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중소si 퇴사 후 중고신입 준비

조회수 6,494 2020-07-09 수정
안녕하세요.
작년에 대학 졸업 후(19.2월) 공채 준비를 계속했었습니다. 최종에서 탈락하고 나니 생활비도 부족하고 멘탈도 너무 힘들어 중소si기업으로 취업했습니다. 플젝 경험도 쌓을 겸 좋은 선택이다 생각했는데 다닐 수록 뼈가 삭고 흰 머리가 계속 나네요.. 중소기업 중에 괜찮은 곳 가기가 정말 힘든 일이더라구요.. 병행해서 준비하려고 했는데 면접보러 휴가를 내는 것도 눈치주고 회사 업무량이 적은 것도 아니어서요. 다행히도 1년간 실무 플젝은 5개 정도 경험했습니다.

현재 경력 1년만 채우고 중고신입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1. 다음달이 1년되는 시점이라 8월말 퇴사를 결정했습니다. 한달전인 7월말에 회사에 말하면 될까요?

2. 제가 현재 28살 여자인데 중고신입이어도 나이가 많은 건 아닌지 궁금합니다.ㅠㅠ 현재 서류는 계속 넣고있는데 서합율은 50%정도 됩니다.

3. 원하는 퇴사 일자를 말하더라도 강제로 못관두게 하지는 않겠죠..?

4. 차라리 사기업말고 블라인드 채용인 공기업을 준비하는 게 나은 전략일까요?

5. 아니면 다른 중소기업으로 이직 한 뒤 병행해서 경력직 준비하는 게 나은 선택일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mentor1449425 웹개발자 / 5년차 Lv 2

    1. 딱히 법적으로 정해진것은 없으나 당일퇴사도 가능하긴합니다만 계약시 인수인계등 에대해서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한달전에 말씀하시면 충분합니다

    2. 나이많지않아요 요즘은 그나이에 신입으로 시작하는 분도 많습니다 그부분은 걱정인하셔도됩니다.
    다만 중고신입인경우 왜 퇴사햇는지 물어볼수있으니 그에대한 답변은 준비하세요

    3. 강제로 못그만두게하면 고용노동부에 찌르면됩니다. 강제로 못그만두게하는경우는 없었어요. 그만두지않았으면좋겟다란 케이스는봣지만

    4. 공기업준비하기에도 아직늦은나이아닙니다 하지만 정말 준비해서 갈생각이면 공기업좋죠

    5. 중소 에서 중소는 아닙니다 최소 중견이상으로 보세요
    아니면 지금있는곳에서 경력최소3년은 쌓고 이직준비를하세요

    2020-07-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10632 화학엔지니어 / 3년차 / 08학번 Lv 1

    안녕하세요 도움은안되겠지만 그냥 위로차원에서 몇마디드릴게요. 저도 대학졸업하고석사까지딴후 순조롭게대기업에취업했지만 안좋은일(병으로) 장기간쉬게되어퇴사하게되었고 이공백때문에 대기업에바로취업은못했답니다. 중소기업2년만채우고 좀top100정도기업을가고자했는데 중소기업이 복지 근무환경모든게 죽을맛이더군요 돈은워낙아껴쓰는편이라중소기업에서도월50은모을수있었지만 1년버티는게힘들더라구요 머땜에공부한것인지 ㅎㅎ 아직20대면 선택폭이넓으니 편히선택하세요. 중소기업도좀더큰곳만가면 복지나근무환경하나는개선되니 공무원은잠시미뤄보는것도추천해요. 코로나땜에멀하든경쟁이높은것은사실이니깐요 힘내세요

    2020-07-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60393 10년차 Lv 2

    중견기업 아니고서야 그나물에 그밥 사번 추천요. 실력에 자신 있다고 하면 사번 추천 드려요

    2020-07-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312712 웹개발자 / 10년차 Lv 1

    1. 취업규칙에 정해진 기간전에 말해놓는게 좋습니다.
    2. 1년차로 이직하세요. 신입 아닙니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특수한 상황때문에 합격율이 저조할수 있으나 꾸준히 두드리면 괜찮은 회사 만날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3년동안 4군데 회사를 다니다 5번째 이직한 현 직장에서 5년째 근무중입니다. 계속 찾으세요.
    3. 취업규칙에 정해진 대로 하시면 됩니다. 1년차 직원을 못나가게 한다면 더더욱 빨리 퇴사하세요. 회사 능력에 의문이 생깁니다.
    4. 사기업이든 공기업이든 본인이 원하는게 돈, 일, 삶의균형 어느것인지에 맞춰서 이직하세요.
    5. 최종 목표가 대기업이든 공기업이든 일하면서 준비하세요. 경력단절은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2020-07-15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859730 웹개발자 / 13년차 Lv 2

    1.1년채운것하고 하루라도 모자란것 하고 차이가 큽니다.년수는 채우시길 바랍니다.
    2.여자28세면 남자30세하고 같습니다.신입으로는 조금 애매합니다.동갑내기나 나이어린 선배와 불편함없이 지낼수 있는 적응력이 필요합니다.
    3.퇴사 한달전에 알려주고 후임자가 있다면 인수인계 하고 나가면됩니다.못나가게 막으면 노동청이나 노무사한테 문의하세요.
    4.28세라면 공기업을 강력추천합니다.토익하고 직무적성검사 준비해서 도전하시길 바랍니다.중소기업보다 모든 면에서 월등히 좋습니다.
    5.병행한다고 해서 성공한 사람 거의 없습니다.그런사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건 그만큼 특이한케이스라 그런겁니다.차라리 독하게 올인해서 공기업에 들어가는것이 낫습니다.

    2020-07-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95753 웹개발자 / 8년차 Lv 3

    1. 한달 전 통보면 충분 합니다. 대신 구두 말고 서면이나 메일로 전달 하세요

    2. 나이가 않지는 않으세요. 근데 구지 경럭이 있는데 중고신입으로 가실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3. 퇴사 관련 얘기는 절대 말로만 하지 마시고 메일이나 서면으로 남겨두세요 그래야 나중에 처리시 훨씬 수월합니다

    2020-07-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44928 5년차 Lv 1

    1. 보통 퇴사 한달전 통보합니다
    2. 절대 아닙니다. 개발원(교육) 같은곳 가봐도 28 29 인데 배우러오시눈분들 많아요. 걱정하실필요가 없는 부분이에요
    3. 그렇진않습니다
    4. 상황에 따라 다르겟지만.. 중소에서 공기업 상주하시다가 공부하시다가 해당 공기업으로 들어가는 케이스도 많이 봣습니다
    5. 쉬는시간이 많아질수록 자신감이 더 떨어질수도 잇으니
    경력은 계속 쌓아두시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2020-07-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867005 웹개발자 / 3년차 Lv 2

    1.원래 퇴사는 퇴사의사밝히고 바로 나가도 됩니다. 법적으로 문제될게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kosa증빙(이거이거 업체가 해줄 의무가 없어서)안해줄 가능성도 있고 퇴직금 늦게주고 그런게 있어서 (저는 안줘서 노무사고용해서 받아냈습니다.)
    만약 법적으로 꼬투리를 잡는다면 회사에 피해를 끼친걸 민사걸어서 증명해야되는게 그게 ㅈㄴ귀찮아서 업체해서 할일이 전혀 읍습니다. 그래도 그 회사랑 깔끔하게 나오고자 한다면 한달전에 통보하는게 맞구용~

    2.뭐 근데 중고신입이라기엔 1년은 경력으로 안쳐줘서 딴데 입사해도 1년일한만큼 연봉 더주진않을겁니다 참고하세요~

    3.네~

    4/5. 자 저는 3년차 프리랜서구요 프로젝트5개를 뛰셧다고하는데 친한 프리랜서 혹시 생기셧나요? 학벌이 좋으시니 대기업/공기업 가능하면 글로가면 좋긴한데... 저같으면 프리랜서합니다. 저는 1년7개월차에 정규직때리치고 지금 쭉 프리중인데 뭐 꼰대들이 하는 말이 뭐 정규직을 해야 뭐 배운다~ 이러는데 사실 프리해도 배우는 건 똑같습니다. 워낙~ 경력만 높거나 보도방(모르시면 검색해보세용)통해서 경력뻥튀기해오는 사람들이 많은지라 본인이 정상적인 개발자라면 어디가셔도 인정받으실수있을겁니다. ㅎㅇㅌ

    2020-07-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71047 웹개발자 / 15년차 Lv 3

    1. 7월말에 말씀하시면 됩니다.

    2. 어느정도의 대기업을 원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서류에서조차 50%라면 자소서를 다른 스타일로 바꿔보세요. IT쪽이 서류 광탈시킬 정도로 빡빡하지는 않을텐데 말이죠.

    3. 그런거 없습니다. 노동법상 피고용인이 퇴사의사를 표하면 고용인은 익월 임금 지불일까지 수용해야만 합니다.

    4. 공기업도 좋습니다. 다만 대기업 가는것보다 더 빡쎄게 준비하세요.(한전에서 3년간 일하며 신입들 봤을 때 학교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게 인 서울보다 지방대가 더 많이 뽑히더군요. 그만큼 준비를 철저히해야 할 것입니다.)

    5. 다른 중소기업가도 마찬가지입니다.대기업도 마찬가지고요. SI 개발자는 적어도 5년까지는 개고생합니다. 그러면서 배우고 끊임없이 학습하고 하셔야합니다. 집에가면 피곤하더라도 IT관련 영상과 각종 유튜브 코더들의 강좌도 챙겨보시고요.
    라떼는 말이야 스럽지만... 전 집에오면 개인 프로젝트를 코딩하며 새로운 프레임웍 라이브러리 등을 공부를 했습니다. 배우는게 즐거워서 현재도 새로운 언어와 툴을 공부하고요.
    최근에는 flutter도 학습하며 앱쪽도 공부하죠.

    딴 길로 샜지만 어디를 가시더라도 일에서 재미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2020-07-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36937 인사담당자 / 10년차 Lv 5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의견 드려 봅니다.

    1. 한달전에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합격 후에 힘드시더라도 타사 합격후 그만두시는 것을 추천드려 봅니다. 심리적으로 많이 불안해지고 그러면 회사에서 받는 스트레스보다 더한 스트레스가 올 수 있어요.

    2. 나이는 많으시네요. 그럼에도 서류 합격이 되고 입사 후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실만 하다면 무리는 없습니다. 아직 우리나라 사회가 경직된 위계의 사회이기에 꼰대들도 많고 해서.. 불편함에 채용을 안하려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3. 본인이 원하는 날이 있으시더라도 회사와 적절한 조율은 필요합니다. 신규 프로젝트의 중요 시기라면 분쟁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적정시점에 퇴사가 가능하도록 조정해보세요.

    4. 개인의 선택입니다만, 본인의 강점을 활용한 업무를 할 수 있는 곳을 찾으시다가 공기업도 가능하다면 선택하세요. 블라인드 채용이라도 사실 면접시에 거의 다 보이니.. 업무 위주로 생각하시는게 좋고 공기업은 여타 준비 해야할 사항이 복잡하니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 요건에 따른 시험 준비, 등)

    5. 커리어의 시작이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도 압도적으로 중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초기에 좋은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능력을 기르는 것보다 더 중요해 보일 때가 많습니다. 중소기업 이직을 하실 마음이 있다면 힘드시더라도 현 회사에서 이직을 준비하시는게 좋아요. 잦은 이직이 더 안좋아 보일 확률이 높습니다.

    2020-07-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