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plc 국비지원 받아서 배우고있습니다 조언부탁드려요

조회수 13,722 2020-06-30 작성
안녕하세요! 비전공자입니다 현재 국비지원 받아 공부하고있습니다 하반기 채용할때쯤 취업 하게될 예정입니다 질문있어서 글 올리게 됐습니다! 진지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ㅜㅜ..

1.생산자동화기능사는 필수같아서 준비중이고 나머지 공유압기능사랑 전기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 등 메카트로닉스에 관한 자격증들 중에 뭘 따고 취업하면 괜찮을까요? 번외로 정보처리기사는 별로 도움 안되겠죠?

2. 자격증 다 따고 취업보다는 일단 취업을 하는게 더 좋은건가요? (특히 전기기능사랑 생산자동화)

3. 마지막으로 이 분야계신 선배님들의 진심어린 조언,뼈때리는 조언 듣고 싶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55165 제품영업 / 19년차 Lv 2

    1. 안녕하세요 저는 생산자동화 산업기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만 크게 활용도가 높지 않습니다. 회사에서는 보통 전문적인것을 많이 요구합니다. 따라서 개발팀에서 근무 하실려면 전문적인 분야의 기술을 선택하여 배우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예를들면 기계일경우 캐드캠 자격증, 전기일 경우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하시면 활용도가 높습니다. 요즘은 PLC기반으로 하는 설비보다는 PC기반으로 동작하는 설비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PLC를 배워서 쓸모가 없다는것은 아니고 PLC 기술을 배워 둘 경우 공무나 여러분야에서 채용의 폭이 넓습니다. 아무튼 자격증을 취득해 두는것은 플러스 요인이긴 하나 꼭 필요한 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한마디로 전문성있는 자격증을 취득 하시라는것입니다. 공유압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면 기본적인 지식을 배우는것으로 했으면 합니다.

    전기분야 일 경우 전기기사 PLC 등 소방전기등 전문성이 있는 자격증
    기계설계는 캐드캠 기타 관련 자격증

    2.번 항목 질문은 개인의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니 단정지어서 말씀 드리기 어려우나 기본적으로 관련 자격증을 가지고 계시면 취업에 유리한것은 사실입니다.

    3. 마지막으로 보통 회사에서는 인정하는 인재는 여러 분야의 일을 잘 하는 직원 보다는 전문성 높은 직원을 더 선호 한다는것입니다. 여러분야의 일을 잘 할경우 회사의 온갖 잡일을 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면 개인 개발 시간도 많이 빼앗긴다는 사실을 염두 해 두셨으면합니다. 꼭 잘 되시길 바랍니다.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449624 설계엔지니어 / 13년차 Lv 2

    전기(4)/통신(2)/소방(1) 관련 기사자격증만 7개 가지고 있지요. 제 경험상 이론과 실무는 다릅니다. 자격증은 자격증일 뿐입니다. 같은 분야라도 회사마다 일이 다르고 업무스타일도 다릅니다. PLC도 쓰이는 분야와 제조사마다 다릅니다. 어떤 분야를 하느냐에 따라서 자격증이 경력을 쌓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경력관리가 필요한 분야 .. 전기(설계/감리/공사) , 통신(설계/감리/공사), 소방(전기/기계) 처럼 경력관리가 연봉과 비례하는 분야도 있습니다. PLC 제조사도 많아서 모두 프로그램이 가능하면 좋은 대우를 받지요. PLC 는 자격증보다는 실무 경력/경험이 더 중요합니다. 여러 취업사이트의 구인광고를 참고하면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 잘 알게 될껍니다. 각 회사에서 어떤 자격의 사람을 필요로 하는지 구인광고의 자격요건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2020-07-05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622367 포장·가공담당자 / 2년차 Lv 1

    전기기능장 자격증을 취득하실려면 PLC는 기본이랍니다 화이팅하세요

    2020-07-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23879 전기·전자엔지니어 / 4년차 Lv 3

    일단 현재 PLC 제어 업무 종사자 입니다.
    1,2 = 자격증은 사실 큰 의미는 없으며 실무를 먼저 익힌 후에 자격증 준비하는게 오히려 시간 단축이 될겁니다. PLC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선 결국 배선도 할 줄 알아야 하고 그러려면 공구 사용법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정말 모든 시간을 쏟아야 하실 겁니다.
    3.
    현재 나이가 몇살이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전기제어 분야는 일찍 시작할 수록 나중이 정말 강제로 편해지는 직종입니다. 매 순간 납품한 기계 혹은 프로그램을 수정 할 준비를 해야하며 안전사고도 유의해야 하는 위험한 직종이기도 합니다. 수많은 경험을 빨리 할 수록 나중엔 프리랜서로써 자유롭지만 페이가 높은 실력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직업도 마찬가지 이겠지만 전기분아는 매 순간이 배움이 장이고 나보다 못하는 사람은 없고 나보다 잘 하는 사람 천지입니다. 전기 직종.. 버티기만 한다고 되는 분야가 아닙니다. 단순한 생산직일 것 같아도 도태되기 아주 좋은 분야입니다. 버티는건 기본 전제고 버티면서 이 전기선정글을 어떻게 헤쳐나갈지도 잘 생각하고 들어오시기 바랍니다. 앞으로의 앞날을 선배 아닌 선배로써 응원합니다.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00431 전기·전자엔지니어 / 3년차 Lv 1

    1. 현재 작성자님께서 원하는 진로방향에 맞게 취득하는게 옳다고 생각이 듭니다.
    2. 자격증을 다딴다라는 기준은 개인의 기준이므로 취업이 가능하다면 취업을 해서 재직하면서 나머지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좋을듯합니다.
    3. 현재 PLC를 배우고있는것으로보아 계장이나 전장등의 전기관련업무쪽으로 취업을 하고자하는듯합니다. 그렇다면 단순 PLC말고도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정도는 할 수 있다면 가점이 있을듯합니다.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066273 반도체엔지니어 / 11년차 Lv 4

    삭제된 답변입니다.

  • 생산자동화기능사는 업계에서 잘 모르는듯. 있으면 좋지만 필수는 아님. 제어쪽은 자격증 잘 안봄. 경력을 많이 따짐. 훈련원 개발원 과정은 실무와 괴리감이 있음. 미리 이력서 자소서 써서 규모 있는 회사 빨리 취업 하삼. 어자피 회사 들어가면 새로 배워야함. 따신다면 전기기능사는 챙기고 나오심. 나이 많으면 제어쪽에서 안받는 경향있음.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18031 전기·전자엔지니어 / 11년차 Lv 1

    전기나 자동제어에 대해서도 공부하셔야 합니다.
    자동화 분야에서 성공하고자 하시면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생산라인에 들어가는 장비는 현장 시운전까지 맡아야 하여 현장 5분대기는 기본입니다.
    plc 프로그래밍도 반은 노가다입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자격증보다는 일단 현장을 경험해 보시고 이 분야로 정할지 생각해 보십시오

    2020-07-0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