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진급 테이블이궁금합니다

조회수 2,289 2020-05-28 작성
직급과 진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1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69103 구매관리자 / 9년차 Lv 1

    기 경력 회사기준으로 사원 - 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임원으로 방식으로 진급체계가 잡혓습니다

    사원 - 대리 ( 업무 년차 )
    과장 - 임원 ( 업무성과 . 사회성 . 해당업무 다양한 지식 )

    약 9년 동안 사원부터 시작하여 대리까지 진급하엿습니다

    2020-06-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59837 생산직종사자 / 30년차 Lv 1

    ▶.직급은 해당업무 즉 수행업무의 수준을 당 회사의 인사고과 기준 TABLE 나누어져 있으며
    ▶.진급은 회사마다 1년에 한번 정기적 진급과 비정기적 진급 2종류가 있으며,회사마다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다

    2020-06-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62730 구매관리자 / 25년차 Lv 1

    직급은 통상적으로 사원-대리-차장-부장-임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많은기업이 부장이하는 명칭을 000(홍길동)님으로 부르는 추세입니다.
    직급이 올라가는 것을 진급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직급과 직책을 따로 분류하는 업체가 많습니다.
    직책이 있으면 팀장으로 호칭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직급으로 호칭합니다.
    제가 근무했던 회사는 팀장부터 임원까지는 직책으로 호칭하였고. 직책이 없는 경우는
    000(홍길동)님으로 호칭하였습니다

    2020-06-0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16542 영업지원 / 10년차 Lv 1

    직급은 회사에서 본인을 얼만큼 대우해 주는가를 알려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보통의 경우 인턴 - 계약직 - 정규직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임원 순으로 등급이 있습니다.
    인턴 - 계약직 - 정규직 사원까지는 중요하지 않지만 누군가 꼭 해야 하는 일들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업무와 관련한 자료수집, 신문스크랩 같은 것들. 시간이 걸리고 단순한 업무들입니다.
    대리가 되면 업무강도와 업무난이도가 조금 올라갑니다. 인턴 및 사원을 가르쳐야 하기도 합니다.
    과장이 되면 본인이 맡은 업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업무의 시작부터 업무의 끝까지 100%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현재 일이 어디까지 진행되어 있고,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파악하고, 대리와 사원에게 업무를 분배합니다.
    차장은 과장이 하는 일을 하면서 고민을 해야 됩니다. 이 회사에서 끝까지 올라가 볼 것인지, 그냥 정년까지 다니는 것에 만족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길을 찾아볼 것인지.
    대리까지는 본인의 노력이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 진급이 됩니다. 만약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대리 진급이 안된다면 이직을 해야 합니다.
    과장 이상으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부서장과의 관계가 좋아야 하고 본인의 평판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본인의 업무능력만으로 과장, 차장으로 진급을 하겠다? 본인이 일을 너무 잘해서 대체불가 수준이 아니라면 불가능합니다.
    임원으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술을 잘 마셔야 합니다. 주는 술은 다 받아마시고 술자리가 끝날 때까지 남아있으며, 다음날 정상적으로 출근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골프를 어느 정도 칠 수 있어야 합니다.

    진급은 직급을 올려가는 과정입니다.

    2020-05-3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382038 생산직종사자 / 10년차 Lv 1

    직급은 결과물이고 진급은 노력하는 과정입니다

    2020-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084433 자재관리자 / 11년차 Lv 3

    수시채용 사원 - 주임- 대리-과장(노력이 많이 필요함)
    공채 주임 대리 과장 차장 부장 (그들만의 리그)
    연봉은 그해 고과산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성과급은 별도

    2020-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9152 구매관리자 / 15년차 Lv 3

    중소기업은 그냥 사장하고 술 잘 먹어주고 항시대기
    하면 됩니다 그래서 윗 대가리만 높으신분들이 많음
    연봉도 졸라 찌끔 줌

    2020-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57647 구매관리자 / 10년차 Lv 2

    윗대가리 똥꼬 잘 빨면 됩니다 ㅋㅋㅋ

    2020-05-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054929 자재관리자 / 9년차 Lv 1

    직급과 진급의 과정은 요즘 시대에는 보여주기 식이 대부분입니다.
    실제로 `자본주의`사상에서는 급여가 어떻게 주어지냐가 중요합니다. 현재 경력과 경험을 토대로 관리가 가능하다면 그부분에대한 적합한 직급을 갖는 것이 회사와 자신에게 둘다 윈윈입니다.

    2020-05-2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77374 구매관리자 / 3년차 Lv 2

    회사마다 직급 체계가 다를 수 있으나 통상, 사원-계장(또는 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 등의 직급이 있습니다. 진급 또한 내규에 따라 다르겠으나, 성과 + 상사 선택으로 하는 경우가 주류 입니다.

    2020-05-28 작성