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시공,설계 둘 다 하고싶습니다. 가능할까요?

조회수 3,665 2020-10-07 작성
저는 27살 비전공자 인테리어 취업준비생입니다.
추후에 경력을 쌓고 시공 현장감리, 설계를 하며 일하고싶습니다.
대부분 인테리어설계공고에 입사지원을 하는 중인데,
시공파트에 신입을 뽑는 많은 회사들을 보며
시공부터 시작해서 설계도 하는 것이 가능한 지 궁금합니다ㅠ
-
인테리어는 학력보단 경험과 실무능력을 많이 본다는 말과 함께
꾸준히 꿈을 키우는 중입니다. 실무교육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완성했고, 실무에 필요한 프로그램툴은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현 시점에서 어떤 점을 더 보완하고 키워야할 지 고민이 큽니다
ㅠㅠ매번 다른 분들의 고민만 보며 공감을 하다가 쓰게 됐는데
쓰면서 이런 마음이셨구나 더 공감이 가네요ㅠㅠㅠ
소중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29371 건축기사 / 4년차 Lv 3

    글쓴이와 같은 케이스 입니다. 일단 열정에 박수 드립니다. 근데 일단 하나 집고 가셔야 합니다. 왜 파트가 나눠지는지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기업이란게 이익을 창출해야 하다보니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분리가 되는겁니다.

    하루종일 현장보고 퇴근하셔야지, 설계하러 사무실에서 야근할순 없죠. 설계나 시공이나 경력이 늘어날수록 업무량은 늘어날수 밖에 없기에 동시병행은 어렵습니다.

    글쓴이가 구체적으로 목표를 정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설계를 해도 신입이시라면 시공을 경험하실것이고, 시공을 하더라도 설계능력이 있다면 충분히 도움이 됩니다. 어느 파트에서 좀더 전문화가 되어 있는지에 차이죠.

    제 경험상으론 설계에서 시공으로 오는경우는 어쩌다있고, 시공에서 설계로 전향하는분은 본적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경력인정이 어렵고, 연봉관련해서 문제도 있기에 그런것 같습니다.

    본인이 희망하는 업무를 좀더 고민해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라며, 샵드로잉도 있고, 특종 업종은 두가지 업무를 다해야하는 분야도 있긴한데 차후 고민해보시길..

    개인적으론 설계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시공분야에 있지만, 인테리어라는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들어오셨으면 표현은 해보시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현장은 설계하시다보면은 자동적으로 배울수밖에 없는구조 입니다.

    응원합니다~~!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282332 건축기사 / 18년차 Lv 4

    글쎄요. 흔하지는 않습니다. 저 또한 시공에서 14년 있었고 2년전부터 디자인 및 설계 같이하고 있습니다. 무럿보다 시공에 계실때 설계의 중요도를 인지하시고 어떤 방식으로 설계가 진행되는지. 그리고 디자인 관련 서적 및 영상에 흥미를 가지도록 노력하셔야 합니다. 처음부터 설계를 시작하신 분들보다 늦은것은 맞지만 경험을 바탕으로 이겨내시면 됩니다. 포기하지 않으시면 언젠가는 원하시는 방향을 쟁취하실 겁니다.

    2020-10-0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53803 현장관리자 / 11년차 Lv 3

    가능합니다
    저는 건축전공하여 1~3년차까지 남자라는 이유로 시공하였으나 의지로 4년차부터 설계했음
    의지의 표현은 현장 공사 단면 드로잉, 제안서이미지, 메테리얼 샘플,과 업체별 단가표 등 집에 칼라프린터놓고 출근할때마다 상급자들에게 보여주고 제안하고 햏음
    제기억엔 3일에 한번씩 잔거같음
    님이 일하다보면 시키지도 읺은 일이고 자기 할일에 넋나간 사람처럼 돌아다닐텐데 오지랖퍼처럼 느껴질수있음
    건축과 실내건축과 출신 신입들의 정신력 따라가려면 비전공자 학원출신들 정신력기초부터가 달라 그러는거임
    드라마에서도 성공한 캐릭터들 노력의지는 잠안자고 해내는 근성이니 님도 위에나열한 4가지만이래도 미친듯이 해보시면 3년이면 설계팀 대리능력나옴
    취직하면 현장 청소를 하더래도 가로 세로 줄자로 실측하면서 빗자루질 70cm2 했음 이렇게...
    화이팅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진정한멘토 경영·비즈니스기획 / 15년차 Lv 5

    설계에서 시공 가능
    시공에서 설계 불가능

    감리하시려면 건축기사 따고 기술인협회 등록해서 계속 경력관리 하세요

    인테리어 감리는 시장이 작아 포지션잡기 어려우니 건축감리로 최종목표 설정

    아주 간단하죠?
    답변 채택 바랍니다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77681 건축기사 / 14년차 Lv 1

    큰 회사일수록 업무가 설계,견적,시공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초반에 폭넓게 배우고 싶다면
    작은회사에 입사해서 설계부터 견적,발주,시공,클라이언트 상대까지 배우는게 본인의 역량을 쌓는데는 좋을것 같습니다
    추후 이직할때 지원분야 폭도 넖힐 수 있겠지요
    다만,한분야에만 집중해서 전문성을 쌓는것을 원한다면 큰 회사를 지원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마음가짐이 좋으셔서 어떤 선택을 해도
    건승하실 것 같습니다
    화이팅!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70783 건축기사 / 14년차 Lv 3

    시공하고 설계 가능합니다
    대신 마음가짐의.문제라 생각합니다
    자신이 부족한 부분 배운다고 생각하시면서 다니시면 충분히 하실수 있습니다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27571 건축기사 / 14년차 Lv 3

    가능합니다
    20대를 일에 갈아넣으세요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121666 편집디자이너 / 17년차 Lv 4

    대부분 회사같은 경우에는 두가지 할수 있으시면 먼저 뽑으실려고 합니다..

    2020-10-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212136 웹기획 / 15년차 Lv 1

    일자무식도 인테리어 딱가리서부터 a/s(수도꼭지 교환부터 ㅋ) 1년이면 도면을 보고 목공 반장에게 오더를 내립니다. 1년이 지나면 기본 도면을 치며(cad) 로드샵내 매장설비 발주를 할 능력이 됩니다... 3년이면 설계를 배우고 업체사장과 시공업체 정보를 바탕으로 동내 인테리어 설비를 창업할 수 있습니다... 이게 생판 초보일때... 본인이 설계를 배우고 기본 지식이 있다면 . cad, max, 스케치업, 포토샵, 일러스트를 안다면 내근직을 시작으로 6개월내외 현장 감리를 봅니다. 보통 3년차~5년차이면 로드샵 시공 설계를 감당합니다.... 단 인테리어로 월급은 정말 짭니다..... 본인이 사장이 안되면 좀 힘든 일입니다. 플러스디자인 송실장을 찾아가보세요.... 급여는 무지짠데.... 그사람 밑에서 3년 고생한 사람치고 인테리어 창업 안한 사람 없습니다... 대따 빡시게 배우고 쉬는날없고 반 노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허나 그 수확은 진정 크답니다...

    2020-10-0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88915 건축기사 / 2년차 Lv 1

    저도 비슷한 나이고 비전공자로 지금 3년차를 향해가고 있는 중인 새내기지만 감히 조언을 해드리자면
    설계하고 싶으시면 설계부터 하시라고 권유드리고 싶어요.
    설계하다 시공하시는 분들은 있어도 시공하시다 설계하시는분들은 많이 없더라구요. 어깨너머 듣는 얘기도 많이 힘들다고 하시고
    물론 파트가 명확히 나눠져 있는 회사에 비해 규모가 작은 회사가면 설계&시공 파트를 해서 경험을 쌓을 수 있지만
    다다른 장단점들이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하고 싶은 파트를 하시라고 권유드리고 싶네요. 아직은 초반 단계라 어느 파트를 해도 어렵고 힘듭니다.
    그래서 저는 하고 싶은 파트 하시다 다른 파트로 전향을 권유드립니다.

    이 분야는 얕게 배울 수도 없고 배우면 배울 수록 배우는 것들이 나오는 분야라 계속 공부해야하고 발전해야 재밌더라구요.
    같이 열심히 해서 차후 우리 세대는 더 발전 있는 인테리어 업계가 되어있길 바랍니다. 화이팅!

    2020-10-07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