하지만.
    경력이 높아질수록 커리어 우대가 좋아지고. 자리도 꾸준히 있습니다. 결국 롱런이 되지요.

    2. 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
    소프트웨어 개발쪽이라면.
    직접적인 도움은 안되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냉면에 올리는 계란 정도?
    있으면 좋긴 하지만 굳이 없어도 되는 정도죠.

    서버, 소프트웨어 모두 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현장에서 실무에 약간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그것이 취업 합격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겠습니다.

    3. 토익?
    어학 점수. 매우 중요합니다.
    당신이 영어 회화를 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그것을 증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 방법은 어떤 증명서류가 필요하고. 그것이 어학점수입니다.
    토익, 토플, 오픽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꾸준히 노력하세요.
    그리고. 영어 회화 잘 한다고 해서, 토익 점수가 높은건 아니니, 자만하지 마세요 ^^;

    역시 복학생이니, 1학년때부터 이런 고민을 한다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지금부터 미리 목표를 2~3가지로 좁히고,
    타켓에 맞춰서 꾸준히 준비를 한다면 쉽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

    더 필요한게 있으면 연락처 남겨주세요.

    2019-05-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91293 5년차 / 06학번 Lv 1

    답변 1 : 취업은 허들식입니다. 토익이 없으면 서류부터 통과를 못하죠. 그러니 토익 필수. 최소 800
    (제가 저희팀 빌드업 할때, 이력서에 토익없으면 그냥 버렸습니다.)

    답변 2 : 자격증은 기사 외에는 안쳐준다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개발직의 경우 공기업 아닌이상 개발테스트를 봅니다. 그러니 자격증 보다는 실제 실력을 키우는 것이 필수

    답변 3 :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접해보세요. 재밌고, 자기가 잘 하는 특정분야를 찾아야합니다. 4차산업 관련 분야를 가능하면 시도해보고 재밌으면 쭉 가세요. 3,4학년 되서 이것저것 건들여보면 취업준비/학점관리/토익성적관리만으로도 벅차서 졸업이 늦어지고 토익을 다시따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미리미리 어릴때 경험해보세요. 서버쪽이 재미있다면 AWS는 한번 공부해보세요. 하지만 서버보단 개발이 더 많이 받는 경우를 많이 봤네요. 또 개발도 분야가 너무 많으니 어플도 직접 한번 만들어보고, 오픈소스 여러가지 써보면서 개발도 해보면서 재밌는걸 찾으세요.

    2019-03-0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62888 8년차 / 03학번 Lv 1

    현재 저는 서버쪽 인프라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진로를 많이 고민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나중에 취업을 하면 알겠지만 정확히 Infra(서버,네트워크,보안), Middleware(DB,WAS), Application(개발)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아얘 새로운 제품 개발 등 업무들도 있겠죠. Infra분야는 코딩을 하지 않고 , H/W기반으로 아키텍쳐를 설계하고, 유지보수 하는 측면이 강하고 , Application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은 코딩을 통한 유지보수 , 개발이 주 업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업무적/서비스적 성향에 따라서 금융, 제조 ,공공의 분야로 나뉠수 있겠죠. 저는 코딩이 싫어서 인프라 분야를 선택을 하였으나, 현재는 추세가 플랫폼과 클라우드가 되고 있어서 인프라 기반은 사양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산실이 존재하니, 산업이 완전이 죽진 않겠지만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코딩 실력도 어느정도 필요함을 느낍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코딩도 잘하면서 인프라까지 알면 금상첨화라고 생각이 들고 ,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로 두고, 서버나 네트워크 기반 인프라도 관심을 두고 두루두루 공부하여 T자형 스펙을 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어는 IT인은 실제 영어회화 능력과 독해 , Writing 능력이 중요합니다. IT인이 영어까지 잘하면 향후 기업을 선택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매우 넓어집니다. 회화 위주로 공부하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스펙을 쌓는데 집중하지 마시고 , 대학생활의 삶이 이력서고 자소서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동아리활동, 랩활동 , 대외 활동도 하고 필요하면 알바도 하면서 다양한 삶을 즐기면 취업할 때쯤 되었을때 그런 행동들이 뭉쳐져서 좋은 결과를 맞이하리라 봅니다. 감사합니다.

    2019-03-0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49692 08학번 Lv 1

    개발과 운용은 다른의미 입니다.
    네트워크 관리사 같은 경우에는 유지보수 쪽 개념이 아닌가 싶습니다.
    네트워크 개발 같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지식이 어느정도 있어야지 개발이 가능합니다.
    TCP/IP스택이나 요즘 뜨는 블루투스, WIFI의 스택 구조를 이해를 하고 운용 가능한 IC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개발을
    할 줄 알아야지 가능할것으로 보이며,
    서버의 경우에는 제가 전공이 아니라 잘 모르겠군요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우에도 응용이냐 시스템이냐 분야가 많기 때문에 포괄적인 의미에서 대답드리기 힘든점 양해바랍니다.

    2019-02-14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99840 13년차 / 02학번 Lv 2

    사실 신입을 뽑을때 아무래도 영어 실력보다는 토익시험같은 점수를 통해서 대기업들은 필터링 하는 경우가 많죠.
    영어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라 토익 공부를 열심히 했다는 노력을 점수로 보는게 토익시험입니다.
    즉, 영어 자체를 열심히 하는것이 대기업 같은 좋은 조건의 회사에 들어갈때 도움이 될뿐 이게 딱히 중요한건 아니죠.
    하지만 아에 없는것 보다는 있는게 중요하니 토익에서 높은 점수를 따 놓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개발쪽이 아무래도 취업 문도 넓은 편이고 취업에 도움이 되는것이고요.
    2급은 뭘 따 놓든지 간에 그냥 따 놨다는 것이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요.

    노력은 많이하고 공부했겠지만, 너무 이런 자격증 같은것에 연연하지 말고 내가 나갈 방향을 천천히 생각해 보고 준비하기를 바랍니다.

    서른살 이전의 실패는 실패가 아니라, 간보기입니다. 간볼때는 여러가지 많이 봐도되요.
    대신에 서른살이 넘어서는 정말 진지하게 하나의 방향을 잡아야죠...

    2019-02-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26678 6년차 / 07학번 Lv 2

    일자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쪽이 많은 편입니다. 어학은 경력직 이직의 경우 많이 안보지만 신입때는 필수 입니다.

    2019-02-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7년차 / 01학번 Lv 1

    후배님의 이력서가 담당자 손에 들어가기까지...그 순간을 위해...그때를 위해 필요한게 어학 점수인듯합니다. 항상 화이팅입니다.

    2019-02-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799856 13학번 Lv 1

    일단 회화를 할 수 있다는 증명이 필요할테니 오픽이나 토스 IH or Lv7 3학년 들어가는 방학때 따놓으시고 토익은 기본이에요 800이상 맞춰놓으시고 진로는 폭 넓게 열려있습니다. 아직 2학년이시니 여러 경험해보으시고 학점을 위한 공부보다는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신다면 그 과정 속에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찾아가실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2019-02-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533637 11학번 Lv 1

    다른건 잘모르겠지만 토익은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아니면 토익스피킹 준비하시는것도도움이될것같네요~

    2019-02-0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